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이 2022년 등재 목표로 올해 1월 제출한 「가야고분군」(Gaya Tumuli) 세계유산 등재신청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의 완성도 검토를 통과하였다. *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 유네스코 세계유산의 등재 결정 및 보존 상태 점검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세계유산위원회와 세계유산협약 당사국 총회의 운영을 담당하는 사무국. 유네스코 본부(프랑스 파리) 소재 * 완성도 검토: 접수된 등재신청서가 형식 요건을 만족하는지의 여부를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가 검토하는 과정으로, 이 검토를 통과하면 이후에 본격적인 세계유산 등재 심사 절차가 진행됨(검토 미 통과시 등재신청서가 신청국으로 반려됨)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제140항에 따라 세계유산센터의 완성도 검사를 통과한 신청서는 그해 3월부터 다음 해 상반기까지 자문기구*의 서류심사, 현장실사, 2차례의 종합 토론 심사를 거치게 된다. * 문화유산은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이코모스 ICOMOS), 자연유산은 국제자연보존연맹(아이유씨엔 IUCN)이므로 가야고분군은 이코모스의 심사를 받게 됨 문화재청은 「가야고분군」이 이달부터 이러한 절차들을 거쳐 2022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지난 1월 19일 재개관을 기점으로 상설전시실 지하층 ’궁중서화실‘에서 전시하고 있는 <요지연도>를 3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꼽아 5일부터 온라인(유튜브)으로도 소개한다. * 국립고궁박물관 유튜브: https://www.youtube.com/gogungmuseum 문화재청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luvu 조선 후기 궁중을 중심으로 유행하였던 <요지연도>는 중국 고대 전설 속 서왕모(西王母)가 신선들의 땅인 곤륜산(崑崙山)의 연못인 요지(瑤池)에 주나라 목왕(穆王)을 초대해 연회를 베푸는 모습을 그린 그림이다. 이러한 <요지연도>는 미국의 소장자가 부친이 50여 년 전 주한미군으로 근무할 당시 사서 미국에 가져갔던 것으로, 문화재청이 환수 사업을 통해 지난해 고국으로 들여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전시 중인 작품으로, 환수유물에 대한 의미를 상기시키고자 3월의 큐레이터 추천 왕실 유물로 꼽았다. <요지연도>는 불로장생(不老長生)의 도교적 주제를 담은 신선도로 나라ㆍ왕조가 오랜 번영을 염원하는 뜻이 담긴 그림이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조선 시대 궁궐에 걸렸던 현판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수록한 《조선왕실의 현판Ⅰ》을 펴냈다. 《조선왕실의 현판Ⅰ》에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경복궁 현판 184점, 창덕궁 현판 91점, 창경궁 현판 44점, 경희궁 현판 41점, 덕수궁 현판 25점과 참고도판(13점) 등을 권역별로 세분화해 조사했으며, 현판이 본래 걸려 있었던 건물을 추적한 결과도 같이 수록하였다. 현판(懸板)은 여러 전각과 당(堂), 문(門), 루(樓) 등의 건물에 걸었던 나무판으로, 임금이 내린 지침이나 좋은 글귀, 시(詩), 명구(名句) 등을 돋을새김 또는 오목새김 등으로 새긴 것이다. 참고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 770점은 지난 2018년에 ‘조선왕조 궁중현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에 올라 세계적으로 그 값어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궁궐의 여러 전각이 헐리면서 철거되어 별도로 모아 관리되었던 것으로, 원래 걸었던 전각의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록에서는 현판 뒷면에…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과 익산시(시장 정헌율)는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ㆍ관리사업의 하나로, 익산 미륵사터 내 가마터 보호각을 새롭게 단장하고 3일부터 시민들에게 공개하기로 하였다. 그동안 색과 재질이 유적과 이질감이 있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기존 철 구조물을 이용해 현대적이면서 단순한 모양으로 바꿨으며, 화장실도 설치하여 관람객들의 편의도 도울 예정이다. 