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우리 선조들은 이땅을 극락같이 아름답고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들고자 명산 명당터를 찾아 절을 세웠습니다. 그렇게 세웠던 절들은 한동안 선조들이 염원한 것처럼 지상에서 볼 수 있는 극락이 되었지만 세상의 변화에 따라 절의 운명도 바뀌어 융성하던 절들도 전란을 피하지 못하고 무너져 내린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선조들이 이룩했던 절터에는 극락세계를 이루고자 염원하며 정성을 다했던 자취들이 남아서 옛 영화를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비록 지금은 옛 영화를 볼 수 없지만, 언젠가 다시 서게 될 날을 기원하며 선조들의 염원을 담아 그 이야기를 눈으로 보고 이를 표현한 것들이 사진작품이 되어서, 그 뜻을 알리고자 많은 이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옛 절터 사진전에 관심있는 독자님들의 관람을 추천합니다. □ 사진전명 : 천년의 혼, 옛 절터 □ 전시기간 : 2025. 11. 7.(금) - 2025. 11 . 20(목) □ 전시작품 : 김선화 외 다섯 작가 작품 24점 □ 전시장소 : 대한불교조계종 국제선센터 1층 로비(서울 양천구 소재)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공원공단 덕유산국립공원사무소(소장 안길선)은 향적봉에 금년도 첫 상고대가 관측됐다고 밝혔다. 10월 27일 아침 08시 20분 설천봉은 기온이 영하 2.0도까지 떨어지고, 100%의 습도가 형성되면서 덕유산 향적봉(1614m), 대피소 등 주능선에 올해 첫 상고대가 생성됐다. 작년(2024년)의 경우 11월 21일에 첫 상고대가 관측된 것에 견주어 한 달 가까이 빠른 시기에 상고대가 피었다. 자동기상관측장비가 설치된 설천봉 정상(1,520m)의 기온은 10월 27일 아침 8시 20분 영하 2.0도까지 떨어졌고, 정오(12시)에도 0.8도의 온도가 유지되는 등 덕유산의 이른 겨울의 시작을 알렸다. 향적봉은 이른 겨울을 맞이하는 한편 덕유산의 적상산은 아직 단풍이 채 물들지 않았다. 적상산의 단풍은 11월 1일 전후로 절정을 맞이할 것으로 보인다. 차회찬 덕유산국립공원 행정과장은 “설천봉부터 향적봉은 해발 1,500m 이상의 아고산대 지역으로 저지대와는 다른 기상 기후를 보이므로, 산악 기상정보를 사전에 확인하고 방한용품을 철저히 갖추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이곳은 통일이 되는 그날 철거됩니다.’라고 하면 ‘어디지?’라고 궁금해할 독자들이 있을 것이다. 그런 다음에는 곧 ‘휴전선?’을 떠 올릴 사람들이 있을지 모르겠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얼추 맞다. 하지만 남북 사이에 그어진 휴전선이라기보다는 철도가 북으로 달리다가 멈춘 임진각의 끝지점이라고 해야 옳다. 그제(18일) 토요일 낮, 북한이 보이는 남한땅 맨끝, 더 이상 발걸음을 할 수 없는 곳인 임진각 나들이를 했다. 바로 지척에 살고 있지만 이곳을 찾는 경우는 나라 밖에 살고 있다가 아주 오랜만에 고국 나들이를 하는 친지나 외국인 지인들이 한국을 찾았을 때 안내하기 위해 따라나서는 때를 빼고는 거의 발걸음을 하지 않는다. 마침, 임진각이 자리 잡은 파주 통일동산에서 개성인삼축제(18일~19일)를 한다기에 내친김에 바로 옆에 있는 임진각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주말인 데다가 축제까지 겹쳐 차량들이 뒤엉켜 먼 곳에 차를 주차하고 임진각을 향해 걸었다. 쉴새 없이 대형버스들이 임진각 광장으로 몰려들었는데 내리는 사람들은 거의가 외국인들이었다. 아무렴 서울에서 가깝다 보니 외국인 관광의 필수 코스라도 되는 양, 발 디딜 틈이 없이 혼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