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사마르칸트는 중앙아시아 고대 연구의 중심지로서 2001년에 <사마르칸트, 문화의 교차로>라는 제목으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인터넷에서 사마르칸트를 검색해 보니 다음과 같은 정보가 나온다. 중앙아시아에서 오래된 도시들 가운데 하나다. 기원전 4세기에는 마라칸다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기원전 329년 알렉산더 대왕에게 점령되었다. 기원후 6세기에는 투르크인, 8세기에는 아랍인, 9~10세기에는 이란의 사만 왕조, 11~13세기에는 투르크계 종족들의 지배 아래 있다가 호라즘 왕국에 합병되었다. 1220년에는 몽골의 정복자 칭기즈칸에게 점령되고 호라즘 왕국은 멸망하였다. 1365년 아미르 티무르가 몽골 통치자들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킨 후 티무르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티무르는 공공집회를 할 수 있는 모스크(mosque, 군사ㆍ정치ㆍ사회ㆍ교육 따위의 공공 행사가 이루어지는 건물)인 비비하눔과 자신의 능묘를 세우고 사마르칸트를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경제ㆍ문화 중심지로 만들었다. 1,500년 우즈베크인들에게 정복되었고 부하라칸국의 영토가 되었다. 18세기에 이르러 사마르칸트는 쇠퇴했으며 1720~1770년
[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오늘은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유명한 역사 도시인 사마르칸트를 관광했다. 타쉬켄트에서 사마르칸트까지는 313km, 기차로 3시간이 걸린다. 아침 일찍 일어나 빵을 2조각씩 굽고 달걀부침 2개에 사과까지 곁들여 근사한 식사를 만들어 먹었다. 배낭을 메고 몸자보(가슴이나 등에 붙이는 대자보) 2개를 가슴과 배낭에 붙이고 생명탈핵 깃발을 들고 씩씩하게 출발을 했다. 그런데 우리가 기차표를 예매했던 타쉬켄트 역에 도착하니 사마르칸트로 출발하는 기차역은 다른 곳에 있다고 한다. 걸어갈 수 있는 거리가 아니었다. 버스가 있다지만 시간이 급해서 택시를 탔다. 택시로 10분쯤 달리니 한적한 곳에 역이 나타난다. 자유여행하는 관광객이라면 매우 조심해야 할 사항이다. 서둘러 기차를 타니 그제야 안심이 된다. 사마르칸트까지 가면서 창밖을 보니 건조지대라는 것이 눈에 띈다. 숲이 보이지 않고 들판은 초원으로서 땅은 매우 건조해 보였다. 경작지가 보이기도 하는데, 내려서 확인하지는 않았지만, 물길이 닿아야 농사를 지을 수 있을 것이다. 우즈베키스탄의 자연환경은 목축에 적합하다. 지리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면 1년에 강수량이 250mm 이내이면 사막, 250~7
[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김병화 박물관은 원래 김병화 농장이 있던 곳에 세워졌다. 1974년에 김병화가 죽은 후 농장은 차츰 쇠퇴해졌다. 잇단 생산 목표 초과 달성에 판단력이 흐려진 중앙정부가 과도한 목표를 지시하기 시작했다. 아랄해 유역 상류의 사막화가 심해짐에 따라 수확량이 줄어들게 되었다. 1980년대에는 목화 생산량이 소련 평균보다 낮아졌고 모범 농장이라는 과거의 영광을 잃어버렸다. 1991년에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한 이후 농업 정책이 바뀌었다. 예전에는 무료로 제공되는 땅에서 농사를 지어 수확량의 일부만 집단 농장에 내면 됐지만 이제는 농사를 지으려면 돈을 내고 땅을 빌려야 했다. 자연히 농사의 수익성이 떨어졌고 이농 현상이 심화되었다. 농토를 떠난 고려인들은 도시에서도 취직이 여의치 않아 살길을 찾아 러시아, 카자흐스탄 등으로 흩어지기 시작했다. 연해주로 다시 되돌아가는 고려인들도 나타났다. 김병화와 고려인들의 희생과 노력으로 소련 내에서의 고려인 이미지는 매우 좋았다. 현재 우즈베키스탄에서도 근면하고 성실한 고려인은 매우 좋게 평가받는다고 한다. 1976년에 준공한 김병화 박물관에는 김병화가 사용한 집기와 가구들, 그리고 당시의 생활상을 담은…