새로 단장한 보호각은 기존의 벽과 지붕을 없앤 뒤 진회색의 금속판으로 건물 전체를 감싸고 근처에 소나무를 심어 유적 경관과 조화를 이루게 하였다. 그리고 난간과 금속 창살은 커다란 투명 유리창으로 교체하고 전시 소개 안내판도 설치하여 가마의 모습도 더 정확히 관람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가마의 보존을 위해 환기도 더 잘되도록 하였다. 익산의 미륵사는 백제 무왕 대(600~641년)에 창건되어 1600년대까지 유지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해당 가마터는 조선 시대 기와 가마터로, 미륵사에서 기와를 자체 공급하기 위하여 만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가설 건물이던 기존 보호각을 한층 더 세련된 건축물로 새로 단장한 만큼 유적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진 모습을 기대할 수 있으며, 관람 편의시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직무대리 박관수)이 지원하는 3월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의 진행으로 전국 곳곳에서 펼쳐진다.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는 무형유산의 대중화와 보전ㆍ전승 활성화를 목적으로 해마다 열고 있으며, 3월에는 전국에서 모두 8건의 공개행사가 예정되어 있다. 다만, 코로나19의 지속적 유행과 사회적 거리두기 이행 등에 따라 부득이하게 기능 종목은 전시 위주로, 예능 종목은 무관객 혹은 최소관람 공연으로 진행된다. 코로나19로 인한 제한된 성과를 공유하고 국민이 일상에서 누릴 수 있는 문화서비스를 선제적으로 제공하고자, 무관객 공연은 행사가 끝난 뒤에 약 한 달 앞뒤로 국립무형유산원 누리집(www.nihc.go.kr, 전승지원 통합플랫폼)에서 온라인으로 영상을 공개할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에서는 모두 3건의 공개행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에서 ▲「제22호 매듭장」(보유자 정봉섭/3.18.~21.), ▲「제22호 매듭장」(보유자 김혜순/3.18.~20.) 그리고 성균관 대성전에서 ▲「제85호 석전대제」(3.20.) 공개행사가 진행된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수원화성과 화성행궁이 건립 당시 모습에 더 가까워진다. 수원시 화성사업소는 올해 화성행궁 2단계 복원공사를 시작한다. 남수동ㆍ지동 일원은 문화재보호구역으로 지정해 225년 전 수원화성 축성(築城) 당시 모습으로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 남수동 일원에 대규모 ‘한옥체험마을’을 조성한다. 1989년 10월, ‘화성행궁 복원’이라는 열망을 품은 시민들이 ‘화성행궁복원추진위원회’를 결성하면서 첫발을 뗀 ‘화성행궁 복원사업’은 33년 만에 대장정을 마무리하게 됐다. 당시 추진위원회는 ‘화성행궁을 복원하여 화성의 얼과 뿌리를 되찾자’는 구호를 내세워 화성행궁 터에 신축 예정이던 수원의료원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수원시는 1995년 화성행궁 1단계 복원사업을 시작해 2003년 끝내고, 이듬해부터 2단계 복원사업을 추진했다. 2단계 복원사업 대상은 우화관(于華館), 별주(別廚) 등 1단계 사업에서 복원하지 못한 시설이다. 《화성성역의궤》에 기록된 화성행궁은 모두 576칸 규모 정궁(正宮) 형태인데, 1단계 복원공사에서는 482칸만 복원됐다. 화성행궁 중심 권역 좌우에 초등학교와 민가가 있어, 수원시는 ‘단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서울 최대의 전문 재래시장 ‘남대문시장’, 우리나라 최초의 도시계획공원 ‘삼청공원’, 모더니즘의 대표시 ‘세월이 가면’ … 이 세 가지에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3월의 역사가 담긴 ‘서울 미래유산’이라는 점이다. 서울시는 ‘3월의 미래유산’을 선정하기 위한 시민투표를 지난 2.16(화) ~ 2.21(일)에 진행하였다. 3월의 역사와 이야기가 담긴 7개의 미래유산이 투표 후보로 제시되었으며, 그중 ‘남대문시장’, ‘삼청공원’, 시(詩) ‘세월이 가면’이 3월의 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다. ‘남대문시장’은 조선 태종 당시 시전으로 출발하여, 600년 가량의 유구한 역사를 보유하고 있는 서울의 대표 도매시장이다. 