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장소원, 이하 국어원)은 ‘에듀 테크’를 대신할 쉬운 우리말로 ‘교육 정보 기술’을 꼽았다. ‘에듀 테크’는 교육 분야에 접목한 빅 데이터, 인공 지능 등의 정보 통신 기술을 이르는 말이다. 또 정보 기술 기업 가운데 규모가 크고 시장 점유율이 높은 기업. 국내 금융 산업에서는 주로 온라인 플랫폼 제공 사업을 핵심으로 하다가 금융 시장에 진출한 업체를 지칭하는 말로 쓰이는 ‘빅테크(big tech)’는 ‘정보 기술 대기업’을 제시했다.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외국어 새말 바꿈말 제공 체계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6월 15일(수)에 열린 새말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으로 검토해 ‘에듀 테크’의 대체어로 ‘교육 정보 기술’을 꼽았다. * 새말모임: 어려운 외래말이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이 이해하기 쉬운 다듬은 말을 제공하기 위해 국어 유관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 문체부와 국어원은 ‘에듀 테크’처럼 어려운 외래말 때문에 국민이 정보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교육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장-미셸 오토니엘: 정원과 정원》은 ‘유리구슬 조각’으로 잘 알려진 프랑스의 대표적인 현대미술가 장-미셸 오토니엘의 개인전으로 작가가 최근 10여 년 동안 발전시킨 회화, 조각, 설치작품 70여 점을 선보인다. 오토니엘은 1980년대 후반부터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권의 관습, 신화적 상상력 등을 엮어 작가만의 섬세한 아름다움이 돋보이는 작품을 선보여 왔으며, 미술관 밖의 공간에서 대중의 삶과 자연, 역사와 건축과의 만남을 시도해왔다. 이번 전시 《장-미셸 오토니엘: 정원과 정원》은 오토니엘의 이러한 공공 야외 설치작업의 연장선상에서 서울시립미술관과 야외조각공원, 그리고 덕수궁에서 전개됨으로써 다양한 공간과 대중에 접근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전시 제목인 ‘정원과 정원’은 복수의 전시 장소를 지칭하는 한편 작품을 거쳐 관객의 마음에 맺히는 사유의 정원을 포괄한다. 어린 시절부터 각양각색의 꽃에 매료되었던 오토니엘에게 정원은 환상을 꿈꾸는 공간이자, 영감을 샘솟게 하는 보물창고 같은 공간이다. 오토니엘은 정원에 대한 이러한 열망을 반영해 서울시립미술관과 인접한 덕수궁을 자신의 마법을 펼칠 공간으로 선택하였다. 덕수궁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전문예술법인 빛소리친구들(대표 최영묵)은 오는 7월 4일부터 31일까지 ‘2022년 MADE 장애인무용전문교육’ 수강생을 모집한다. 전문장애무용수 양성을 위해 고안된 교육과정과 장애인무용교육 및 공연 분야에서 풍부한 경험을 가진 강사진의 참여를 기반으로 매년 성장하고 있는 MADE는 현재 중앙교육원과 인천교육원을 합하여 약 100명의 수강생이 전문 무용교육을 받고 있으며, 지난 상반기 정규모집 과정을 통해 중앙교육원과 모두 40명의 신규수강생이 지원했고, 모두 34명이 마지막으로 뽑혀, 전문교육을 받고 있다. 이번 수시모집은 중앙교육원과 인천교육원 각각 따로 진행되며, 장애인무용 전문교육의 수혜를 받고자하는 서울ㆍ경기ㆍ인천지역 장애인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여 장애무용교육 접근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수강생 선발은 정규모집과 동일하게 서류지원과 대면 오디션 과정을 통해 진행되며, 중앙교육원과 인천교육원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진행된다. 특히 대면 오디션은 지원자의 개인별 특성과 역량에 따른 맞춤 수업 제공을 위한 시간으로 지원자들의 편의를 돕고 있다. 뽑힌 수강생은 장애인무용 전문교육장인 MADE 중앙교육원과 인천교육원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