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놀구름'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어쩐지 마음을 간질이는 소리 같기도 하고, 어릴 적 동무를 놀리 듯 부르는 이름 같기도 한데요. 어떤 구름을 가리키는 말일까요? '놀구름'은 '붉게 노을이 진 구름'을 뜻하는 토박이말입니다. 해가 뜨거나 질 무렵, 하늘을 붉게 물들이는 '노을'의 준말인 '놀'과 '구름'을 더해 만든 말이지요. 뜻을 알고 나니 참 살갑고 예쁜 이름이라는 생각이 들지 않으신가요? 우리는 흔히 '노을 진 구름' 또는 '붉은 구름'이라고 풀어서 말하곤 하지만,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이처럼 아름다운 이름을 붙여주셨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놀구름'을 '붉게 노을이 진 구름'이라고 가든하게 풀이해 놓고 보기월도 하나 없지만, 그 이름이 품은 바람빛(풍경)은 그리 가볍지 않습니다. 하루의 일을 마친 해가 땅거미 너머로 몸을 숨기기 앞, 누리에 마지막으로 건네는 따스한 인사처럼 하늘에 번지는 붉은빛. 그 빛을 고스란히 머금어 함께 붉어지는 구름이 바로 '놀구름'입니다. 때로는 붉은 빛으로, 때로는 누런 빛으로, 또 때로는 보랏여러 가지 빛이 섞인 야릇한 빛깔로 하늘을 수놓는 모습은 그야말로 하늘이 그린 한 쪽의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가을 오란비(장마)가 참 길다 싶습니다. 아침에는 그동안 내린 비보다 많은 비가 모여 내리듯 내렸습니다. 오늘은 하늘 가득 짙은 구름이 뒤덮고 있지만 여느 때 가만히 하늘을 올려다보면 구름은 참으로 많은 얼굴을 하고 있습니다. 뭉게뭉게 피어나는 솜뭉치 같다가도, 어느새 길고 가는 붓으로 그린 듯한 모습으로 바뀌기도 하지요. 오늘 우리가 만날 토박이말 ‘나비구름’은 그 많은 구름의 모습 가운데 가장 가볍고 어여쁜 모습을 담아낸 이름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나비구름’을 '날아가는 나비의 날개처럼 펼쳐진 구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합니다. 새털구름이 얇고 넓게 퍼져 있거나, 조각구름 두어 낱이 마치 나비의 날개처럼 마주보고 떠 있는 모습을 떠올리면 됩니다. 바람을 타고 하늘하늘 날아가는 나비처럼, 곧바로 날갯짓을 하며 저 멀리 날아가 버릴 것 같은 가볍고 아름다운 구름이 바로 ‘나비구름’입니다. 이처럼 어여쁜 말이니 말꽃지음이(문학 작가)의 눈에 들지 않았을 리 없습니다. 김남조 님의 가락글(시) 「겨울 바다」에 이 말이 애틋하게 담겨 있습니다. 미지의 새, / 보고 싶던 새들은 죽고 없었네. / (…) / 나비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한가위는 잘 쇠셨습니까? 환한 보름달은 보지 못해 아쉬웠지만 여러 날 쉬시면서 힘을 채우셨으리라 믿습니다. 오늘 우리가 만날 토박이말은 하늘과 땅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붙들어 한데 담은 ‘꽃구름’입니다. 이 말은 두 가지의 눈부신 바람빛(풍경)을 우리에게 안겨 줍니다. 하나는 하늘에 있고, 다른 하나는 땅에 있습니다. 먼저, 하늘에 피어나는 ‘꽃구름’을 만나보겠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꽃구름’을 '여러 가지 빛을 띤 아름다운 구름'이라고 풀이하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여러 가지 빛깔로 어우러져 아른거리는 아름다운 구름'이라고 그 모습을 더욱 생생하게 그려줍니다. 해가 뜨거나 질 무렵, 하늘이 온통 붉고 노랗고 자줏빛으로 물들 때 예쁘게 피어오르는 구름, 바로 그 모습이 ‘꽃구름’입니다. 마치 하늘에 커다란 꽃이 핀 것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지요. 이처럼 아름다운 말이니, 우리 말꽃 지음몬(문학 작품) 속에서도 그 빛을 환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꽃구름이 일고 있는 하늘 어디쯤을 한 마리의 어린 제비가 날아가고 있다고나 할까. - 최명희, 『혼불』 하지만 때로는 그 아름다움이 닿을 수 없는 꿈처럼 느껴지기도 합니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우리는 무언가의 소중함이나 쓸모를 이야기할 때 ‘가치’라는 말을 참 자주 씁니다. 그런데 혹시 이 말을 쓰면서 우리 토박이말 ‘값’이나 ‘값어치’를 떠올려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가치’와 ‘값’은 비슷한 말이라고 어렴풋이 알고는 있지만, 막상 선뜻 바꿔 쓰기는 망설여질 때가 많습니다. 그리고 '값', '값어치'라는 말보다 '가치'라는 말을 쓰는 것이 더 알맞다고 여겨질 때도 있습니다. 