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고구려 백제 신라 그리고 당나라가 서로 각축을 벌이던 서기 600년대 혼란기에 태어나, 깨달음을 목표로 수행하고 공부하고 포교하며 살았던 당대 스님들들은 왕실안녕과 귀족들의 극락왕생을 위한 불교로 이끌어 가고 있었다. 그런 시대에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역사적 장면을 보았던 한국불교의 대스승 원효대사가 있었기에 이후 전국의 곳곳에는 원효스님의 이름을 딴 많은 절들이 생겨났다.
원효스님은 서기 617년 태어나 686년 입적한 신라 토종 화엄사상을 개척한 스님으로 당시에는 화엄학의 선진국인 당나라에 유학하여 중국화엄사상의 초조(지엄)로부터 화엄종을 도입한 의상대사와 쌍벽을 이루었다. 그런데 원효는 젊어서는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가려고 신라땅을 떠나려했다. 의상과 함께 당나라로 가는 배가 있는 당진포구 근처의 한 움막에서 하룻밤을 지내다가 한 밤중에 깨어나 목을 축이고자 마신 물이 아침에 일어나 보니 해골물이었음에 갑자기 구역질이 났다. 그리고 고뇌하게 되었다. 원효는 해골물을 마신 뒤 모든 사물과 불교에서 구하고자 하는 진리에 대하여 고심한 결과 문득 깨달은 바가 있어,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린 것이다'(일체유심조)임을 깨닫고. 당나라 유학을 그만두고 신라땅 경주로 되돌아왔다.
이후 더욱 수행과 경전공부를 통하여 화엄사상을 통달 한 뒤 수많은 화엄경 관련 논서들을 쓰고 다른 스님들과 논쟁하면서 당대 으뜸 고승으로 추앙 받았다. 당시 원효스님이 쓴 논서들은 수백권이 이른다고 하며, 지금도 승가에서 교과서처럼 여기는 역작으로는 《금강삼매경론》과 《대승기신론소》가 있다.
원효스님은 당대 신라왕실의 요석공주와의 일화로도 유명한데, 스스로 파계하여 속계인으로 걸망을 짊어지고 저자거리에서 거지들과도 어울리면서 살면서도 불경주석서들을 많이 저술 하였으며, 그가 평범한 파계승이 아닌 것을 알아본 왕실에서는 과부가 된 요석공주와 동거를 허가하였다. 그 결과 원효와 요석공주 사이에는 한국 고대시대 으뜸 유학자로 추앙받는 설총이 태어났다.
원효는 스스로 파계의 삶을 살면서 파계한 뒤로는 소성거사라 스스로 이름짓고 살았다. 그의 삶에 대하여 파계한 행위에 대하여 당대에는 많은 논란이 되었고 불교 교단으로부터 비난도 받았지만, 후대는 그를 파계승으로 여기지 않았고 신라 땅을 불국토로 만들고자 실천하며 살았던 스님으로 기억하고 있다.
삼국이 서로 전쟁으로 각축을 벌이던 시대, 백제 고구려가 망하게 되자 나라를 잃은 망국민들은 망국민으로 비통함에 살아야 했다. 나라를 빼앗긴 사람들이 비통한 마음은 당연한 것이었기에, 전쟁을 통하여 통일했다는 신라인들 또한 기뻐할 수만도 없는 일이었다. 일제강점기를 당한 한국인들이 독립운동을 하였듯, 백제 고구려 지역에서는 여러차례 복위운동이 있었다. 그런 시대에 원효스님은 불교의 화엄사상에서 그 답을 찾았다. 이긴 사람은 즐겁고 환희에 행복할 지 모르지만, 나라 잃고 일가 친척들이 죽어나간 사람들은 얼마나 비통하고 억울한 마음이 사무칠 것인가 하는 의문의 현실 속에서 그는 국민 통합을 위한 고민을 한 것이다. 화엄사상, 원융무애사상, 통불교사상을 펼친 것이다.
원효스님은 전국을 다니면서 설법도 하고 때로는 잠시 머물면서 암자를 짓고 수행하기도 하였는데, 그가 머물던 암자들은 후대에 많은 원효사의 근거가 되었다. 한국에 있는 절 등 가운데 스님의 이름을 절이름으로 내세운 것은 원효사가 가장 많이 있다. 그렇게 들어선 원효사들이 전국에 많이 있는데, 당시 백제땅 이었던 무등산 자락에도 원효스님이 거쳐간 암자가 후대에 원효사로 중창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원효스님이 이곳 무등산에 원효암을 짓고 가르침을 폈던 이유는 나라를 빼았긴 이곳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함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런데 기자가 방문한 무등산 원효사는 많은 아쉬움이 있었다. 무등산 자락에 꽤 넓은 대지를 조성하고 전각들을 여럿 배치하여 들어선 오늘의 원효사에는, 다른 전각들은 비교적 잘 관리되고 있었는데, 유독 원효스님의 진영을 모시고 있는 원효전의 지붕이 비가 새고 있는데, 언제부터인지 모르지만 상당히 오랫동안 지붕보수를 하지 못하고 임시방편으로 우장막을 씌워서 비를 피하고 있는 모습을 보는 것이었다. 별로 크지도 않은 건물의 지붕을 보수할 여력이 없어 이런 모습으로 있다는 것은 원효스님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도 안된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무등산 원효사는 현재 원효스님을 창건주로 모시고 있고, 한국 내 사찰들 중 가장 큰 절이다. 원효사는 사찰 소개에 많은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고 자랑한다. 오랜 세월의 역사속에 보존하고 있는 많은 고려시대 조선시대 불교유물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많은 문화재가 있고 또 천년이 넘는 긴역사를 앞세우기 전에, 원효사의 이름 답게 원효스님을 모신 전각이라도 제대로 유지하는 것이 먼저가 하닌가 생각된다. 광주광역시와 원효사가 합심하여 무등산 원효사의 원효전이 하루 빨리 반듯하게 보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 우장막: 지붕을 빗물이 들이치지 못하도록 두꺼운 비닐로 덧씌운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