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9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 넓게 보기

우리의 기억 '해마를 찾아서'로 파헤쳐볼까?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우리는 기억에 관심이 많다. 하지만 기억이란 정확할 때보다 모호할 때가 더 많다.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기억은 왜 점점 흐려질까? 지난 일을 더듬을 때 종종 엉뚱한 기억을 떠올리는 것은 왜일까?  

 

연구에 따르면 기억이란 장소, 감각, 인물 등 여러 정보의 조각으로 각기 저장된 뒤, 회상할 때 다시 조합되어 꺼내진다고 한다. 뇌의 전반적인 영역에서 이뤄지는 복합적인 작용이기 때문에 아직 정확한 메커니즘을 가시화할 수는 없지만, 수많은 연구와 실험으로 밝혀낸 사실도 아주 많다.

 

 

그 중 하나는 바닷물고기 해마를 닮아 이름 붙여진 조그마한 뇌 조직이 기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대개 잊는 것을 두려워하고 경계하지만, 기억의 본질에 대해 알게 될수록 그런 불안을 덜어낼 수 있을 것이다.  윌바 외스트뷔가 지은 《해마를 찾아서 : 인간의 기억에 대한 모든 것》(민음사,2019, 안미란 번역)이 파헤쳐주는 우리 뇌 속 기억의 생태를 찾는 여정을 떠나 보자.

 

<자료: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