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532. 농민뿐 아니라 세조임금도 마셨던 술 막걸리

1532. 농민뿐 아니라 세조임금도 마셨던 술 막걸리

세조실록 8년(1462) 4월 14일 자 기록에 보면 “내가 젊었을 때에 화천군(花川君)의 집에 이르니, (중략) 막걸리 두어 잔을 마시고 나왔다.”라는 세조가 한 말이 보입니다. 또 고려 이규보의 글에도 나오는 것을 보면 막걸리는 우리 겨레가 오랫동안 마셔온 전통술이며, 농민뿐만 아니라 임금도 마셨던 술입니다.

막걸리는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한데 6∼7도로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며,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고려의 명문장가 이규보는 “나그네 창자는 박주(薄酒)로 씻는다”는 시구를 남겼는데 이 박주도 막걸리라고 하지요. 또 배꽃 필 때 누룩을 만든다 해서 이화주(梨花酒)였고, 탁주(濁酒)·농주(農酒)·백주(白酒)·회주(灰酒) 등으로도 불렀습니다. 그런가 하면 제주도에 유배된 인목대비의 어머니 노씨가 술지게미를 재탕한 막걸리를 팔아 생계를 유지했다 해서 모주(母酒)라는 이름도 얻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