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7 (목)

  • 구름많음동두천 3.5℃
  • 맑음강릉 8.1℃
  • 구름조금서울 4.5℃
  • 흐림대전 5.9℃
  • 구름많음대구 8.2℃
  • 흐림울산 9.0℃
  • 구름많음광주 7.2℃
  • 맑음부산 9.0℃
  • 흐림고창 7.5℃
  • 제주 11.1℃
  • 구름조금강화 3.3℃
  • 구름조금보은 5.5℃
  • 구름많음금산 5.9℃
  • 흐림강진군 8.4℃
  • 구름조금경주시 8.3℃
  • 맑음거제 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어싣기(연재)

전체기사 보기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토막구름

비바람이 토막 낸 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떠들썩하게 비가 쏟아지고 난 뒤, 혹은 펑펑 눈이 내리기 바로 앞의 하늘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온 하늘을 덮었던 시커먼 먹구름이 거친 바람에 뜯겨나가, 이리저리 찢긴 채 어지럽게 떠가는 모습. 예쁜 조각이 아니라 어딘가 거칠고 볼품없이 잘려 나간 듯한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궂은 날씨가 남기고 간 거친 숨결 같은 구름, '토막구름'입니다. '토막구름'은 이름에서부터 뚝뚝 끊어진 느낌이 듭니다. '토막'은 "크게 덩어리진 물건이 잘라졌을 때의 그 짤막한 부분"을 뜻하는 말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난층운이나 적란운이 조각난 것. 흔히 비나 눈이 내리는 전후에 나타난다.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나오는 어려운 한자말을 우리 토박이말로 풀어보면 그 모습이 더 생생하게 다가옵니다. '난층운(비구름/안개구름)'이나 '적란운(쌘비구름/소나기구름)'은 모두 비나 눈을 잔뜩 머금은 크고 두꺼운 구름들입니다. 그러니까 '토막구름'은 비나 눈을 뿌리는 큰 구름 덩어리가 거친 바람에 찢어지거나, 비를 다 뿌리고 흩어지면서 '토막토막' 끊어져 나간 구름을 가리킵니다. 앞서 만난 '조각구름'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조각구름

조각 조각 하늘에 떠 있는 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티 없이 맑고 파란 하늘도 좋지만, 가끔은 너무 넓어서 텅 비어 보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하얀 솜을 조금 떼어 흩뿌려 놓은 듯, 또는 누군가 하늘에 띄워 보낸 작은 종이 조각 같은 구름이 둥실 떠가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커다랗게 뭉친 구름이 주는 우람함과는 달리, 작고 아기자기한 멋을 주는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하늘의 빈 곳을 아름답게 채워주는 '조각구름'입니다. '조각구름'은 그 이름만 들어도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는 참 쉬운 우리말입니다. '한 조각', '두 조각' 할 때의 그 '조각'들이 하늘에 떠 있는 모습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여러 개의 조각으로 흩어져 있는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끊어진 듯이 떠 있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조각구름'은 하늘을 다 덮거나 크게 뭉쳐 있는 것이 아니라, 작게 뚝뚝 떨어져서 흩어져 있는 구름을 말합니다. 한자말로는 끊어진 구름이라는 뜻의 '단운(斷雲)'이나, 조각 구름이라는 뜻의 '편운(片雲)'이라고도 부릅니다. 하지만 '조각구름'이라고 하면, 마치 종이 조각처럼

《손자병법》으로 깨우치는 ‘인생병법’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읽어야 할 손자병법》, 손무 지음, 박훈 옮김, 탐나는책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삶은 전쟁터다. 매일 승부가 갈리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해 다투어야 할 때도 있고, 한 걸음 물러서야 할 때도 있다. 그런 하루하루의 전투가 모여 삶이라는 거대한 전쟁이 된다. 2,500여 년 전 ‘손무’라는 책사가 지은 《손자병법》은 그래서 오늘날에도 유효한 삶의 지침서다. 진짜 전쟁에서 적군을 상대하는 군인은 물론이고, 일상에서 분투하는 평범한 이들에게도 《손자병법》은 꼭 한번 읽어볼 만한 ‘실용서’다. 이 책은 그런 《손자병법》의 원문에, 지은이 박훈이 해설과 사례를 곁들인 책이다. 고전은 대개 원문만으로는 그 웅대한 뜻을 깨치기 어렵고, 해설과 함께 보아야 그 뜻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고전의 글귀에 대한 좋은 해설을 듣기 위해 식견이 높은 선생을 찾아가 배우곤 했다. 이 책 또한 용병의 원칙과 전쟁의 기본에 대해 상세히 풀이하고, 중국 역사와 우리 역사를 인용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는다. 우리 역사가 나오는 사례는 비록 많지 않지만, 하나하나 새겨보면 오늘날 업무를 할 때도 적용할 만한 부분이 많다. ‘만반의 준비가 되어 있으면 두려울 것이 없다’ 편에서는, 적이 공격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보