어쩌면 그 까닭은 우리가 늘 펼쳐 보는 말집(사전)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먼저 말집(사전)에 실린 ‘가치’의 뜻풀이를 보겠습니다. 가치(價值) 사물이 지니고 있는 쓸모. 《표준국어대사전》 / 사물이 지니고 있는 값이나 쓸모.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철학] 대상이 인간과의 관계에 의하여 지니게 되는 중요성. 《표준국어대사전》 [철학] 인간의 욕구나 관심의 대상 또는 목표가 되는 진, 선, 미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가치’의 비슷한 말(유의어)로 ‘값’과 ‘값어치’를 나란히 올려놓았습니다. 이 풀이만 보면 ‘가치’가 쓰이는 어떤 자리에든 ‘값’이나 ‘값어치’를 마음껏 골라 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어느덧 579돌 한글날을 맞았습니다. 온 누리에 으뜸가는 글자인 한글을 기리는 이날, 우리가 함께 헤아려야 할 뜻깊은 이야기가 있어 여러분과 나누고자 합니다. 우리는 늘 "말이 먼저일까, 글이 먼저일까?" 하고 묻곤 합니다. 어린아이들도 금세 답하듯, 말은 글보다 먼저입니다. 우리에게 이토록 뛰어난 한글이 있다는 것은, 그만큼 넉넉하고 아름다운 우리말이 있었기에 비롯된 것입니다. 그 가운데 가장 우리말다운 토박이말은 한글을 낳은 '한글의 어머니'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러하기에 한글을 기리는 한글날에는 우리 고유의 말인 토박이말을 함께 생각하는 것이 마땅합니다. 해마다 한글날이 되면 다른 나라 말을 잘못 마구 쓰는 것과 지나친 줄임말을 쓰는 것을 두고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하지만 이는 한글이라는 글자의 풀거리(문제)라기보다는 우리말이라는 삶의 그릇에 대한 풀거리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훌륭한 그릇이 있어도 담을 것이 알차지 못하면 그 멋과 쓰임새를 다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우리 말글살이(언어생활)에 있어 한글과 토박이말은 마치 하늘을 훨훨 나는 새의 두 날개와도 같습니다. 한쪽 날개만으로는 드넓은 하늘을 날 수 없는 새처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어떤 날의 하늘은 하나의 파란 그림종이 같지만, 또 어떤 날의 하늘은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겹의 결을 가진 깊고 그윽한 그림 같습니다. 오늘 우리가 만날 토박이말 ‘겹구름’은 바로 이처럼 하늘에 깊이를 더하는 구름을 부르는 이름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겹구름’을 ‘비슷한 모양의 것이 여러 개 겹쳐 있는 구름’이라고 풀이합니다. 마치 물결이 겹치고 겹친 듯한 무늬를 이루거나, 솜을 얇게 펴 켜켜이 쌓아 올린 듯한 구름을 떠올리면 됩니다. 하나의 덩어리가 아닌, 여러 낱의 구름이 포개지고 겹쳐져 만들어내는 바람빛(풍경)이 바로 ‘겹구름’인 셈입니다. 이처럼 깊은 느낌을 주는 말이니, 가락글 지은이(시인)들의 눈에도 그 모습이 담기지 않을 수 없었겠지요. 유안진 님의 가락글(시) 「춘천호반」에는 해 질 녘의 바람빛을 그리며 ‘겹구름’이 나옵니다. 겹구름 산 너머로 해는 기울고 / 산 그림자 드리운 호심은 고요한데 또한 오현종 님의 가락글 「아버지의 강」에서는 여러 겹으로 낀 구름이 걷히는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 겹구름 다 걷히고 저녁별 뜰 때까지 / 아버지는 술잔을 놓지 않았다 두 가락글 모두 ‘겹구름’이라는 말을 통해 하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 우리가 만날 토박이말은 그 이름부터 하늘의 한 조각을 떠올리게 하는 ‘구름칼’입니다. 이 예쁜 이름의 연장은 아주 오랜 쓰임새를 품고 있으면서도, 오늘날 우리 곁에서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름칼’을 ‘삿자리를 겯기 위하여 나무를 얇고 길게 오려 내는 데 쓰는 칼’이라고 풀이합니다. 이 뜻을 제대로 알려면 ‘삿자리’와 ‘겯다’는 말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삿자리’는 갈대를 엮어 만든 자리를 말하고, ‘겯다’는 갈대나 대나무 같은 것의 씨줄과 날줄을 어긋매끼게 엮는 것을 뜻합니다. 곧, ‘구름칼’은 우리 조상들이 갈대 자리를 만드는 데 쓰던 연장이었던 셈입니다. 그런데 왜 이름이 ‘구름칼’이었을까요? 말집(사전)은 그 생김새를 ‘날은 활 모양이며 두 손으로 잡아당겨 쓴다’고 알려줍니다. 바로 이 ‘활 모양으로 휜 날’에서 우리 조상들은 하늘에 둥실 떠 있는 구름의 부드러운 모습을 보았던 것입니다. 고된 일을 하는 연장 하나에도 하늘의 멋을 담아 부르던 마음씨가 참으로 아름답습니다. 