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이한꽃 기자] 사방 팔방 국토 구석구석에는 경고문 투성이이다. 경고문을 붙인다고 해서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는 것도 아니다.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라고 이것을 읽는 이들을 감동 시킬만한 문구는 없을까?
[그린경제=이한꽃 기자] 왕인박사는 한자를 좋아하셔서 한자로 썼나? 같은 공원이지만 한글로 써서 그런지 더 예쁜 공원도 있다.
[그린경제=이한꽃 기자] 계도문이란 것은 계도글이란 뜻이다. 그렇다면 계도란 무슨 뜻일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啓導(계도) : 남을 깨치어 이끌어 줌. 일깨움으로 순화하라고 나와 있다. 국어사전에서 순화하라고 점잖게 타이르는 것은 이 말이 일본말이기 때문이다. 휠체어가 지나다니는 길을 이용하지 말라고 알리는 뜻이라면 알림으로 충분할 텐데도 구태여 어려운 일본말 케이도우(계도,啓導)를 쓰는 것은 무슨 심사일까? 잘난 체가 아닌 우리말을 사랑하고 보는 이들을 배려하는 마음이 있으면 안 되는 걸까?
[그린경제=이한꽃 기자] ▲ 고속도로 휴게싱에 써 있는 Free5 운동이 무얼까? 4-do 운동, Free 5운동 고속도로 휴게실을 이용하다보면 이러한 안내문을 자주 만나게 된다. 읽어봐도 아리송할뿐더러 쉬려고 들어간 휴게소가 되레 머리만 아프다. 편안한 마음으로 휴게소를 이용하게 하려면 아름다운 경치 사진이나 한 폭의 그림이 구호성 안내판 보다 훨씬 효과적이지 않을까?
[그린경제=이한꽃 기자] 고속도로 요금소(톨게이트)로 들어서자마자 잘못 들어온 차들이 다시 돌아 나가도록 한 길이 돌아가는 길이다. 전에는 거의 회차로라고 썼지만 요즈음은 대부분 돌아가는 길이라고 썼다. 회차로보다는 돌아가는 길이 훨씬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가능하면 외국에서 들어온 것이라도 그대로 쓰기보다는 우리 국민이 더 쉽게 이해하도록 우리말로 바꿔 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잘난 채 할 것도 아니면 말이다.
[그린경제=이한꽃 기자] 홍명보의 대표직 고사라는 기사가 어제 많이 실렸다.언뜻보면수락한다는 뜻인지, 거절 한다는 뜻인지 모호하다. 대체 '고사'란 무슨뜻일까? ▲ 요즘 스포츠 뉴스에는 홍명보 감독의 감독직 고사가 주요뉴스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고사 (固辭): 제의나 권유 따위를 굳이 사양함. 거절함, 굳이 사양함으로 순화.하라고 되어 있는데 이 말은 일본어 코지(こじ,【固辞】에서 온 말이다. 감독직 사양,감독직 정중히 사양 같은 말로 써도 좋을텐데 어려운 '고사'라는 말을 쓰고 있다. 더 좋은 것은 고사,사양,거절같은 말을우리 토박이말로 만들어 보는 일이다.
[그린경제= 이한꽃 기자] 잔디밭 앞에 이렇게 예쁘게 써놓은 곳은 안동민속박물관 앞 뜰이다.출입금지라고 대부분 써놓은 것에 견주면 아름다운 우리말 사랑 정신이 돋보인다. 그러나 앞 뜰에는 이런 불상의 모습도 있다. 남의 종교도 존중 하려는 마음이 있었다면 이런 짓은 안했을텐데...콩 한쪽도 나눠 먹으면서 이웃을 배려하고 인정하던 아름다운 시절로돌아갈 수는 없는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