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 명예교수] <조선왕조실록>에 풍운뢰우(風雲雷雨)는 87번이나 등장한다. 이후 문장은 기우제나 산천제와 연결되는 문장이다. * (풍운뢰우제에 쓸 향과 축문을 전하다) 임금이 풍운뢰우제(風雲雷雨祭)에 쓸 향과 축문을 친히 전하였다. (⟪세종실록⟫6/2/3) ‘기우제(祈雨祭)’란 낱말은 모두 822건 등장하는데 세종 때 92건, 숙종ㆍ영조 때도 90여 건이 된다. 세종 때 가뭄이 심한 탓도 있었겠지만 단지 비만의 문제가 아니라 비에 대비한 간척, 저수지, 수로 문제 등 여러 일과 연결되어 있으며, 세종 때 농사에 관해 관심이 컸다는 방증도 되겠다. 세종 때를 중심으로 비에 관한 기사들을 보자. * (풍우 재앙이 심한 영춘ㆍ단양에 조세를 면제하다) 충청도 도관찰사 이종선(李種善)이 계하기를, "영춘(永春)ㆍ단양(丹陽)에 풍우(風雨)의 재앙이 다른 고을보다 배나 되어, 손실(損失)이 8, 9분에 이르렀으니, 원하옵건대, 금년 조세(租稅)는 한 섬[石] 이하의 것은 면제하여 주기를 비옵나이다." 하여, 그대로 따랐다. (⟪세종실록⟫4/10/5) * (장마가 계속될 것 같아 밀·보리가 성숙하는 대로 재촉하여 베게 하다) 경기 감사에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서도좌창 <제전-祭奠>이 독백(獨白) 형식의 넋두리로 시작하던 노래였다는 이야기와 함께 ‘함종의 약률’, ‘연안, 백천의 황(왕)밤 대추’와 관련된 이야기들, 곧 함종이란 지역은 서도소리의 중시조라 할 수 있는 김관준(金官俊)이 태어난 곳으로 서도소리의 노랫말들과 서도의 창법을 정착시켰고, 재담과 배뱅이굿을 정리해서 김종조(金宗朝), 최순경(崔順景),이인수(李仁洙) 등에게 전해 주었다고 이야기했다. 또, 해서(海西, 황해도) 삼연(三沿)의 한 곳인 용강은 평안도의 대표적인 민요 <긴아리>의 발생지로도 유명한 곳이라는 이야기, <제전>은 창을 시작하기 전, 인생무상을 강조하는 푸념조의 넋두리가 나온 다음, 창(唱)으로 이어갔으나 지금은 이를 생략하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50년대 전후, 활동하던 서도의 명창들이 전해 주었다고 하는 독백형식의 넋두리 대목의 한 예를 벽파(碧波)의 《가창대계》를 통해 소개하였으나, 현재는 그 사설은 생략된 채, 불리고 있다. 이번 주에는 평양에서 이정근에게 배웠다고 하는 박기종이 전해 주는 넋두리 대목이 있는데, 앞에서 소개한 바 있는 벽파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 가운데 열아홉째 ‘입동(立冬)’으로 겨울에 들어가는 날입니다. 예로부터 우리 겨레는 이날 '치계미(雉鷄)' 잔치를 벌였습니다. 치계미는, 입동(立冬)ㆍ동지(冬至)ㆍ섣달그믐날 같은 때에 마을에서 양로 잔치를 벌였던 것을 말합니다. 본래 치계미는 사또의 밥상에 올릴 반찬값으로 받는 뇌물을 뜻하였는데, 마치 마을의 노인들을 사또처럼 대접하려는 데서 온 풍속입니다. 아무리 가난한 사람이라도 한해에 한 차례 이상은 치계미를 위해 금품을 내놓았다고 하지요. 그러나 그마저도 형편이 안 되는 사람들은 ‘도랑탕 잔치’로 대신했습니다. 입동 무렵 미꾸라지들이 겨울잠을 자기 위해 도랑에 숨는데 이때 도랑을 파면 누렇게 살이 오른 미꾸라지를 잡을 수 있었고, 이 미꾸라지로 추어탕을 끓여 노인들을 대접했는데 이를 도랑탕 잔치라고 했습니다. 추운 겨울을 앞두고 어르신들의 원기 회복과 건강을 비손하는 따뜻한 공동체 문화였습니다. 미꾸라지는 한의학적으로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어 비위(脾胃)를 보하고 설사를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합니다. 추어탕은 뼈째 끓이기 때문에 칼슘, DHA, 비타민 등 겨울철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