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나더러 누가 우리 역사상 혁명가를 단 한 명만 꼽으라 한다면 김옥균(1851-1894)을 꼽고 싶다. 김옥균처럼 혁명가의 모든 요소를 한 몸에 지닌 이는 드물지 않을까 한다. 알면 알수록 그런 생각이 든다. 그는 사상가였고 선(禪) 수행가였으며 불꽃 같은 혁명가였다. 무엇보다 죽음과 삶의 경계를 초월한 초인이었다. 게다가 글씨, 노래, 화술, 바둑 등 사람을 홀리는 재주와 매력이 탁월하였다. 그 때문에 많은 일본 여성이 그를 흠모하였고 한국인뿐 아니라, 일본인, 중국인, 서양인들을 매료시켰다. 그런 기록들이 나라 안팎에 흩어져 있다. 여태 두서없이 김옥균에 관한 이야기를 단편적으로 해왔다. 앞으로도 두서없는 이야기를 이어가 보련다. 요즈음 창비 출판사에서 ‘한국사상선’을 펴내고 있는데 그 17번째(2024)가 《김옥균/ 유길준/ 주시경》이다. 여기 소개된 김옥균을 참고하여 짚어본다. 김옥균이 망명 중에 임금에게 보낸 상소문 일부다. 이제 조선을 위하여 도모하건대 청국은 본래 믿지 못할 것이요 일본도 또한 그러하여 이 두 나라는 각기 자기 집 유지에 여력이 없는 모양이온데, 어느 겨를에 타국을 도우리까…. 우리나라는 오직 밖으로는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어느 맑은 날, 하늘을 올려다보았는데 파란 하늘이 어딘가 모르게 뿌옇게 보일 때가 있습니다. 마치 유리에 입김을 불어넣은 것처럼요. 그러다 문득 해를 바라보면, 해 둘레에 둥글고 아름다운 무지개 띠가 걸려 있는 모습을 보기도 하지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하늘에 야릇한 빛의 반지를 끼워주는 구름, '햇무리구름'입니다. '햇무리구름'은 하늘을 온통 뒤덮고 있지만, 너무나 얇고 투명해서 구름이 낀 줄도 모를 때가 많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햇무리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온 하늘을 뒤덮은 엷고 흰 면사포 모양의 구름. 높이 5~13km 사이에 나타나며 햇무리, 달무리를 잘 일으킨다. 《표준국어대사전》 높이 5~13킬로미터 사이에 분포하고, 미세한 **얼음의 결정(알갱이)**으로 이루어진 구름. 흰 면사포 모양이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햇무리구름'은 하늘 아주 높은 곳(위턱)에 넓고 얇게 퍼져 있는 구름입니다. 이곳은 기온이 낮아 물방울이 아닌 작은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지요. 이 구름의 가장 큰 됨됨(특징)은 햇빛이나 달빛을 가리지 않고 꿰뚫고 지나간다는 것입니다.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손자들이 초등학교 6학년이 되고 중학교 2학년이 되더니 목소리가 소프라노에서 테너와 바리톤으로 내려가고 목에 돌기가 튀어나온다. 남자아이나 여자아이가 성장하면서 목소리가 어른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목젖의 구조도 변한다고 하는데 유난히 남자 아이들이 많이 튀어나온다. 나 자신도 처음에는 목소리가 굵어지는 것이 조금 창피했지만, 나중에는 그게 어른의 징표라니 나도 어른이 되는가보다 하며 인정하고 들어간 뒤에야 마음이 편해진 기억이 있다. 그런데 그렇게 튀어난 목의 돌기를 사람들이 '아담의 사과'라고 부른다는 말을 듣고 은연 중에 우리는 이것을 히브리사람들이 최초의 인류조상이라고 생각하는 아담이 이브의 권유로 사과를 먹다가 목에 걸린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아마도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을 통해 이런 말을 들어서일 것이다. 교회 쪽에서 알려주는 '아담의 사과' 이야기는 이렇다. 야훼 하느님께서 만드신 들짐승 가운데 제일 간교한 것이 뱀이었다. 그 뱀이 여자에게 물었다. "하느님이 너희더러 이 동산에 있는 나무 열매는 하나도 따먹지 말라고 하셨다는데 그것이 정말이냐?" 여자가 뱀에게 대답하였다. "아니다. 하느님께서는 이 동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