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구름조금동두천 14.7℃
  • 맑음강릉 15.9℃
  • 연무서울 13.2℃
  • 구름조금대전 14.7℃
  • 맑음대구 13.8℃
  • 구름조금울산 15.9℃
  • 맑음광주 15.5℃
  • 구름많음부산 15.9℃
  • 맑음고창 16.7℃
  • 구름많음제주 18.8℃
  • 구름조금강화 13.8℃
  • 맑음보은 12.1℃
  • 맑음금산 15.4℃
  • 맑음강진군 15.2℃
  • 구름조금경주시 15.4℃
  • 구름많음거제 15.4℃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창수의 토박이말 이야기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위턱구름

하늘 맨 꼭대기 얼음으로 된 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우리가 사는 집에 켜(층)가 있듯이, 머리 위 드넓은 하늘에도 켜(층)가 있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손에 잡힐 듯 낮게 깔린 구름이 있는가 하면, 고개를 한껏 젖혀도 닿을 수 없을 만큼 까마득히 높은 곳에서 엷게 빛나는 구름도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하늘이라는 집의 가장 높은 곳, 그 윗목에 머무는 구름, '위턱구름'입니다.

 

'위턱구름'은 이름에서부터 그 높이가 느껴지는 말입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이렇게 풀이하고 있습니다.

대기권 윗부분에 떠 있는 구름. 권운, 권적운, 권층운이 이에 포함되며, 대류권의 상부에 위치하여 구름 입자는 주로 얼음의 결정으로 이루어진다. 표준국어대사전

높은 공중에서 생기는 구름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위턱구름'은 땅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높은 하늘(보통 6km 위쪽)에 떠 있는 구름입니다. 이곳은 숨씨(공기)가 거의 없고 몹시 춥기 때문에, 구름이 물방울이 아닌 작고 투명한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됨됨(특징)이지요. 우리가 자주 보았던 '새털구름(권운)', '비늘구름(권적운)', '털층구름(권층운)' 등이 모두 이 '위턱구름'에 들어 갑니다.

 

앞서 우리가 만났던 '밑턱구름'이 생각나시는지요? 이 두 구름을 나란히 놓고 보면 그 다름을 더 또렷하게 알 수 있습니다. '밑턱구름'이 하늘의 1켜(가장 낮은 턱)에 살며 땅과 뫼를 어루만진다면, '위턱구름'은 하늘의 꼭대기 켜(가장 높은 턱)인 다락방에 살며 해와 달을 벗 삼습니다.

 

'밑턱구름'은 촉촉한 물방울로 이루어져 있어 묵직하고 짙은 그늘을 만들지만, '위턱구름'은 차가운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어 깃털처럼 가볍고 맑은 빛을 냅니다. '밑턱구름'이 궂은 날씨나 비를 미리 알려주며 나날살이에 가까운 느낌을 준다면, '위턱구름'은 맑은 날 높이 떠서 야릇한 자리느낌(분위기)을 자아냅니다. 이렇게 견주어 보니, 하늘 위아래 턱에 걸린 구름들의 쓰임새가 저마다 다름이 참 재미있지 않나요?

 

'위턱구름'은 맑은 날씨에 자주 볼 수 있으며, 햇빛을 받으면 얼음 알갱이가 반짝거려 하얗고 아름답게 빛납니다. 나날살이에서 다음과 같이 써 보시기 바랍니다. 

비행기가 높이 날아오르니, 아까 본 뭉게구름은 발아래 있고 창밖으로 위턱구름이 보이네요.

오늘은 하늘 저 높은 곳에 위턱구름인 새털구름만 한가롭게 떠 있어요.

땅에 가까운 낮은 구름은 '밑턱구름', 저렇게 까마득히 높은 곳에 있는 건 '위턱구름'이라고 부른단다.

 

우리가 춥고 힘든 곳이라 여길 수 있는 그 높은 곳에서, 가장 맑고 고운 빛을 내뿜는 '위턱구름'을 보며 우리 삶의 높은 뜻을 다시금 새겨봅니다. 고개를 들어 하늘을 올려다 봤을 때, 까마득히 높은 곳에 하얀 구름이 비단처럼 펼쳐져 있다면, 곁에 있는 이에게 이렇게 말해보세요. "저기 하늘 높이 있는 구름 좀 봐. 저게 바로 '위턱구름'이래." 그 높고 맑은 이름이 우리의 마음까지 맑게 씻어주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