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추석(秋夕)’?, 우리말 “한가위”로 써야 한다

[편집국에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어제 경향신문은 추석선물 특집이란 기사를 올렸다. 그러면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마음만큼만 전하세요.”라고 한다. 여기서 아쉬운 것은 한가위라는 우리의 좋은 말이 있는데도 추석(秋夕)이라는 한자말을 쓴 것이다. 한술 더 떠 유한양행은 추석을 한자로 썼다. 물론 일동제약처럼 온전한 우리말 "한가위"라고 쓴 광고도 보인다. 





그런데 우리의 삶 속에 아직 한가위보다는 추석이 대세다. 특히 우리말 사랑에 앞장서야할 정부와 언론이 여전히 추석을 즐겨 쓰고 있으니 참 안타깝다.

 

추석이라는 말은 5세기 송나라 학자 배인의 사기집해(史記集解)에 나온 추석월(秋夕月)”이란 말에서 유래한다. 여기서 추석월의 뜻은 천자가 가을 저녁에 달에게 제사를 드린다는 뜻이었으니 우리의 명절과 잘 맞지 않는 말이고, 더구나 중국 사람들조차 이 말을 거의 쓰지 않는다.



그에 견주면 한가위는 뜻과 유래가 분명한 우리 토박이말이다. “한가위크다는 뜻의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라는 말이 합쳐진 것으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가위'라는 말은 신라에서 유래한 것인데 다음과 같은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신라 유리왕 9년에 나라 안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음력 7월 열엿새 날부터 8월 보름까지 길쌈을 짜게 하였다. 그리곤 짠 베로 승부를 가름하고, 진편에서 술과 음식을 차리고 이 날 달 밝은 밤에 길쌈을 한 부녀자들이 밤새도록 강강술래회소곡을 부르며, 춤을 추고 흥겹게 놀았다. 이것을 그 때 말로 가배가위라고 하였다.” 한가위를 가위, 가윗날, 가배절, 가붓날이라고도 하는데 다 여기서 유래한 말이다.


따라서 말의 유래가 우리 것이 아닌 데다 우리와는 맞지 않는 추석(秋夕)이라는 말보다는 신라에서부터 오랫동안 쓰인 우리 겨레의 토박이말 한가위를 써야 할 일이다.

 

여기서 한 가지 더 한가위 되세요.”라는 말에 대해서 생각해 본다. 이 말에서는 임자말(주어)이 생략되어 있는데 임자말은 이 말을 듣는 사람일 것이다. 그렇다면 되세요는 명령 투의 말이 되어 매우 어색하다. 그리고 즐거운 한가위가 것이 어디 맘대로 되는 것인가? 따라서 한가위 보내세요로 하든지 아니면 차라리 예전부터 써오던 말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되어라를 써야 할 일이다. 한가위 이벤트”, “한가위 대축제보다는 한가위 큰잔치라고 쓰면 우리말 사랑하는 일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