전국 최대의 도매‧소매상이라는 점, 하루 이용객 평균 30여만 명과 외국인방문객 1만여 명에 달하는 인지도 높은 시장이라는 점에서 미래유산으로 2013년도에 선정되었다. ‘삼청공원’은 1940년 3월 지정된 우리나라 최초의 도시공원이기에 2013년도에 미래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서울 도심부에 자리하여 서울 성곽의 역사와 자연 생태를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장소이며, 조성 이래 많은 시민들의 도심 속 쉼터로 기능하고 있다. ‘세월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문화재 지정번호제도 개선에 대한 대국민 의견수렴을 3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 광화문1번가에서 진행한다. * 광화문1번가 국민 참여 플랫폼(http://www.gwanghwamoon1st.go.kr, 정책참여, 설문ㆍ공청회) 문화재 지정번호제도는 국보나 보물 등 문화재 지정 시 순서대로 부여하는 번호지만, 일부에서 문화재 지정순서가 아닌 값어치 서열로 오인해 서열화 논란이 제기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비지정문화재, 근현대유산 등 문화유산의 외연이 확장되면서 기존의 지정된 문화재 위주의 보호ㆍ관리를 확장하여 아직 지정되지는 않았으나 보호 값어치가 있는 다양한 문화유산까지 보호ㆍ관리할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으며, 이러한 문화유산의 보호 범위 확대는 유네스코(UNESCO) 등 세계적인 문화유산 관리 체계와도 들어맞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문화재청은 현상변경 허가신청서 등 민간을 대상으로 하는 대외 문화재 행정에서는 지정번호를 사용하지 않고, 내부에서 관리하는 용도로만 지정번호를 사용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제도 변화에 따른 혼란을 최소화하고 제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광화문1번가 국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정사업본부(본부장 박종석)의 환수 문화재 기념우표(4종) 발행을 지원했다. 나라 밖에 있는 우리 문화재의 환수와 현지 활용 등을 담당하고 있는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따르면 현재 국외에 있는 문화재는 21개 나라에 약 19만 3,000여 점이며, 이중 환수된 문화재는 12개 나라 1만 838점이다. 이번에 기념우표로 발행되는 환수 문화재는 ▲ 경주 얼굴무늬 수막새(박일훈), ▲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헐버트, 베델), ▲ 명성황후 옥보(조창수),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전형필) 등 모두 4종으로 환수 과정에서 개인 차원의 노력이 반영되어 있는 문화재들이라서 그 값어치가 더욱 빛을 발한다. 환수 문화재 기념우표는 오는 26일 우정사업본부에서 모두 75만 2000 장이 발행되며 가까운우체국을방문하거나 인터넷우체국(www.epost.go.kr)에 신청하면 살 수 있다.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환수 공로자를 기억하고 홍보하기 위해 환수 우표 제작 지원을 포함하여 홍보책자 제작, 감사패 증정 등 다각적인 공로자 예우사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호남(湖南)을 대표하는 고찰(古刹) 백양사(白羊寺)에서 300년 넘게 전래된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를 보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장성 백양사 아미타여래설법도(長城 白羊寺 阿彌陀如來說法圖)」(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91호)는 1994년 9월 도난 되었으나, 2006년 9월 지금의 제자리로 환수된 특별한 의미가 있는 불화이다. 본존 아미타불이 여러 제자들에게 불교의 교리를 설법하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1775년(영조 51) 백양사 극락전 아미타불상을 중수하면서 새롭게 조성한 작품이다. 1775년 수화승 색민(嗇敏)을 비롯해 계헌 등 모두 11명의 화승들이 참여하여 그린 작품으로, 승려 환월당(喚月堂) 민숙(旻肅)이 외조모 유씨 부부와 부모 봉씨 부부가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며 주문 제작한 것이다. 승려가 이처럼 직접 대시주자(大施主者)로 나선 사례는 매우 드물다. * 수화승: 불화 제작에 참여한 화승집단을 이끈 역량이 가장 뛰어난 화승 * 색민(嗇敏): 18세기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로, 정확한 생몰년(生沒年)과 속명(俗名)은 알려지지 않음. 당시 전국적으로 이름이 높았던 의겸(義謙)의 제자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