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우리가 사는 집에 켜(층)가 있듯이, 머리 위 드넓은 하늘에도 켜(층)가 있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손에 잡힐 듯 낮게 깔린 구름이 있는가 하면, 고개를 한껏 젖혀도 닿을 수 없을 만큼 까마득히 높은 곳에서 엷게 빛나는 구름도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하늘이라는 집의 가장 높은 곳, 그 윗목에 머무는 구름, '위턱구름'입니다. '위턱구름'은 이름에서부터 그 높이가 느껴지는 말입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이렇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대기권 윗부분에 떠 있는 구름. 권운, 권적운, 권층운이 이에 포함되며, 대류권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름 입자는 주로 얼음의 결정으로 이루어진다. 《표준국어대사전》 높은 공중에서 생기는 구름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위턱구름'은 땅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높은 하늘(보통 6km 위쪽)에 떠 있는 구름입니다. 이곳은 숨씨(공기)가 거의 없고 몹시 춥기 때문에, 구름이 물방울이 아닌 작고 투명한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됨됨(특징)이지요. 우리가 자주 보았던 '새털구름(권운)', '비늘구름(권적운)', '털층구름(권층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파란 하늘을 올려다보다가, 누군가 하얀 종이를 길게 찢어 흩뿌려 놓은 듯하거나, 가느다란 실오라기가 하늘 한구석에 조용히 풀려 있는 모습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꽉 찬 뭉게구름이나 무거운 비구름과는 달리, 아주 여리고 가늘어서 꼼꼼하게 보아야 그 아름다움이 보이는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하늘이 빚은 고운 자국, '오리구름'입니다. '오리구름'이라는 이름을 보시고 물에 떠다니는 새 '오리'를 떠올리셨나요? 하하, 재미있게도 이 구름은 '오리'와는 아무런 사이가 없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이렇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실낱같이 가늘게 퍼진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아쉽게도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는 올림말(표제어)로 실려 있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저녁놀'이라는 낱말의 보기 글에서 이 '오리구름'이 쓰인 모습을 찾을 수 있지요. 맑게 갠 하늘에 오리구름이 위로 뻗치고 저녁놀이 붉게 타고 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이 보기월을 읽으니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지 않으신가요? 맑은 하늘, 위로 솟구치듯 뻗어 나가는 가느다란 구름 조각들, 그리고 그 위로 붉게 번지는 노을... '오리구름'이 있어 저녁놀이 더욱 애틋하고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파란 하늘을 멍하니 바라보고 있을 때, 바람에 실려 어디론가 바삐 움직이는 구름을 본 적 있으신가요? 한곳에 머무르지 않고 흘러가는 그 모습을 보면, 문득 우리네 삶도 저 구름과 같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곤 합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구름의 덧없는 발걸음을 담은 말, '열구름'입니다. '열구름'을 말집(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이 아주 짧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지나가는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말집 모두 똑같이 '지나가는 구름'이라고 풀이합니다. 뭉게구름이나 새털구름처럼 어떤 '모양'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바람을 타고 흘러가며 지나가는 구름의 '움직임'과 '됨됨(성질)'에 마음을 둔 말이지요. 한자말로는 '다닐 행(行)' 자에 '구름 운(雲)' 자를 써서 '행운(行雲)'이라고도 하는데, '열구름'이라는 우리말이 훨씬 더 깊은 맛을 냅니다. '열구름'이라는 이름을 처음 보신 분들은 어떤 것을 떠올리셨을까요? 아홉 다음 열(10), 줄을 설 때 쓰는 열(列), 뜨거움 또는 더움을 나타내는 열(熱)을 떠올리신 분도 계시지 싶습니다. 하지만 '열구름'의 '열'은 열(10)도 아니고, 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이른 아침, 문을 열었을 때 누리가(세상)가 온통 뽀얀 잿빛으로 물들어 있는 것을 본 적 있으신가요? 