여전히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

자기 세계관에만 사로잡혀 토론과 설득이 안 돼 [양승국 변호사의 세상 바라기 304]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지금은 지구가 둥글다는 것에 대해 반대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 같지요? 그런데 지금도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있습니다. 과학적 이론을 들출 것 없이 인공위성이 지구궤도에서 찍은 사진만 보더라도 지구가 둥글다는 것은 도저히 반박할 수 없을 것 같은데, 아직도 그런 사람들이 있다는 것입니다. 성경을 글자 그대로 믿는 사람들 가운데는 세계가 견고히 서서 흔들리지 않는다는 성경구절(역대상 16:30, 시편 93:1, 시편 96:10)에서 지구는 평평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우리나라에서는 2018. 3. 17. 성순출판사에서 <평평지구 국제컨퍼런스 인 서울>이라는 회의를 열었는데, 클락 바너드, 다릴 디 마블, 나탄 톰슨이라는 세계적 지구평평론자들이 와서 강연을 했답니다. 당시 포스터를 보니 “우리 아이들에게 진실의 세계를 보여주고 그동안의 무지를 반성하고자 함에 있다”라고 쓰여있습니다. 그러면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에 대해 이들은 어떻게 생각할까요? 한 마디로 음모론이라고 일축한답니다. 이런 사람들은 부정선거론자들처럼 종교적 믿음의 단계에 들어서 있기 때문에 아무리 확실한 증거를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위턱구름

하늘 맨 꼭대기 얼음으로 된 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우리가 사는 집에 켜(층)가 있듯이, 머리 위 드넓은 하늘에도 켜(층)가 있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손에 잡힐 듯 낮게 깔린 구름이 있는가 하면, 고개를 한껏 젖혀도 닿을 수 없을 만큼 까마득히 높은 곳에서 엷게 빛나는 구름도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하늘이라는 집의 가장 높은 곳, 그 윗목에 머무는 구름, '위턱구름'입니다. '위턱구름'은 이름에서부터 그 높이가 느껴지는 말입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이렇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대기권 윗부분에 떠 있는 구름. 권운, 권적운, 권층운이 이에 포함되며, 대류권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름 입자는 주로 얼음의 결정으로 이루어진다. 《표준국어대사전》 높은 공중에서 생기는 구름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위턱구름'은 땅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높은 하늘(보통 6km 위쪽)에 떠 있는 구름입니다. 이곳은 숨씨(공기)가 거의 없고 몹시 춥기 때문에, 구름이 물방울이 아닌 작고 투명한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됨됨(특징)이지요. 우리가 자주 보았던 '새털구름(권운)', '비늘구름(권적운)', '털층구름(권층운)

좋은 정보 주셨는데, 맥주 대접해도 되겠죠?

이뭐꼬의 장편소설 <꿈속에서 미녀와> 41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이틀 뒤 K 교수는 야간 강의가 끝난 뒤에 미녀식당을 방문하였다. 미녀식당은 점심시간에는 붐벼도 막상 저녁 시간에는 손님이 별로 없다. 미스 K를 보려고 점심시간에는 S대 교수들이 많이 오지만 저녁 5시만 되면 교수들은 서울에 있는 집에 가기에 바쁘다. 저녁 8시가 넘으면 미녀식당은 대체로 한산하다. 미녀식당에서는 간단한 차와 음류수를 팔지만 젊은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서는 적당하지 않다. 야간 강의가 끝나면 9시 30분쯤 되고, K 교수가 그 시간에 방문하면 대개는 미스 K 혼자서 음악을 들으며 빈 식당을 지키고 있다. 그날도 K 교수가 방문하자 미스 K는 심심하던 차에 잘 되었다는 듯이 반갑게 맞아 주었다. “스파게티 팔아서 부자가 되려면 아무래도 식당을 알리는 광고가 필요하지 않겠어요?” “그러면 좋겠는데, 어떻게 해야 할지 막연하네요.” “그래서 이왕 제가 미녀식당의 홍보이사를 맡았기 때문에 그동안 열심히 정보를 수집하였습니다.” “무슨 정보를요?” 학교 후문으로 나오면 슈퍼가 하나 있고, 그 앞에 주간 광고신문인 ‘벼룩시장’이 무인 전시대에 진열되어 있다. 아무나 필요한 사람은 가져가면 된다. 거기에는 구직광고

새벽 배송은 생체시계와 어긋난다

이상훈 교수의 환경이야기 129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프랑스의 천문학자 마랑(Mairan)은 18세기 초에 미모사(콩과의 한해살이풀)를 키우다가 신기한 현상을 발견했다. 창가에 둔 미모사가 늘 같은 시간에 태양을 향해 잎을 여는 것이었다. 빛의 영향일까? 마랑은 미모사를 캄캄한 방안에 갖다 놓았지만, 여전히 미모사는 아침마다 잎을 열고 저녁에는 닫았다. 그는 1729년에 파리 과학아카데미에 실험 결과를 보고했다.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처럼 식물도 밤낮을 느끼는 섬세한 감각을 지닌 것 같다.” 마랑의 생체시계 발견은 다른 식물에서도 관찰되었고, 동물에서는 초파리를 대상으로 연구되었다. 인간의 몸에도 생체시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 것은 1960년대에 독일의 막스플랑크 연구소에서 시도한 실험을 통해서였다. 사람을 어두운 지하 창고에 살게 하고 행동을 조사한 결과, 밤낮을 모르는데도 거의 24시간 간격으로 잠을 자고 깨어나기를 반복한 것이다. 외부 빛과 상관없이 우리 몸에서는 자발적으로 생체시계가 작동해 우리 몸을 조절하는 것이다. 인간의 생체시계는 두 눈의 뒤쪽 뇌 가운데에 자리 잡은 시신경 ‘교차상핵(SCN)’이라 불리는 곳에 있다. 생체시계는 약 2만 개의 신경세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