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4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어싣기(연재)

전체기사 보기


특차도해포적사 지운영, 김옥균 암살 기도

고종의 위임장과 5만 원의 공작금을 받아 [돌아온 개화기 사람들] 47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지운영은 종두법으로 유명한 지석영의 형이다. 1851년 생으로 김옥균보다는 한 살 아래다. 그는 추사 김정희의 제자였고 개화 선각자 강위(姜瑋)에게서 시문을 배웠다고 한다. 한때 외무부서의 주사로 일한 적이 있는데 그때 김옥균은 그의 상사였다. 그러니까 서로 모르는 사이가 아니다. 개화에 눈을 뜬 지운영은 일본으로 건너가 사진술을 배워 돌아온 뒤 서울에서 사진관을 열기도 했다. 이처럼 특이한 이력의 사나이가 갑신정변 뒤 섬뜩한 글 한 편을 쓴다. 이름하여 ‘지씨필검(池氏筆劍)’. ‘필검’이란 문자 그대로 검으로 사람을 죽이는 살인검(殺人劍)을 뜻한다. 개화파의 ‘죄상’을 험하게 고발한 이 글이 조정에 알려지자, 지운영은 천하에 둘도 없는 관직명을 받는다. 특차도해포적사(特差渡海捕賊使). ‘바다건너 역적을 잡아 오는 사신’이라는 뜻이겠다. 이 희한한 직명과 함께 고종의 위임장과 함께 5만 원의 공작금까지 받는다. 그뿐이 아니다. 날이 퍼런 단도까지. 지운영이 일본에 잠입한 것은 1886년 초. 그는 고베로 가서 장갑복이라는 사람을 여러 차례 만나 김옥균의 동정을 파악한다. 그해 3월 지운영은 김옥균에게 편지를 보내 만남을 청한다.

다시 살아 돌아온 '발해’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우리 겨레의 역사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318]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우리 동포들이 많이 사는 중국 길림성 연길화룡지구에 가면 용두산이란 산이 있다. 조두남 선생이 만들어 우리 민족의 애창곡이 된 가곡 <선구자>의 2절은 용두산 자락 우물을 통해 이 땅에 살던 옛 조상들의 웅대한 기상을 소환한다. 이 용두산에서 1980년에 발해의 3대 왕 문왕(文王, 재위 737~793)의 넷째 딸 정효공주(貞孝公主, 757~792)의 무덤이 발굴되었다. 돌방 형식으로 만든 이 무덤에서는 묘실의 벽을 돌아가며 12명의 인물을 그린 벽화가 남아 있어 잊혔던 발해의 인물과 의상 등이 처음 역사에서 깨어났고 이 덕분에 근처에 흩어진 무덤들이 당시 문왕 가족의 묘원이었음이 드러났다. 이곳에서 멀지 않은 돈화시 육정산에서는 1949년에 둘째 딸 정혜공주(貞惠公主, 737~777년) 묘임을 알리는 각종 유물이 대거 나왔고 여기에 발해를 상징하는 돌사자 조각도 출토되었기에, 이 일대의 발굴은 잃어버린 고대 왕국 발해를 되살리고 그 역사를 다시 연구하는 결정적인 계기기 된 바 있다. 그런데 정효공주 묘가 있는 그 용두산에 있는 3대 문왕의 황후 무덤 등 발해의 역사를 밝히는 귀중한 유물과 자료들이 이번에 처음으로

교실에서부터 우리말 지킴이 키워야 '말의 민주화'

[광복 80돌] 되찾은 '나라', 되찾지 못한 '말'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나라 찾은 날 여든 돌'이 지났습니다. 앞서 여섯 차례에 걸쳐서 아직 되찾지 못한 우리말의 여러 모습을 살펴보았습니다. 우리는 마침내 모든 문제의 뿌리이자 모든 풀수(해법)의 시작점이 될 마지막 물음 앞에 섰습니다. 이 모든 잘못된 것들을 바로잡고, 참된 '언어 광복'을 다음 세대에게 물려주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그 모든 문제의 시작과 끝은 한 곳을 향합니다. 바로 우리의 아이들이 말을 배우고 생각을 키우는 곳, '학교'입니다. 왜 학교일까요? 아무리 나라 이름을 바로 세우고, 법률 용어를 뜯어고치고, 땅이름을 되찾아도, 그것을 배우고 익혀 다음 세대로 이어갈 아이들이 없다면 모든 노력은 한낱 구호로 그칠 것이기 때문입니다. 말과 글은 살아있는 숨탄것(생명체)이며, 그 숨을 이어가는 터전이 바로 교실이기 때문입니다. 국립국어원을 새롭게 하고 국어기본법을 고치는 것이 곪아 터진 곳을 도려내는 '외과적 수술'이라면, 교육은 그 수술을 마친 몸에 신선하고 건강한 피를 돌게 하여 새로운 숨을 불어넣는 '염통(심장)'의 구실과 같습니다. 아무리 수술을 잘해도 염통이 제대로 뛰지 않으면 목숨을 이어갈 수 없습니다. 그러나 오늘