하지만 ‘구름칼’이 어떻게 생겼는지 더 쉽게 알수 있는 찍그림(사진) 하나 찾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온 하늘이 구름으로 뒤덮여 마음까지 덩달아 무거워지는 듯한 날이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짙은 구름도 서로 맞닿은 채 끝없이 하늘을 덮고 있지는 못합니다. 오늘 우리가 만날 토박이말 ‘구름짬’은 바로 그 구름과 구름 사이에 난 작은 틈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름짬’을 ‘구름 덩이의 틈새’라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한데 뭉치어 이루어진 구름의 틈새’라고 풀이합니다. ‘짬’은 ‘틈’을 뜻하는 말이기도 하고, ‘짬을 내다’처럼 아주 짧은 겨를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러니 ‘구름짬’은 구름 사이에 난 작은 틈이자, 그 틈으로 잠시 무언가 내비치는 눈깜짝할 새를 이야기하는 것이지요. 이 말의 아름다움은 ‘구름’이 아닌 ‘짬(틈)’에 있습니다. 눈길을 구름에 빼앗기는 것이 아니라, 그 어둠 사이를 비집고 나오는 빛과 하늘을 보게 하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말집(사전)에 실린 보기들에서도 그 말의 느낌이 잘 드러납니다. 장마철이라고는 하나 간간이 구름짬으로 해가 보였다.(표준국어대사전) 먹구름 사이의 구름짬으로 실낱 같은 햇살이 보인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 이처럼 ‘구름짬’은 우리에게 작은 달램과 바람을 주는 말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우리는 하늘을 보며 그 위에 떠 있는 구름을 이야기하지만, 때로는 그 구름이 땅으로 내려와 우리를 가만히 안아주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습니다. 오늘은 바로 그 구름의 가장 부드럽고 살가운 끝자락을 일컫는 토박이말, ‘구름자락’을 만나 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름자락’을 ‘구름의 아래로 드리운 부분’이라고 풀이하고, 《고려대한국어대사전》에서는 ‘넓게 퍼진 구름의 아래로 드리운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라고 덧붙여 풀이하고 있습니다. 이 말의 참멋은 ‘자락’이라는 낱말에 있습니다. ‘자락’은 ‘치맛자락’이나 ‘두루마기 자락’처럼 옷의 아랫부분이 넓게 늘어뜨려진 곳을 가리킵니다.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을 하나의 커다란 옷으로 보았고, 그 옷의 끝자락이 뫼와 들, 바다 위로 부드럽게 드리워진 모습을 ‘구름자락’이라고 부른 것입니다. 이름을 알고 나면 바람빛(풍경)이 달리 보입니다. 뫼허리에 걸린 구름은 그냥 구름이 아니라, 뫼에 하늘의 옷이 살짝 걸친 모습이 됩니다. 그 모습은 또 얼마나 아름다울까요? ‘구름자락’은 솜털처럼 부드러운 모습일 때도 있지만, 때로는 곧 쏟아질 비를 머금어 무거운 얼굴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새로운 하루의 그림을 그리기 비롯하는 아침입니다. 우리는 거의 다 반듯한 금을 그을 때 쓰는 곧은자는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는 누리의 금들이 모두 곧은 것은 아니지요. 오늘은 그 어떤 자로도 그리기 어려운, 많고 많은 굽은금을 그리는 데 쓰는 자, ‘구름자’를 만나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구름자’를 ‘곡선을 그리는 데 쓰는 자’라고 풀이하고 있습니다. 비슷한 말로는 ‘곡선자(曲線-)’나 ‘운형자(雲形-)’,를 들고 있습니다. ‘운형자’는 ‘구름 모양 자’라는 뜻이니, ‘구름자’와 그 뜻이 꼭 닮았습니다. 다만 풀이를 할 때 쓴 '곡선'을 '굽은금'이라고 했더라면 더 좋았겠다 싶기는 합니다. 왜 하필 ‘구름’이었을까요?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을 떠올려보면 그 까닭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 구름은 하나의 곧은 금도 오롯한 동그라미도 없이 저마다의 모습으로 마음껏 피어납니다. 굳어진 모양 없이 셀 수 없을 만큼 여러 가지의 부드럽고 아름다운 굽은금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구름이지요.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은 이 연장에서 그런 구름의 모양을 보았고, ‘구름자’라는 더없이 멋진 이름을 붙여준 것입니다. 옷본을 뜨는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