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효장세자(孝章世子)를 장사지냈다. 임금이 시민당(時敏堂)에 나아가 망곡(望哭)을 하였고, 백관(百官)들은 집영문(集英門) 밖에서 곡하였다.” 이는 《영조실록》 21권, 영조 5년(1729년) 1월 26일 기록입니다. 《영조실록》은 뒤이어 “아! 통탄스럽다. 무신년(1728년) 11월 16일 해시(亥時)에 창경궁 진수당(進修堂)에서 훙서(薨逝)하였으니 곧 사기일(私忌日)이며, 나이 겨우 10살로써 왕세자에 있는지 겨우 4년이었다. (가운데 줄임) 아! 나의 비덕으로 믿는 바는 오로지 왕세자였고, 성품이 또한 이와 같았기에 동방(東方)의 만년의 복이 될 것을 바랐는데, 어찌 나이 겨우 10살 만에 이 지경에 이를 줄 생각했겠는가?”라고 영조는 통탄해했습니다. 사실 효장세자는 ‘효성이 지극했고, 아버지 영조를 빼닮아 모습이 의젓하고 행동이 침착했다.’라고 합니다. “어느 날 서운관에서 탁상시계인 문신종(問辰鐘)을 바치자 그냥 서당에 놓아두었다. 한데 젊은 내관이 그것을 구경하다 잘못 건드려 고장이 나버렸다. 영조가 서당에 찾아왔을 때 중관이 그 일을 고하면서 내관을 처벌해 달라고 청했다. 하지만 영조는 우연히 일어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 이야기는 김동석이 오래전부터 미국의 교사들을 위한 한국문화 강좌(Korean History and Culture Seminar for American Educator) 시리즈를 계속해 왔다는 이야기와 함께 LA 교육국에서 한국음악을 교육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LA지역에서 처음으로 국악방송을 시작한 이야기를 소개해 보기로 한다. 김동석이 UCLA으로 유학을 떠난 해는 1971년도이니 올해로 꼭 50주년이 된다. 그때를 회고하는 그의 말이다. “당시 이곳의 한인 인구는 1만 명도 안 되었지요. 지금처럼 번듯한 한국식품점도 없어서 거의 모두가 미국인이나 일본인 마켓을 이용하고 있었고, 한인교회도 장로교회와 감리교회가 각각 하나씩 있었을 뿐이었으며 당시 한국어 방송을 들을 기회는 없었어요. 다만 <한국일보> 미주 지사가 유일하게 교포들에게 고국의 소식과 한인들의 소식을 전해주는 유일한 미디어였으니까요. 그 뒤, 이민 조건이 완화되어 한국으로부터 많은 이민자가 오게 되면서 코리아타운이 기존의 크렌셔 지역에서 지금의 올림픽가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었지요. 올림픽 거리에 한국식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 검소하지만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지만 사치스럽지 않다 -「조선경국전」- ‘의금상경(衣錦尙絅)’ 비단옷을 입고 그 위에 홑겹의 얇은 옷을 덧입어 화려함을 드러내지 않는다 -「중용」- 검이불루 화이불치. 김부식이 《삼국사기》에서 백제의 궁을 평하며 사용한 이 표현은 정도전이 조선경국전에서 궁궐 건축의 도(道)를 이야기할 때 다시 한번 소환됐다. 조선의 미감을 단박에 정리해낸 이 여덟 글자가 뜻하는 바는, 바로 균형감각이었다. 검소하되 곤궁해 보이지 않고, 화려하되 과시하지 않는 이런 균형감각은 조선왕조 전체를 관통한 미의식이었다. 중용에 나오는 ‘의금상경(衣錦尙絅)’ 또한 ‘검이불루 화이불치’와 그 맥을 같이한다. 군자는 비단옷의 광택이 지나치게 드러나는 것을 염려해 비단 위에 얇은 삼베를 덧입어 색감이 은은히 드러나도록 했다. 대개 조선의 미감이란, 이렇듯 절제와 조화와 균형이었다. 과하게 꾸미지 않아도 무심히 배어 나오는 아름다움, 그것이 조선의 미감이었다. 여기, 조선왕실의 이런 균형감각에 주목한 멋진 전시가 열리고 있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산하 전통문화상품개발실은 학생들이 조선왕실의 문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수칙이 조정됨에 따라 서울역사박물관(관장 배현숙)은 그동안 공개하지 못했던 기획전시를 시민들에게 공개한다. 