뫼(산)허리에 부드럽게 감겨 있거나, 들판 위에 나지막이 내려앉아 고요함을 자아내는 구름.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인데, 그 모습이 마치 땅에서 피어오른 안개와 너무나 닮아 있는 이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땅과 가장 가까이서 우리를 감싸주는 '안개구름'입니다. '안개구름'은 이름 그대로 '안개'처럼 보이는 '구름'입니다. 하늘 높이 떠 있는 다른 구름들과 달리, 땅에 닿을 듯 말 듯 아주 낮게 깔리는 것이 남다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포근한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하층운의 하나. 지평선과 나란히 층상(層狀)을 이루며, 높이 0~2km에 분포한다. 안개처럼 땅 위에 가장 가까이 층을 이루는데, 비가 올 때의 산간 지대나 맑은 날 이른 아침의 평야 지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하층운의 하나로, 지면 가까이에 층을 이루며 나타나는 안개 비슷한 회색 구름. 높이 0~2킬로미터에 분포하며, 안개처럼 땅 위에 가장 가까이 층을 이루는데, 비가 올 때의 산간 지대나 맑은 날 이른 아침의 평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여름날, 하늘에 둥실 떠 있던 하얀 '쌘구름(뭉게구름)'이 어느새 무섭게 솟아오릅니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던 솜 뭉치가 하늘을 찌를 듯이 커다란 뫼(산)가 되고, 볕을 받아 하얗게 빛나던 꼭대기와 달리 그 밑바닥은 시커먼 잿빛으로 물이 들지요. 이윽고 흙냄새를 실은 찬바람이 불어오면, 우리는 곧 천둥 번개와 함께 무서운 '소나기'가 쏟아지리란 것을 알아챕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매우 커다라면서도 무서운 구름, '쌘비구름'입니다. '쌘비구름'이라는 이름은 참으로 씩씩하고 알기 쉽습니다. 우리가 앞서 배운, 솜 뭉치처럼 차곡차곡 '쌓인 구름'을 뜻하는 '쌘구름(적운)'에 '비'가 더해진 이름이지요. 곧, '쌘구름'이 하늘 높이 어마어마하게 솟아올라 드디어 '비'를 머금게 된 구름, '비를 품은 쌘구름'이라는 뜻입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적운보다 낮게 뜨는 수직운. 위는 산 모양으로 솟고 아래는 비를 머금는다. 물방울과 빙정(氷晶)을 포함하고 있어 우박, 소나기, 천둥 따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표준국어대사전》 수직으로 발달한 웅대하고 짙은 구름 《고려대한국어대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하늘에 솜을 뜯어 둥실둥실 띄워 놓은 듯한 구름. 우리는 이 살가운 구름을 '뭉게구름'이라는 이름으로 참 자주 부르지요. 바라만 보아도 마음이 넉넉해지는 이 구름에, '뭉게구름'만큼이나 멋진 우리 토박이말 이름이 또 하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이름은 바로 그 또 다른 이름, '쌘구름'입니다. '쌘구름'이라는 이름이 조금 낯설게 들리실 수도 있겠습니다. '쌘'이라는 말은 '쌓이다'의 준말 '쌔다'의 매김꼴(관형형)이랍니다. 구름의 생김새가 아마도 솜이나 볏단처럼 무언가를 차곡차곡 '쌓인 듯한' 모습을 보고 만든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쌓인 구름'이 '쌘구름'이 된 것이지요. 말집(사전) 풀이를 보면 더욱 또렷해집니다. 수직운의 하나. 뭉게뭉게 피어올라 윤곽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구름으로, 밑은 평평하고 꼭대기는 솜을 쌓아 놓은 것처럼 뭉실뭉실한 모양이며 햇빛을 받으면 하얗게 빛난다. 무더운 여름에 상승 기류로 말미암아 보통 2km 높이에서 생기는데, 발달한 구름 꼭대기는 1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며 비는 내리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 수직 방향으로 뭉게뭉게 피어올라 대체로 확실한 윤곽이 나타나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더없이 맑고 파란 하늘을 올려다볼 때, 누군가 하얀 솜에서 가느다란 실 한 올을 쭈욱 뽑아 하늘에 길게 그어 놓은 듯한 구름을 만날 때가 있습니다. 바람결을 따라 흘러가는 그 가느다란 구름의 모습은 바라보는 이의 마음까지 차분하게 만드는 힘이 있지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모습 그대로의 이름을 가진, '실구름'입니다. '실구름'은 그 이름처럼 '실'과 '구름'이 만난 말입니다. 아주 알기 쉽고 숨김없는 이름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실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실같이 가늘고 긴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실처럼 가늘고 긴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더할 나위 없이 또렷하게 그 모습을 그려줍니다. 