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리 겨레의 큰 명절 ‘한가위’가 채 20일도 남지 않았다. 곳곳에서는 벌써 명절 잔치가 시작된 듯하고 각 기업체는 명절맞이 선물 광고에 한창이다. 그런데 문제는 누구는 ‘한가위’라 쓰고 누구는 ‘추석’이라고 쓴다. 심지어 추석은 ‘秋夕’이라고 한자로 써 놓기도 한다. 혼란스럽다. 도대체 명절을 두고도 왜 각기 다른 말을 쓰는 것일까? 먼저 ‘추석’과 ‘한가위’의 말밑(어원)을 살펴본다. 먼저 중국에서는 가을을 셋으로 나눠 음력 7월을 맹추(孟秋), 8월을 중추(仲秋), 9월을 계추(季秋)라고 불렀는데 그에 따라 8월 보름을 중추라 했다. 그래서 우리도 예전 ‘중추절’이라 쓰기도 했다. 그런가 하면 ‘추석’이라는 말은 5세기 송나라 학자 배인의 《사기집해(史記集解)》에 나온 “추석월(秋夕月)”이란 말에서 유래한다. 여기서 “추석월”은 천자가 가을 저녁에 달에 제사를 지낸다는 뜻이었다. 그렇다면 우리 명절과 잘 맞지 않는 말이란 생각이다. 더구나 중국 사람들조차 이 말을 거의 쓰지 않는다고 한다. 그에 견주면 ‘한가위’는 뜻과 유래가 분명한 우리 토박이말이다. “한가위”는 ‘크다’라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길가에 가다 보니까 한 커피 전문점 창구에 ‘오더 넣는 곳’이란 단말기가 있다. 나처럼 나이 든 사람에게 생소한 것이어서 무엇인가 몰라 한참 쳐다보았다. 조금 있으니 젊은이가 와서 단말기에 보이는 대로 커피 주문을 한다. ‘오더 넣는 곳’이란 말이 ‘ORDER HERE’을 곧 주문을 뜻하는 것인가 보다. 요즘은 주문도 사람이 받지 않고 기계가 받는다. 그런데 이처럼 ‘오더 넣는 곳’으로 쓰지 말고 ‘커피 주문하는 곳’이라고 쓰면 어디 덧나는가?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어디 서러워서 살겠는가? ‘오더’란 외래어를 쓰는 것은 잘난 모습이 아니라 민족주체성을 버린 한심한 사람으로 비출 수 있음을 왜 모르는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발행인] 지난 7월 24일 국가보훈부는 “보훈부, 고(故) 백선엽 장군 국립묘지 홈페이지 내 ‘친일반민족행위자’ 문구, 법적 근거 없어 삭제 결론”이란 보도자료를 내놓았다. 백선엽에 대한 현충원 누리집 안장 기록에서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표현을 지우는 것을 포함해 대통령 소속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결정한 1,006명의 국가 공인 ‘친일반민족행위자’에 관해 해방 이후 공적을 이유로 재평가하겠다는 것이다. 독립유공자에 대한 ‘사상 검증’을 하고, 친일파에 ‘면죄부’를 주겠다는 게 핵심이다. 이에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기획실장은 “‘공부해보면 해볼수록 백선엽은 친일파가 아니라는 자신감이 생겼다’라는 박 장관은 언론 대담에서 ‘백선엽이 간도특설대로 활동할 당시 만주에는 독립군이 없었고 홍군 내지는 비적들만 있었고 그들을 토벌했다’라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을 듣고 있으면 항일독립군을 ‘선비(鮮匪·조선 비적)’ ‘사상비(思想匪)’ ‘공산비(共産匪)’ ‘항일비(抗日匪)’ 등으로 불렀던 일제와 만주 군경의 모습이 아른거린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방 실장은 “이러다간 뉴라이트가 독립운동가 심사를 맡고, 헌법 전문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길에 지나가다 보니 젊은이들에게 세련되었다고 느낄만한 건물이 하나 보인다. 무엇하는 곳일까? 그런데 간판은 작은 영어 글씨로 써놓았다. 잘 알 수가 없는데 마침 밖에 나오는 사람이 있어서 물어보니 카페란다. 왜 이렇게 영어로 작게 써놓았느냐고 물어보니 이렇게 해야 젊은이들이 좋아한단다. 보아하니 외국인들이 주로 찾아오기보다는 내국인 손님이 대부분인 듯한데 굳이 영어로만 가게 이름을 쓴 가게 주인이나 이를 선호한다는 젊은이들이 참 안타깝다. 특히 가게에서 취급하는 상품이 무엇인지 간판에 쓰여 있지 않아 가게에 들어가 보지 않으면 무슨 가게인지 알 수가 없도록 한 것은 광고 효율성 면에서 볼 때도 잘못된 것이 아닐까? 아니면 영어를 모르는 사람은 출입금지 한다는 팻말을 달아 놓아 놓는 것이 좋을지도 모르겠다. 장사 하나 하더라도 민족주체성을 잊지 않으려 노력하는 자세를 가졌으면 좋겠다. 세계 으뜸 글자 ‘한글’을 가진 나라에서 이렇게 한글을 홀대하고 영어에 목맨 듯한 모습을 보면서 외국인들은 무어라 할 건지 두렵기만 하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지난 5월 31일은 ‘세계 금연의 날’이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담배를 피우는 것이 충격적인 사안임을 인식시키고 담배 없는 환경을 촉진하기 위해 해마다 5월 31일을 ‘세계 금연의 날’로 지정한 것이다. 따라서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도 담배 연기 없는 건강한 초등학교를 위해 모두 노력해달라는 뜻으로 ‘블루리본 주간(Blue Ribbon Week)’를 만들고 이의 홍보를 위해 곳곳에 펼침막을 걸어 놓았다. 