시대를 찍다 진실을 담다, 사진가 임응식

《사진가 임응식》, 권태균, 나무숲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p.28) “사진은 기록과 진실을 담은 예술이어야 한다. 사진은 삶 속에 일어나는 모든 현상을 표현해야 한다. 그것이 아름다운 것이든, 추한 것이든, 참혹한 것이든.” 임응식. 가슴팍에 ‘求職(구직)’을 써 붙인 한 젊은이의 사진을 어디선가 본 적이 있는가? 그 사진을 찍은 이가 바로 임응식이다. 사진을 하는 이들에겐 잘 알려져 있을 사진계의 큰 예술가이지만, 그렇지 않은 이들에겐 퍽 낯설 이름이다. 권태균 작가가 사진가 임응식의 삶을 해상도 높게 보여주는 이 책, 《사진가 임응식》은 나무숲 출판사의 ‘예술가이야기’ 시리즈 가운데 한 편이다. ‘예술가이야기’ 시리즈는 음악, 미술, 연극, 무용, 사진 등 각 분야에서 우리 문화를 북돋운 예술가들의 삶과 예술세계를 소개하는 책이다. 사진가 임응식은 1912년 부산에서 태어나 90살에 세상과 작별할 때까지 사진을 위해 살았던, 한국 사진계의 대들보 같은 인물이다. 와세다중학교에 입학한 그는 만주에 갔던 맏형이 선물한 카메라를 입학 선물로 받았다. 방학을 맞아 부산 고향집에 와서 지낼 때면 산과 들을 쏘다니며 사진을 찍었고, 작업실에서 현상과 인화를 하는 재미에 푹 빠졌다. 그때만 해

같은 오늘 다른 미래

아침마다 똑같은 루틴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나에게 [정운복의 아침시평 277]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아인슈타인은 이야기합니다. "어제와 똑같이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정신병 초기 증세이다." 아인슈타인의 말은 마치 나를 향해 던진 화살처럼 느껴집니다. 아침마다 똑같은 루틴을 반복하며 살아가는 나에게, ‘과연 다른 미래를 꿈꿀 자격이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진 것이지요. 어쩌면 우린 어제와 조금씩 다른 오늘을 살고 있다고 착각하는지도 모릅니다. 곰곰이 생각해 보면, 우리의 하루는 대부분 똑같은 유형으로 반복되고 있지요. 출근, 근무, 퇴근 뒤의 피로감까지도 어제와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내일은 더 나은 날이 될 것이라고 막연하게 기대합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말처럼, 어제와 똑같은 삶을 살면서 다른 미래를 기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만약 우리가 진정으로 다른 미래를 원한다면, 먼저 우리의 현재를 바꿔야 하지요. 작은 습관 하나를 바꾸는 것부터 시작해, 조금씩 새로운 것에 도전하고, 익숙한 것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하루아침에 모든 것을 바꾸는 것은 쉽지 않지만 작은 변화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날마다 아침 더 일찍 일어나 책을 읽거나, 새로운 운동을

사장님은 K 교수만 바라보고 있는데요

이뭐꼬의 장편소설 <꿈속에서 미녀와> 30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그레이브 할아버지가 바둑을 배운 뒤에 체스를 그만둔 까닭은 충분히 이해가 간다. 바둑판은 가로세로 19줄이니까 모두 361개의 교차점이 만들어진다. 체스는 가로세로 8줄, 그러니까 모두 64개의 교차점이 만들어진다. 당연히 바둑이 체스보다 훨씬 변화가 많고 재미있다. 바둑 모임 회장인 브라운 씨는 논리학 교수답게 바둑과 체스를 비교하는 흥미로운 글을 시러큐스 대학 학생회에서 발행하는 일간 신문(The Daily Orange)에 기고한 적이 있다. K 교수는 그 글을 우연히 읽어 보았는데, 다음과 같은 내용이었다. 첫째, 바둑은 시간이 갈수록 판이 채워지는데 체스는 시간이 갈수록 판이 비워진다. 알다시피 체스는 상대방 말을 하나씩 잡으면 판에서 내려놓는다. 물론 바둑에서도 무리진 돌들을 포위하여 잡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시간이 갈수록 바둑판에는 돌이 많아지고 공간이 적어진다. 둘째로, 바둑에서 죽은 돌은 게임이 끝나면서 상대방 집을 메우는 역할을 한다. 곧 죽은 돌 하나가 한 집과 맞먹는 역할을 한다. 체스에서 죽은 돌은 임무가 끝난다. 그러나 간혹 졸(pawn)이 상대방 진지 끝줄까지 전진하면 죽은 말 하나를 다시 살

중용의 미학

균형 잡힌 삶이 가장 아름다운 삶 [정운복의 아침시평 276]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과유불급(過猶不及)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지나친 것은 모자라는 것과 같다”라는 뜻으로 지나친 것과 모자란 것을 동일시 하고 있지요. 어떤 일이든 지나치면 오히려 해가 된다는 이 단순한 진리는, 인생의 모든 면에 적용되는 불변의 이치를 담고 있습니다. 동양철학의 중용(中庸)이나 중도(中道) 역시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지요. 우리는 흔히 ‘적당한 것이 좋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적당함’이라는 단어는 다소 어정쩡하고 추상적인 느낌을 줍니다. 과유불급의 관점에서 보면, ‘적당함’이란 단순히 어떤 기준점에서 조금 벗어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마치 맞춤옷처럼 개인과 상황에 꼭 맞아떨어지는 최적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모든 것은 양면성을 지니고 있지요. 몸에 좋은 약이라도 과하게 먹으면 독이 됩니다. 향수도 마찬가지입니다. 은은한 향기는 기분을 좋게 만들지만, 지나치게 강한 향기는 오히려 불쾌감을 초래합니다. 이처럼 어떤 것이든 정도가 지나치면 본래의 목적과는 반대의 결과에 맞닥뜨릴 수 있습니다. 우리의 삶도 그러하지 않을까요? 사랑, 일, 공부 등 어떤 일이든 지나치면 독이 됩니다. 사랑에 빠져 다른 모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