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새싹 위에 또롱또롱 봄비가 찾아왔어요. 봄나들이 가자고 또로롱또로롱 봄비가 놀러 왔어요. 어서어서 자라라고 쭈욱쭈욱 봄비가 내리고 있어요. 서현이 봄비는 조롱조롱 할머니 봄비는 대롱대롱” – 42쪽 ‘봄비 1’ 가운데 - “하얀 꽃, 노란 꽃 봄 속에 파묻혀서 색깔 꽃놀이하다 배고픈 서현에게 ‘서현아, 뭐가 먹고 싶니? 묻자마자 ‘까만 국수’, 까만 국수 무얼까 곰곰이 생각하니 국수에도 색깔들이 하얀색, 노란색... 우리는 짜장면 집으로 룰루랄라” - 54쪽, ‘까만 국수’ 가운데 - 이는 정현경 작가의 동시집 《세 살배기의 말 몸살-세 살에게 배우다》에 나오는 노랫말이다. 분홍빛 표지에 새싹을 그린 꽃잎을 아로새긴 동시집을 손수 들고 연구소를 찾은 정현경 작가를 지난 4월 15일 만났다. 진주의병장 정한용의 증손녀로 태어난 정현경 작가는 의병장 할아버지의 삶을 다룬 《바람은 썩지 않는다》(전 2권, 2019, 2023)를 썼으며 시집 《우화의 날갯짓》(2029)을 쓴 탄탄한 실력을 지닌 수필가자 시인이다. 그가 돌아간 뒤 앙증맞은 동시집을 열어 보았다. “손주 돌봐 달라는 딸의 요청에 난 별 고민 없이 승낙했다. 세 남매를 키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경영의 신(神)! 호암 이병철은 굴지의 대기업 삼성그룹을 일으키고 길러낸 장본인으로, 한국 경영사는 물론이고 세계 경영사에 한 획을 그은 인물이다. ‘크고, 많고, 강한 것’을 뜻하는 ‘삼(三)’과 ‘밝고 높고 영원히 깨끗이 빛난다’라는 뜻의 ‘성(星)’을 합친 ‘삼성’을 창업했을 1938년만 해도, 삼성이 이와 같은 지구촌 대기업이 될 것이라고는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병철은 ‘사업보국’을 기치로 이를 차근차근 이뤄냈다. 설탕과 옷 등의 수입을 대체하기 위해 ‘제일제당’과 ‘제일모직’을 세우고, 1960년대는 금융과 전자산업을, 1970년대에는 중화학공업을 일궈냈다. 그리고 1982년 세운 ‘삼성반도체통신’은 오늘날 세계 반도체 시장을 주름잡는 삼성반도체가 되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기획으로 조준상이 글을 쓰고 만화를 그려 호암 이병철의 생애를 재미있게 보여주는 이 책, 《재계의 거목 호암 이병철》은 삼성 창업주의 생애를 짧은 시간에 잘 파악할 수 있는 책이다. 누구나 안다고 생각하면서도 막상 어디서 태어났는지, 어떤 교육을 받았는지, 어떤 실패를 겪고 어떻게 재기했는지는 잘 모를 법한 이병철의 생애를 살펴볼 수 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곡우(穀雨) - 류병구 요 며칠 새 온통 벚꽃에 눈들을 파는 사이, 고약한 황사에 데어 봄이 좀 눌었다 좁다란 가마니 속에서 긴 잠을 잔 씨나락이 졸음을 문 채, 솔가지 틈새로 늦봄 간을 본다 진달래가 참꽃을 흉내 내는 개꽃한테 온 산을 비워 주고 느릿느릿 퇴거짐을 꾸린다 내일은 24절기 여섯째며, 봄 절기의 마지막 ‘곡우’다. “곡우(穀雨)는 봄비(春雨)가 내려 백곡(百穀)을 기름지게 한다.”라고 하여 붙여진 말인데 곡우 무렵이면 못자리를 마련하기 시작하여 본격적으로, 농사철로 접어든다. “곡우에 모든 곡물은 잠이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와 같은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전한다. 옛날에는 곡우 무렵에 못자리할 준비로 볍씨를 담그는데 볍씨를 담은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었다. 밖에 나가 부정한 일을 당했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에 집안에 들어오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볼 수 없게 하였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믿음이 있어서 그랬다. 볍씨를 담그면 항아리에 금줄을 쳐놓고 고사를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