구름의 높낮이나 이룸몬(성분)보다는, 오롯이 그 모양이 '실'처럼 가늘고 길게 이어진 구름을 가리키는 고운 우리 토박이말입니다. 우리가 앞서 배운 '새털구름'이 깃털처럼 흩어지는 모양에 마음을 두었다면, '실구름'은 그 가운데에서도 유난히 가늘고 길게 이어진 모양새에 마음을 둔 이름입니다. 때로는 '새털구름'의 한 갈래가 '실구름'처럼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높은 바람에 찢긴 어떤 구름의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우리가 '새털구름'이나 '비늘구름'처럼 하늘 높은 곳에 뜬 엷은 구름을 바라볼 때, 그 구름을 이루는 작은 조각조각의 모양을 눈여겨보신 적 있으신가요? 어떨 때는 물결 같고 어떨 때는 비늘 같지만, 또 어떨 때는 마치 하얀 솜을 조금씩 뜯어 흩어놓은 듯, 또 작은 꽃송이나 풀씨가 뭉쳐 날아다니는 듯한 모습을 보일 때가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처럼 앙증맞고 귀여운 구름의 모양을 가리키는, '송이구름'입니다. '송이구름'은 그 이름에서 '꽃 한 송이', '버섯 한 송이' 할 때의 그 '송이'를 떠올리게 합니다. 아주 커다란 덩어리가 아니라, 작고 오밀조밀하게 뭉쳐 있는 모양새를 가리키는 말이지요.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송이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작은 꽃술 또는 잡풀 같은 모양을 한 구름 덩어리. 주로 권운, 권적운, 고적운 따위에 나타난다. 풀이를 살펴보면, '송이구름'은 뭉게구름처럼 하나의 커다란 구름을 뜻하기보다는, 하늘 높은 곳에 뜨는 엷은 구름들(새털구름, 비늘구름, 높쌘구름 따위)을 이루는 작은 덩어리들의 '모양'을 가리키는 말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모양이 꼭 작은 꽃술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더없이 맑고 파란 하늘을 문득 올려다봤을 때 마치 하늘이라는 그림종이 위에 하얀 물감을 묻힌 가는 붓으로 쓱 하고 쓸어내린 듯한 구름, 또는 새의 부드러운 깃털들이 바람을 타고 하늘 높이 올라가 그대로 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이처럼 높고 맑은 하늘에서 볼 수 있는, '새털구름'입니다. '새털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새의 깃털(새털)처럼 생긴 구름을 가리키는, 참으로 곱고 살가운 우리 토박이말입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아름다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푸른 하늘에 높이 떠 있는 하얀 섬유 모양의 구름. 높이 5~13km 사이, 기온 영하 20℃ 이하인 곳에 나타난다. 빙정(氷晶)이 모여 생긴 것으로서 해나 달 주위에 끼면 무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표준국어대사전》 높이 5~13킬로미터 사이에 분포하고, 미세한 얼음의 결정(알갱이)으로 이루어져 새털처럼 보이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새털구름'은 우리가 볼 수 있는 구름 가운데 아주 높은 곳(5~13km)에 떠 있는 구름입니다. 이렇게 높은 곳은 몹시 춥기 때문에, 우리가 아는 '물방울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우뚝 솟은 높은 묏부리(산봉우리)를 멀리서 바라볼 때, 다른 곳은 다 맑은데 유독 그 꼭대기에만 모자를 씌운 듯 구름 한 조각이 둥실 걸려 있는 모습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마치 뫼(산)가 부끄러워 얼굴을 가린 것 같기도 하고, 뭔가 나타날 듯 야릇한 낌새를 풍기기도 합니다. 바람이 불어도 쉬이 날아가지 않고, 꼭 그 자리에 붙박인 듯 묏부리를 감싸고 있는 이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멋진 바람빛(풍경)을 담은 '삿갓구름'입니다. '삿갓구름'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구름의 모양이 '삿갓'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삿갓'은 예로부터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비를 막거나 볕을 가리려고 쓰던, 대나 갈대 같은 것으로 엮어 만든 뾰족한 모자를 말합니다. 이 삿갓의 모양을 떠올리며 말집(사전)의 풀이를 살펴보면 그 모습이 더욱 또렷이 그려집니다. 외딴 산봉우리의 꼭대기 부근에 둘러져 있는 갓 모양의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외딴 산봉우리의 꼭대기 부근에 걸리는 삿갓 모양의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외딴 산봉우리' 꼭대기에 '삿갓(갓)' 모양으로 '둘러져 있거나' '걸려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