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2 (토)

  • 구름조금동두천 5.5℃
  • 구름많음강릉 12.5℃
  • 맑음서울 8.8℃
  • 구름조금대전 7.5℃
  • 구름조금대구 7.0℃
  • 맑음울산 8.9℃
  • 맑음광주 8.6℃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5.7℃
  • 구름많음제주 10.1℃
  • 맑음강화 5.0℃
  • 구름많음보은 3.6℃
  • 구름조금금산 4.2℃
  • 맑음강진군 5.4℃
  • 맑음경주시 4.9℃
  • 맑음거제 7.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어싣기(연재)

전체기사 보기


단재, 득의의 붓대 고쳐 잡고, 마음 거문고 퉁기고

신채호의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를 펼쳐본다 [돌아온 개화기 사람들] 57

[우리문화신문=김선흥 작가] 어제 상해 임시정부를 방문하고 밤늦게 돌아왔다. 오늘 새벽 머리맡에 흩어져 있는 몇 권의 책 가운데 단재 신채호의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를 펼쳐보았다. 단재와 가깝게 지냈던 안재홍의 서문을 다시 읽어 본다. 폐부를 울린다. 여기 일부를 옮긴다. 약간 쉬운말로 바꾸어 옮긴다. 단재 신채호는 구한말이 낳은 천재적 사학자이자 열렬한 독립운동가다. 그 천성의 준열함과 식견의 예리함은 세속의 무리가 따를 수 없었던고, 사상의 고매함은 홀로 속세를 한 걸음 벗어났다. 그의 《조선상고사》는 그가 남긴 책 가운데서 가장 이채로운 것이다. 그는 이미 약관의 나이에 사상혁명과 신도덕 수립에 뜻을 세운 바 있었다. 마침, 5천 년 조국의 명맥이 날로 기울어가고 백성들의 울분은 걷잡을 수 없었던 때였다. 서울의 평론계에 나선 단재는 억누를 수 없는 북받쳐 오르는 청열(淸熱)을 항상 한 자루 붓으로 사회에 드러냈고, 이로써 민족의 심장을 쳐서 움직였다. 그가 주필로 있었던 ‘황성일보’와 ‘대한매일신보’는 아마 그의 청년시대에 마음의 집으로 삼고 살았던, 꺼지지 않는 꿈의 자취라고 할 것이다. 그는 국정의 득실(得失)을 통렬히 논파하였고, 당시 인물들

그래도 등불을 켜고

잘 갈무리하여 내년 봄에 거름으로 삼을 것 [이동식의 솔바람과 송순주 328]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지난여름 지독히도 비가 많이 내려 단풍이 물들 10월까지 햇살을 본 날이 손꼽을 정도고, 그러다 보니 사과 등 과일이 빨갛게 색이 나지 않아 과수농가들이 한숨을 많이 쉬었다. 과연 올가을처럼 가을같지 않은 가을은 많지 않았던 것 같다. 그래도 달력이 이미 11윌도 하순이니 그야말로 예년 기준으로 보면 가을을 보지도 못했는데 이미 가을이 다 갔다고 해야 할 터다. 문득 가을이란 계절의 이름은 무슨 뜻이고 어디서 왔을까 궁금해진다. 더듬어 보니 사람들은 가을을 한자 ‘추(秋)’ 자로 많이 설명한다. 곧 ‘벼. 화’와 ‘귀뚜라미’의 합성어라고 말이다 ‘秋’ 자에 붙어있는 ‘火’ 자는 원래는 귀뚜라미 모습인데 획이 복잡해 火자로 변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순수 우리말 '가을'이 있음에랴. 우리 말 어원이 있을 터인데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이를 알려면 또다른 계절 ‘봄’과 ‘여름’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우리말 ‘봄’은 동사 ‘보다’에서 왔다고 한다. 봄이 오면 모든 생물체는 겨울의 긴 휴지기를 끝내고 새롭게 태어난다. 식물은 싹을 돋우고, 동물들은 겨울이 끝났다고 기지개를 켠다. 따라서 여기에서 새로운 생명의 탄생과 싹틈을 ‘보다’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안개구름

포근한 이불 같은 구름, 안개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이른 아침, 문을 열었을 때 누리가(세상)가 온통 뽀얀 잿빛으로 물들어 있는 것을 본 적 있으신가요? 뫼(산)허리에 부드럽게 감겨 있거나, 들판 위에 나지막이 내려앉아 고요함을 자아내는 구름.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인데, 그 모습이 마치 땅에서 피어오른 안개와 너무나 닮아 있는 이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땅과 가장 가까이서 우리를 감싸주는 '안개구름'입니다. '안개구름'은 이름 그대로 '안개'처럼 보이는 '구름'입니다. 하늘 높이 떠 있는 다른 구름들과 달리, 땅에 닿을 듯 말 듯 아주 낮게 깔리는 것이 남다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포근한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하층운의 하나. 지평선과 나란히 층상(層狀)을 이루며, 높이 0~2km에 분포한다. 안개처럼 땅 위에 가장 가까이 층을 이루는데, 비가 올 때의 산간 지대나 맑은 날 이른 아침의 평야 지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하층운의 하나로, 지면 가까이에 층을 이루며 나타나는 안개 비슷한 회색 구름. 높이 0~2킬로미터에 분포하며, 안개처럼 땅 위에 가장 가까이 층을 이루는데, 비가 올 때의 산간 지대나 맑은 날 이른 아침의 평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쌘비구름

