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대나무가 잘 자라는 담양은 옛부터 죽제품의 고장으로 죽세공품인 돗자리을 비롯한 대바구니 등 생활용품들이 생산되었던 대나무의 고향으로 유명하였다. 지금도 담양에는 울창한 대나무 숲으로 "죽녹원"이 있어 국내 유일한 왕대숲의 푸른 대나무의 꺾이지 않는 절개를 느껴볼 수 있어 많은 탐방객들이 찾는 곳이다. 죽녹원에 가면 옛 대나무 생활용품들이 전시되어있다.
이런 담양에는 백제시대부터 창건된 절로 알려진 천년고찰이 있으니, 그 절은 용흥사이다. 그런데 오래된 절로 알려지긴 하였지만 조선 이전의 흔적은 찾기 어렵고 조선조 숙종(1674~1720)의 상궁이었던 숙빈최씨가 이 절에서 기도 한 뒤 영조를 낳았다고 하며, 영조가 등극한 뒤 이 절의 이름도 용구사에서 용흥사로 바뀌었다. 영조 이후 용흥사는 조선시대임에도 왕실의 도움을 받아 크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조선이 기울고 일본침략기를 맞이하게 된 19세기 말에는 일제와 싸우기 위하여 호남에서 일어난 죽창을 든 의병들의 본거지가 되어 일본군에 의하여 용흥사의 전각들이 모두 불에 타고 말았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접어들어 1930년 대에는 근처 백양사의 승려인 정신스님이 대웅전과 유사채를 세웠으나 이 또한 20년도 채 되지 않아 1950년 한국전쟁으로 또 다시 불타고 말았다. 그러나 전쟁이 끝난 뒤 20여년 만인 1970년대에 현재의 대웅전을 새로 짖고 1990년대부터 대대적인 복원불사를 일으켜 맘양에서 아름다운 절로 오늘의 모습이 되었다.
현재 용흥사의 가장 오래된 보물로는 1644년 인조22년 조성된 범종이 있는데, 이 종에는 '용구사'라는 절 이름이 새겨져 있어, 용흥사의 옛 이름은 용구사였음을 알 수있다. 현재 용흥사에는 대웅전과 미타전을 비롯하여 잘 정돈된 터 위에 한국 절의 품격에 맞는 전각들이 들어서 있으며 경사진 부지를 단계별 자연석 석축으로 구분하여 천왕문을 지나 용구루를 올라서면 주불전인 대웅전이 자리하고 있어, 잘 정돈된 사찰건축의 면목을 느낄 수 있다.
8월초 대웅전 앞에는 붉게 피어난 목백일홍이 화사하게 피어나 마치 부처님전에 꽃공양을 바치는 듯 아름답게 장식하고 있어 더욱 정겨웠다. 용흥사는 최근에 들어서 많은 불사를 행하였지만, 아직도 더 많은 불사들이 이루어지고 있어 몇 년이 지난 뒤에는 호남지방에서 보기 드믄 아름다운 명소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인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한 여름이지만 땀범벅 속에서도 눈으로 마음으로 본 용흥사의 모습은 마음 가득 큰 기쁨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