그런데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뜻이야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지만 왜 영어로 ‘블루리본 주간’이라고 써야만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호에는 “공공기관 등의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공문서뿐만 아니라 펼침막 등 홍보물에도 그 작용이 미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럼에도 이를 어겨가면서 굳이 영어로 주간 이름을 만들고 이를 버젓이 펼침막으로 내거는 것은 공무원들이 민족주체성이 없거나 그 조금 영어를 쓰면서 잘난 체를 하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신세계, 롯데 두 백화점은 오랫동안 우리나라의 백화점계를 석권해온 곳입니다. 그런데 요즈음 이 두 백화점은 영어로 광고하기에 혈안이 되어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한글이 한 자도 없는 영어만으로만 광고를 합니다. 마치 영어를 모르는 사람은 이 백화점엔 오지 말라는 것처럼 말입니다. 이 두 백화점 손님 가운데 영어권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요? 제발 이 백화점 사람들 정신 좀 차리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최근 hy(옛 한국야쿠르트)는 새 제품 ‘스트레스케어 쉼(이하 쉼)’이 출시 6주 만에 누적 판매량 500만 개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1초에 1병 이상 팔린 셈으로, 이는 2019년 선보인 ‘장케어 프로젝트 엠프로(MPRO)3’보다 빠른 기록이라고 한다. 특이한 것은 이 제품의 이름을 토박이말 <쉼>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요즘 새로 출시되는 상품을 보면 이름을 거의 영어로 짓고 있는데 그것은 영어로 이름을 지어야만 제대로 된 마케팅이라고 생각하는 풍조인 듯하다. 그런데도 그에 역주행하듯 토박이말로 이름을 지은 것은 칭찬해야만 할 텐데 뜻밖에도 그 상품이 성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많은 깨우침을 주고 있다. 한국 전자산업의 양대 산맥인 삼성전자와 LG전자를 보면 한쪽은 상호를 토박이말은 아니지만 우리말을 고수하고 있고, 한쪽은 영문자를 쓰고 있다. 그런 양상을 보더라도 마케팅에 우리말을 쓰는 것이 해가 되는 것은 아님은 분명하다. 그런 점에서 hy가 <쉼>이란 이름을 상표에 붙인 것은 큰 결단으로 칭찬해 마지않으며, 그 결단이 성공으로 이끈 요소 가운데 하나인 듯하다. 다만, 아쉬운 것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영등포공원에서는 이번 어린이날을 기려 잔치가 열렸다. 그런데 이날 잔치마당에는 영어가 신나는 한판이었다. 먼저 행사를 하는 무대에는 "뻔뻔뻔(fun fun fun)한 어린이 축제"라 하여 영어 'fun'을 뻔뻔하게 내놓고는 무대 아래 펼침막에는 "잘놀go! 잘웃go! 잘크go"라고 하여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호 “공공기관 등의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라는 법 규정을 어겼다. 어린이 잔치부터 영어가 신나는 한판을 만드는 공무원은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묻고 싶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어린이날을 앞둔 장충초등학교 정문 앞에 펼침막이 걸려 있다. 우선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제9회 꿈을 먹고 살지요."라고 하여 우리말을 한글어로 써놓아 칭찬하고 싶어졌다. 하지만 그 옆에 달린 내용은 "HPPY CHILDREN'S DAY <Let's Go, Let's Play>"라고 온통 영어로만 써 놓았다. 굳이 영어로 써놓아야만 되는지 참으로 기가 막히다. 민족주체성이 결여된 선생님들이 아이들을 가르치는듯 하여 안타깝다. 조금 있으면 세계 으뜸 글자 한글을 만드신 세종대왕 탄신일이다. 그 세종대왕 탄신일을 우리는 스승의 날로 기린다. 하지만, 이렇게 위대한 스승 세종대왕이 지하에서 슬픈 눈물을 흘릴 것 같아 마음이 내내 무겁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장충단공원에 하나뿐인 커피와 디저트 파는 가게에는 멋진 한옥에 간판이 영문으로 되어 있다. 이곳에 들르는 손님들을 보면 외국인은 별로 눈에 안 띄고 거의 한국인이다. 그런데 멋지게 한옥을 지어놓고 빵집의 이름이 꼭 영문이어야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그것도 ‘haus’로 사전을 찾으니 영어도 아니고 인도네시아어로 “목이 마른‘라는 뜻이라는데 별로 없을 것 같은 인도네시아 손님을 위해 그렇게 쓴 것일까? 아무리 빵집이라 해도 제발 우리말을 쓰는 곳이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