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6. 국화술, 추어탕 그리고 한로(寒露)

  • 등록 2005.10.07 16:07:20
크게보기

466. 국화술, 추어탕 그리고 한로(寒露)

오늘은 24절기의 열일곱 번째인 한로입니다. 한로는 찰 '한(寒)', 이슬 '로(露)'로 써서 이슬이 찬 공기를 만나서 서리로 변하기 직전이고, 세시명절인 중양절(重陽節, 음력 9월 9일)과 비슷한 때이지요. 이때는 오곡백과를 수확하고, 타작이 한창이며, 단풍이 짙어지고, 여름새 대신에 기러기 등 겨울새가 오는 때입니다.

한로를 전후하여 국화전을 지지고 국화술을 담그며, 온갖 모임이나 놀이가 벌어집니다. 또 높은 산에 올라가 수유열매를 머리에 꽂으면 잡귀를 쫓을 수 있다고 믿는데, 이는 수유 열매가 붉은 자줏빛으로 붉은색이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 한로와 상강에는 시절음식으로 추어탕(鰍魚湯)을 즐겼습니다. ‘본초강목’에는 미꾸라지가 양기를 돋우는데 좋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가을에 누렇게 살찌는 가을 고기라는 뜻으로 미꾸라지를 추어(鰍魚)라 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영조 sol119@hanafos.com
Copyright @2013 우리문화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32. 그린오피스텔 306호 | 대표전화 : 02-733-5027 | 팩스 : 02-733-5028 발행·편집인 : 김영조 | 언론사 등록번호 : 서울 아03923 등록일자 : 2015년 | 발행일자 : 2015년 10월 6일 | 사업자등록번호 : 163-10-00275 Copyright © 2013 우리문화신문. All rights reserved. mail to pine9969@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