현재 관람할 수 있는 기획전시는 서울생활사박물관 <세대 공감-최달용의 서울살이>, 청계천박물관 <미디어아트X세운상가>, 한양도성박물관 <광희문, 수구문, 시구문>, 공평도시유적전시관 <한양의 家, 견평방 가옥> 등 사전예약제를 통해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관람은 서울역사박물관 누리집(museum.seoul.go.kr/)을 통해 이용방법을 미리 확인하고, 마스크 착용, 입장 전 발열체크, 참석명부 작성 등 방역지침을 준수해야 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본관을 비롯하여 서울생활사박물관, 한양도성박물관, 청계천박물관, 동대문역사관ㆍ동대문운동장기념관, 경희궁, 백인제가옥 등을 비롯한 11개의 분관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아버지 새대 청년시절의 일상과 마주하는 <세대 공감-최달용의 서울살이> 해방둥이 서울사람 최달용의 1950~70년대 삶을 사회학자의 시선을 통해 바라봄으로써 산업화 세대를 공감해 볼 수 있는 서울생활사박물관 기획전시 <세대 공감-최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 지난 닷날(금요일)에 진주사랑 5% 밴드 모임 모람이 닷즈믄(5000) 사람이 넘어선 것을 기리는 작은 나눔 잔치를 한다는 기별을 듣고 저희 토박이말바라기(으뜸빛 강병환)에서도 하는 게 좋겠다는 으뜸빛(이사장)님 말씀에 따라 작은 나눔을 했습니다. 진주사랑 5%는 안 힘든 사람이 없다는 요즘 서로 기운을 북돋우며 돕고 지내는 아름다운 모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모임에 저도 함께하고 있는 것이 자랑스럽기도 합니다. 엿날(토요일) 낮밥을 먹은 뒤 여러 해 생각만 하고 미루던 제 방을 치웠습니다. 책꽂이 옆에 쌓아 두었던 책들부터 꺼내고 꽂혀 있던 책들도 하나씩 들어냈습니다. 그렇게 비롯한 책 들어내는 일은 저녁을 먹고 누리그물(인터넷)로 열린 경남실천교사모임 모두모임(총회)을 하는 때새를 빼고 밝날(일요일) 밤이 이슥할 때까지 이어졌습니다. 종이 상자에 넣은 것과 묶은 것을 더해 스무 낱 가까이 되는 것을 내다 놓고 들어와 방을 둘러 보니 한결 깔끔해 보였습니다. 아직 더 갈무리해야 할 것이 남아 있는데 마저 하고 나면 남들한테 보여도 부끄럽지 않을 만큼 되지 싶습니다. 오늘 알려드릴 토박이말은 '그루잠'입니다. 이 말은 잠이 들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길고 지루한 전염병 '코로나19' 한 해가 갔다. 이제 열흘만 지나면 입춘이다. 봄(春)! 이번 봄은 흔하게 맞이하던 봄과 다른 느낌이다. 어둠 속에서 맞이하는 봄이요, 긴 터널 끝에 맞이하는 봄의 느낌이다. 봄에 어울리는 것은 뭐니뭐니해도 꽃이다. 올 봄의 꽃 또한 예사로운 꽃의 느낌이 아니다. 너무 혹독한 전염병 때문에 주눅들어 있던 마음을 봄꽃이 어루만져 줄 것만 같다. 봄을 한발 앞두고 연세세브란스 아트 스페이스에서는 김지혜 작가의 『Overflowing Blessings - 꽃밭으로의 초대』가 3월 1일까지 열리고 있다. 김지혜 작가는 세밀한 붓질과 화사한 색채로 꽃잎의 부드러운 질감을 표현한다. 그의 섬세한 손길은 작은 꽃잎을 한데 모아 풍성한 입체감을 가진 꽃으로 완성시킨다. 화면을 가득 채운 꽃들은 수려하고 고운 자태를 뽐내며 우리를 꽃밭으로 초대한다. 이번 전시는 꽃을 여러 형태로 그려내어 아름다움을 표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이면에 내재되어 있는 ‘생명력’에 주목한다. 자연의 섭리에 따라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며, 가느다란 줄기 끝에 피워낸 커다란 꽃은 생명의 힘을 상징한다. *전시: 신촌 연세세브란스병원 본관…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 장 소: 국립중앙박물관 상설전시관 3층 세계문화관 세계도자실, 일본실(310, 311호) ○ 전 시 품 : 모두 441점 · 세계도자실: 네덜란드 차용품 113점 등 243점 · 일본실: 갑옷과 투구 등 63건 198점 ※ 세계도자실 - 전시기간: 21.1.25.~22.11.13.(약 2년간 / 22개월) - 유럽 도자기 협조 : 네덜란드 프린세스호프 국립도자박물관, 흐로닝어르박물관 Princessehof National Museum of Ceramics, Groninger Museum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민병찬)은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선보이기 위해 세계문화관에 ‛세계도자실'과 ‛일본실'을 개관하였다. 이로써 19년 12월, 이집트실 개관으로 시작한 세계문화관의 조성을 끝냈다. 