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구름조금동두천 11.7℃
  • 맑음강릉 15.3℃
  • 맑음서울 13.1℃
  • 구름조금대전 12.9℃
  • 맑음대구 13.2℃
  • 맑음울산 14.5℃
  • 구름많음광주 13.5℃
  • 맑음부산 17.9℃
  • 구름조금고창 11.8℃
  • 구름많음제주 16.1℃
  • 맑음강화 12.5℃
  • 구름조금보은 12.7℃
  • 맑음금산 12.7℃
  • 구름많음강진군 14.1℃
  • 맑음경주시 14.2℃
  • 맑음거제 14.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유산

「서천읍성」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

조선 초기 연해읍성(沿海邑城) 축성기법 변천 과정 등이 충실히 반영된 값어치 인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11월 11일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하였다.

 

「서천읍성」은 조선 초기 세종 연간(1438년~1450년 경)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쌓은 1,645m 규모의 연해읍성(沿海邑城)이다. 연해읍성으로는 드물게 산지(山地)의 지형을 활용하여 축성되었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으로 전국의 읍성이 철거되는 수난 속에서도 남문터 주변 등 일부를 뺀 성벽 대부분이 훼손되지 않고 잘 남아있다.

* 연해읍성(沿海邑城): 조선 초기, 주로 세종 연간에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고 지방행정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 주도로 해안 요충지에 축조한 읍성

* 서천읍성 성벽 잔존현황: 둘레 1,645m 가운데 1,535.5m 잔존(약 93.3%)

 

 

 

 

「서천읍성」은 1438년(세종 20년)에 반포된 <축성신도(築城新圖)>에 따른 ‘계단식 내벽’과, 축성신도 반포 이후 나타난 문제점 해결을 위해 1443년(세종25년) 이보흠(李甫欽)이 건의한 한양도성의 축조기법인 ‘수직 내벽’이 동시에 확인되는 성(城)으로 조선 초기 축성정책의 변천과정을 이해할 수 있어 역사적 값어치가 크다.

* 축성신도(築城新圖) : 축성에 대한 새로운 도본(圖本), 조선 초기 성을 쌓을 때의 기준

 

 

 

 

 

 

 

문헌에 따르면 서천읍성에 17곳인 것으로 추정되는 치성(雉城)이 현재까지 16곳으로 조사되며 대체로 90m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것이 확인되는데, 이는 1433년(세종 15년) 150보(약 155m) 간격의 설치 기준보다 촘촘하게 배치된 형태로, 다른 읍성에서는 찾기 어려운 독특한 양식을 가진다.

* 치성(雉城): 성 밑에 접근하는 적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성벽에 돌출하여 쌓은 시설

 

이 밖에도 적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성 밖을 둘러 판 해자의 유구와 땅을 판 구덩이 형태의 흔적인 수혈유구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읍성이 축조된 뒤 후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이 서천읍성은 조선 초기의 연해읍성 축성 구조와 변화 과정 등을 잘 보여주고, 다양한 조선 초기 읍성의 유구 등이 잘 남아있어 높은 역사적, 학술적 값어치를 보유한 국가유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