[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점심 식사를 끝낸 뒤에 막상 출발하려니 햇볕은 쨍쨍 내리 쬐고 날씨가 너무도 더웠다. 병산이 슬기전화(스마트폰)로 일기예보를 확인해 보니 기온이 낮 3시에는 40도까지 오른단다. 결국 병산은 이런 폭염에 걷는 것은 아무래도 무리이니 버스를 타고 가자고 말한다. 나도 찬성했다. 병산이 슬기전화로 버스 노선과 버스 번호를 확인한 뒤에 우리는 김병화박물관 방향으로 가는 버스를 탔다. 얼마쯤 가다가 버스에서 내렸는데, 말이 끄는 짐마차가 지나간다. 병산이 마차를 세우고 ‘김병화박물관’을 우즈벡어로 말하면서 손짓 발짓을 하다 보니 마부가 우리를 마차에 태워준다. 말이 끄는 짐마차에 타다 우리는 짐마차를 타고 약 2km 정도 갔는데, 마부가 내리라고 손짓을 한다. 병산은 택시비 정도에 해당하는 돈을 마부에게 주었다. 병산이 다시 슬기전화로 확인하더니 다른 버스를 기다리자고 말한다. 다시 버스를 타고 한참 가다가 마을 입구에서 내렸다. 거기서부터는 시골길을 걸어서 김병화박물관으로 갔다. 우리가 1960년대에 보던 한가하고 한편으로 정겨운 느낌이 나는 그런 시골길이었다. 막상 김병화박물관에 도착하였는데, 철문이 잠겨 있었다. 난감했다.…
[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우즈베키스탄 나라 이름의 끝 글자 글자 스탄은 페르시아어로 ‘땅’이라는 뜻으로 민족 이름 뒤에 붙여 그 민족의 영토라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우즈베키스탄은 우즈벡 족이 사는 땅이라는 뜻이다. 스탄으로 끝나는 나라들은 모두 이슬람교를 믿으며 터키어 계통의 말을 쓰고 있다. 나는 인터넷을 검색하여 탄자로 끝나는 나라들의 인구와 면적을 비교하는 표를 다음과 같이 만들어 보았다. 위 표를 보고서 나는 카자흐스탄이 인구는 많지 않은데 면적은 남한보다 27배나 넓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작아서 살기 좋은 나라일 것 같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사업가인 나의 친구는 위 표를 보고서 파키스탄의 인구가 2억 명이나 되기 때문에 사업하려면 파키스탄이 좋을 것 같다고 말하였다. 재미있는 현상이다. 누구나 자기의 관점에서 세상과 사물을 바라보는 것이다. 타슈켄트는 우즈베키스탄의 수도인데 인구가 300만 명이나 되는 대도시이다. 타슈켄트라는 이름은 투르크어로 ‘돌(Tosh)의 도시(Kent)’라는 뜻이다. 중국 사람들은 타슈켄트에 있는 부족 국가를 석국(石國)이라고 불렀다. 타쉬켄트는 큰 도시로서 구소련 시절에는 모스크바, 기에프, 민스크와 함
[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2019년 7월 15일 월요일, 저녁 5시에 출발하는 비행기를 타기 위하여 2시간 전에 인천공항 제1터미날에 도착하였다. 인천공항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공항답게 쾌적하고 모든 시설이 완벽했다. 나는 기내로 가지고 들어갈 수 있는 작은 여행가방과 등에 맨 작은 가방만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출국 수속은 간단하였다. 이미 인터넷으로 예약을 하고 전자 예약증을 휴대폰에 저장하고 있었으므로 모든 절차가 빠르게 처리되었다. 탑승권은 카운터를 거치지 않고 자동기계에서 발급받았다. 주민등록증이 필요 없이 전자 여권 하나로 모든 수속이 가능했다. 이제는 정말로 아무도 부인할 수 없게 슬기전화(스마트폰) 세상이 되었다.슬기전화 하나로 대부분의 일을 처리할 수 있다. 아무리 나이가 들어도 새로운 문명의 이기인 슬기전화 사용법을 익혀야 세상에 적응을 하고 나머지 인생을 편리하게 보낼 수가 있다. 어느 순간에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새로 배우기를 거부하면 어김없이 젊은이들로부터 꼰대 소리를 듣게 되고 남은 인생이 불편해진다. 인천공항 대합실에는 ‘에어스타(Airstar)’라는 이름의 로봇이 혼자서 돌아다니고 있었다. 영어로 말을 걸면 같이 사진을…
[우리문화신문=이상훈 교수] 나는 지난 2019년 7월 15일부터 8월 11일까지 4주 동안 중앙아시아에 있는 우즈베키스탄, 그리고 중동지방에 속하는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터키를 여행하였다. 일반적으로 중앙아시아는 카스피해 동쪽의 건조 지대를 말하는데 비가 적게 내리기 때문에 주민들은 오랜 동안 농사 대신 유목 생활을 주로 하였다. 사전을 찾아보면 중앙아시아는 중국과 유럽의 중간에 있는 나라들을 가리키는데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아프카니스탄 등 탄자(字)로 끝나는 나라들이 중앙아시아에 속한다. 중앙아시아 나라 국민들은 종교로 이슬람을 믿는다. 중앙아시아는 러시아의 지배를 받다가 1991년 소련이 붕괴되면서 독립했다. 카스피해(海)의 서쪽에는 아제르바이잔, 조지아, 아르메니아 등 코카서스 3국이 있고, 더 서쪽으로 터키에 연결된다. 아제르바이잔과 터키는 이슬람을 믿으나 조지아와 아르메니아는 기독교(정교회) 국가이다. 이번 여행 경로는 우즈베키스탄의 타쉬켄트에서 터키의 이스탄불까지 가는 긴 여정이다. 이 지역은 여러 왕조가 흥망성쇠를 거듭한 분쟁 지역이며, 과거에 실크로드가 지나가는 경로였다. 나는 4주 동안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