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하늘에 솜을 뜯어 둥실둥실 띄워 놓은 듯한 구름. 우리는 이 살가운 구름을 '뭉게구름'이라는 이름으로 참 자주 부르지요. 바라만 보아도 마음이 넉넉해지는 이 구름에, '뭉게구름'만큼이나 멋진 우리 토박이말 이름이 또 하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이름은 바로 그 또 다른 이름, '쌘구름'입니다. '쌘구름'이라는 이름이 조금 낯설게 들리실 수도 있겠습니다. '쌘'이라는 말은 '쌓이다'의 준말 '쌔다'의 매김꼴(관형형)이랍니다. 구름의 생김새가 아마도 솜이나 볏단처럼 무언가를 차곡차곡 '쌓인 듯한' 모습을 보고 만든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쌓인 구름'이 '쌘구름'이 된 것이지요. 말집(사전) 풀이를 보면 더욱 또렷해집니다. 수직운의 하나. 뭉게뭉게 피어올라 윤곽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구름으로, 밑은 평평하고 꼭대기는 솜을 쌓아 놓은 것처럼 뭉실뭉실한 모양이며 햇빛을 받으면 하얗게 빛난다. 무더운 여름에 상승 기류로 말미암아 보통 2km 높이에서 생기는데, 발달한 구름 꼭대기는 1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며 비는 내리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 수직 방향으로 뭉게뭉게 피어올라 대체로 확실한 윤곽이 나타나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학연과 학유. 정약용이 끔찍이 아꼈던 두 아들의 이름이다. 수많은 책을 쓴 저자이자 사상가, 교육자로 잘 알려진 정약용은 실은 유명한 ‘사랑꾼’이기도 했다. 아내에 대한 사랑도 깊었지만, 자식들에 대한 사랑이 더욱 각별했다. 유배지에 가서도 혹시나 아이들이 엇나갈까 늘 노심초사하며 편지를 보냈다. 한문희가 엮은 이 책, 《아버지의 편지》는 정약용이 유배지에서 아이들에게 보낸 편지를 오늘날에도 보기 쉬운 입말로 풀어쓴 책이다. 편지 원문 뒤에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설과 간단한 생각할 거리도 곁들여 깊이를 더했다. 그는 부인 홍씨 사이에 6남 3녀를 두었지만 대부분 일찍 죽고 2남 1녀만이 남았다. 유배 전까지만 해도 아들들이 자신의 대를 이어 과거급제하고 입신양명하길 바라는 평범한 가장이었다. 그러나 무려 18년 동안이나 유배를 당하면서 자식교육은 가시밭길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자신이 지은 글을 수시로 보내고, 책 읽기를 독려하고, 어떻게 공부해야 하며 어떤 태도로 삶을 살아야 하는지, 편지로 상세히 일러주었다. 때로는 왜 아버지가 보낸 글을 읽지 않느냐고 살짝 질책하기도 했다. (p.20)연아, 유아야. 너희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장천1호 고분의 아픔 내려다보면 푸른 오리나래 (빛) 말 타고 사냥턴 이 어디 갔나 (돌) 뒷산 그리메로 낙엽은 지고 (달) 풍류도 회복할 날 기약하네 (심) ... 24.11.11. 불한시사 합작시 길림성의 집안시에서 압록강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장천분지(長川盆地)의 동쪽에 압록강이 내려다보이는 낮은 언덕이 있는데, 그곳에 아담한 고분 두 채가 있다. 둘레가 88m에 높이가 6m로 그곳에서 가장 큰 봉토돌방무덤이다. 장천1호 고분은 불교내용을 많이 담은 묘실벽화로 유명하다. 당시 도교적 신화로 채워진 중국 남북조 시대의 고분과 뚜렷이 구분된다. 묘실 앞방에 예불도, 보살도 및 비천도가 그려졌고, 연꽃그림이 무덤 안을 가득 채우고 있다. 제작 시기는 고구려의 전성기인 5세기 후반으로 알려져 있다. 불한시벗 가운데 한 분은 1990년대 초에 방문하여 묘실벽화를 직접 보았다. 그 감동을 맛보려 모두 설렘에 부풀어 있었지만, 막상 묘실이 닫혀있는 사연을 듣고 뜨악했다. 묘실벽화가 도굴꾼에게 훼손되었다는 것이다. 도굴꾼 가운데 장천마을 사람은 잡혀서 사형당했다는데, 나머지 도망간 한국인들은 오리무중이란다. 그들은 묘실벽화의 한 부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