히말라야의 영원한 찰나를 보셨나요?

  • 등록 2014.07.20 09:42:24
크게보기

[전시] 이창수 히말라야 14좌 사진전

[그린경제/얼레빗=이한영 기자]  히말라야는 고대 인도어인 산스크리트 말로 ()’을 뜻하는 히마(hima)”거처(居處)’를 뜻하는 알라야(alaya)”의 합성어다. ‘눈의 거처’, 만년설의 집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히말라야 14좌란 히말라야산맥과 카라코람산맥에 걸쳐 분포하는 8,000m급 봉우리 14개를 말한다. 이 히말라야 14좌 봉우리와 모든 여정을 기록한 이창수 작가의 사진 80점과 AP통신사 사진기자들이 1900년대 초부터 취재한 사진 20점을 함께 전시하는 <이창수 영원한 찰나>()이 오는 811일까지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3층에서 열리고 있다 

 

   
 

   
 
이창수 작가는 700여 일에 걸쳐 히말라야 8,000미터급 14개 봉우리의 베이스캠프를 돌며 히말라야 설산 내면과 사람들의 모습을 사진에 담아냈다. 이번 사진전은 사진의 주요 속성인 사실성진정성을 충분히 반영하여 히말라야 14좌의 온전한 모습을 담아내고자 했다. 아울러 히말라야 고산지대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통해 그들의 삶을 간접 체험하는 기회도 마련한다.  

이창수의 히말라야 14좌 사진에는 에베레스트나 K2 같은 히말라야 높은 봉우리들의 위압적인 모습은 없다. 다만, 한 걸음 한 걸음 걸으면서 때때로 가슴으로 밀려오는 설산이 전해주는 감정에 압도됐을 때 찍은 히말라야의 순간순간이 담겨 있을 뿐이다

   
 

   
 
 

이창수는 이 사진전을 보는 사람들이 이창수의 눈으로 보려 하지 말고, 그저 각자의 가슴으로 느껴주길 바라고 있다. 또 거대한 자연에 다가서는 나약한 인간의 모습을 조금이라도 훔쳐보았다면 다행이라고도 말한다. 그런 모습이 바로 인간 본연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사진작가 이창수는 월간 샘이 깊은 물”, “국민일보”, 월간 중앙등의 사진기자를 지냈다. 2000년 지리산 자락 악양에 자리잡아 지리산 속내와 사람살이를 사진에 담아 <움직이는 산, 지리>, <Listen, 숨을 듣다> 같은 사진전을 열렸다. 현재 순천대학 사진예술학과 외래교수이다.

 

   
 

   
 

   
▲ 사진작가 이창수

   
 

 

이한영 기자 sol119@empa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