하늘 높이 쌓인 비구름, 쌘비구름 소나기구름, 적란운, 뇌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여름날, 하늘에 둥실 떠 있던 하얀 '쌘구름(뭉게구름)'이 어느새 무섭게 솟아오릅니다. 뭉게뭉게 피어오르던 솜 뭉치가 하늘을 찌를 듯이 커다란 뫼(산)가 되고, 볕을 받아 하얗게 빛나던 꼭대기와 달리 그 밑바닥은 시커먼 잿빛으로 물이 들지요. 이윽고 흙냄새를 실은 찬바람이 불어오면, 우리는 곧 천둥 번개와 함께 무서운 '소나기'가 쏟아지리란 것을 알아챕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매우 커다라면서도 무서운 구름, '쌘비구름'입니다. '쌘비구름'이라는 이름은 참으로 씩씩하고 알기 쉽습니다. 우리가 앞서 배운, 솜 뭉치처럼 차곡차곡 '쌓인 구름'을 뜻하는 '쌘구름(적운)'에 '비'가 더해진 이름이지요. 곧, '쌘구름'이 하늘 높이 어마어마하게 솟아올라 드디어 '비'를 머금게 된 구름, '비를 품은 쌘구름'이라는 뜻입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적운보다 낮게 뜨는 수직운. 위는 산 모양으로 솟고 아래는 비를 머금는다. 물방울과 빙정(氷晶)을 포함하고 있어 우박, 소나기, 천둥 따위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표준국어대사전》 수직으로 발달한 웅대하고 짙은 구름 《고려대한국어대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쌘구름

차곡차곡 쌓아 올려 쌓인 구름, 쌘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하늘에 솜을 뜯어 둥실둥실 띄워 놓은 듯한 구름. 우리는 이 살가운 구름을 '뭉게구름'이라는 이름으로 참 자주 부르지요. 바라만 보아도 마음이 넉넉해지는 이 구름에, '뭉게구름'만큼이나 멋진 우리 토박이말 이름이 또 하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이름은 바로 그 또 다른 이름, '쌘구름'입니다. '쌘구름'이라는 이름이 조금 낯설게 들리실 수도 있겠습니다. '쌘'이라는 말은 '쌓이다'의 준말 '쌔다'의 매김꼴(관형형)이랍니다. 구름의 생김새가 아마도 솜이나 볏단처럼 무언가를 차곡차곡 '쌓인 듯한' 모습을 보고 만든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쌓인 구름'이 '쌘구름'이 된 것이지요. 말집(사전) 풀이를 보면 더욱 또렷해집니다. 수직운의 하나. 뭉게뭉게 피어올라 윤곽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구름으로, 밑은 평평하고 꼭대기는 솜을 쌓아 놓은 것처럼 뭉실뭉실한 모양이며 햇빛을 받으면 하얗게 빛난다. 무더운 여름에 상승 기류로 말미암아 보통 2km 높이에서 생기는데, 발달한 구름 꼭대기는 1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며 비는 내리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 수직 방향으로 뭉게뭉게 피어올라 대체로 확실한 윤곽이 나타나

아버지 정약용, 편지로 보여준 자식 사랑

《아버지의 편지》, 정약용 글, 한문희 엮음, 함께읽는책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학연과 학유. 정약용이 끔찍이 아꼈던 두 아들의 이름이다. 수많은 책을 쓴 저자이자 사상가, 교육자로 잘 알려진 정약용은 실은 유명한 ‘사랑꾼’이기도 했다. 아내에 대한 사랑도 깊었지만, 자식들에 대한 사랑이 더욱 각별했다. 유배지에 가서도 혹시나 아이들이 엇나갈까 늘 노심초사하며 편지를 보냈다. 한문희가 엮은 이 책, 《아버지의 편지》는 정약용이 유배지에서 아이들에게 보낸 편지를 오늘날에도 보기 쉬운 입말로 풀어쓴 책이다. 편지 원문 뒤에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설과 간단한 생각할 거리도 곁들여 깊이를 더했다. 그는 부인 홍씨 사이에 6남 3녀를 두었지만 대부분 일찍 죽고 2남 1녀만이 남았다. 유배 전까지만 해도 아들들이 자신의 대를 이어 과거급제하고 입신양명하길 바라는 평범한 가장이었다. 그러나 무려 18년 동안이나 유배를 당하면서 자식교육은 가시밭길이 되었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았다. 자신이 지은 글을 수시로 보내고, 책 읽기를 독려하고, 어떻게 공부해야 하며 어떤 태도로 삶을 살아야 하는지, 편지로 상세히 일러주었다. 때로는 왜 아버지가 보낸 글을 읽지 않느냐고 살짝 질책하기도 했다. (p.20)연아, 유아야. 너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