세계도자실은 동서교류의 대표적인 산물인 도자기를 주제로 동서 문화가 교류하는 모습을 보여주려 하였고, 일본실은 가깝지만 먼 이웃인 일본의 역사와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고자 ‘무사(武士)'에 초점을 맞추어 전시하였다. 국립중앙박물관은 2005년 용산 새 박물관에 ‛아시아관'을 신설한 바 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 이하 국어원)은 ‘긱 워커’를 대신할 쉬운 우리말로 ‘초단기 노동자’를 꼽았다. ‘긱 워커’는 산업 현장의 필요에 따라 아주 짧은 기간 동안 임시로 계약을 맺고 일하는 노동자를 가리키는 말이다. 특히 공유 경제가 확산하면서 늘어난 차량 공유 서비스 운전자, 배달원, 택배 기사 등, 특정 회사나 조직에 소속되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1인 계약을 맺는 초단기 노동자들을 일컫는 말로, 계약 기간이 짧게는 몇 시간 또는 며칠 정도일 수도 있다.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외국어 새말 바꿈말 제공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1월 15일(금)부터 17일(일)까지 열린 새말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으로 검토해 ‘긱 워커’의 대체어로 ‘초단기 노동자’를 꼽았다. * 새말모임: 어려운 외래 말이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듬은 말을 제공하기 위해 국어 외에 언론, 정보통신, 통번역, 경제, 교육 등 다양한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로서, 누리소통망(SNS)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입춘(立春, 2월 3일)을 열흘 앞둔 1월 23일(토)에 홍릉시험림 내 얼음새꽃이 황금빛 꽃잎을 피웠다고 전했다. 올해 처음 모습을 드러낸 홍릉시험림의 얼음새꽃은 1985년 개화 관측이 시작된 이래 1월 꽃 핀 것이 관측된 것은 이번이 여섯 번째이다. 국립산림과학원 생물계절조사팀이 홍릉시험림 얼음새꽃의 개화 특성을 분석한 결과 최근 얼음새꽃의 평균 개화 시기는 과거에 비해 크게 앞당겨진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이전(’85년∼’99년) 홍릉시험림 얼음새꽃의 평균 개화 일자는 2월 28일 ± 9일이었지만 2000년 이후(’00년∼’14년)에는 2월 22일 ± 11일로 약 6일 정도 앞당겨졌으며, 특히 첫 1월 개화가 나타난 2015년부터 최근까지의(’15년∼’21년) 개화일은 1월 22일 ± 14일로 과거에 비해 한 달 이상 앞당겨진 것으로 관측되었다. 얼음새꽃은 개화 이전 하루평균기온의 합이 일정량 이상 누적될 경우 꽃을 피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지난 목요일부터 이어진 포근한 날씨에 주말 동안 서울지역 최고기온이 14℃ 가까이 올라가면서 낙엽 아래 숨어 있던 꽃봉오리들이 활짝 핀 것으로 보인다.…
[우리문화신문= 윤지영 기자] 몽촌토성에 백제 왕궁이 있었음을 알려주는 ‘宮(궁)’자가 새겨진 토기’, 백제 왕실의 매장 의례를 보여주는 ‘화장인골’, 함께 발견된 유리구슬과 장신구가 최초로 공개된다. 한성백제박물관(관장 김기섭)은 한성 백제 왕도의 핵심유적인 몽촌토성과 석촌동 고분군에서 발굴·출토된 유물 600여 점을 최초로 공개하는「백제왕도 발굴조사 성과전, 왕성과 왕릉」특별전을 1월 19일(화)~3월 21일(일) 연다고 밝혔다. 한성백제박물관은 당초 작년 12월 17일에 전시를 계획했었으나 ‘저녁 9시 이후 서울 멈춤’ 조치(12.5)와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시행(12.8)에 따라 임시 휴관해왔다. 방역수칙 조정으로 19일(화)부터 공공문화시설 운영이 재개되면서 사전 예약제 방식으로 특별전을 열게 됐다. 이번 특별전은 한성백제박물관 백제학연구소가 ‘13년부터 약 6년에 걸쳐 발굴하고 고증한 결실을 총망라해 대대적으로 여는 것이다. 그동안 이 일대 발굴유물을 일부 공개한 적은 있지만 백제유적의 핵심인 몽촌토성(북문지일대)과 석촌동 고분군(연접식적석총)에서 나온 유물 수백 점을 대대적으로 공개하는 건 처음이다. 전시는 몽촌토성과 석촌동 고분군에서 출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