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총총히 빛나는 별들 사이로, 소젖(우유)을 쏟은 듯 흐르는 '미리내'가 보입니다. 그런데 그 깊고 어두운 하늘 어딘가에, 마치 엷은 구름이 퍼져 있거나 희미한 안개가 낀 것처럼 뽀얗게 뭉쳐 있는 빛의 얼룩을 본 적 있으신가요? 그것은 우리 하늘에 뜬 구름이 아니라, 까마득히 먼 한집(우주)에 떠 있는 엄청나게 큰 구름입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야릇한 하늘에 있는 '별구름'입니다. '별구름'은 그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뛸 만큼 참 아름다운 말입니다. '별'과 '구름'이 만나, 하늘의 구름과는 사뭇 다른, 아득한 한집(우주)의 바람빛(풍경)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별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구름 모양으로 퍼져 있는 천체. 기체와 작은 고체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풀이가 참 똑똑하고 시원합니다. '천체(天體)'란 하늘에 있는 몬(물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니, '별구름'은 하늘, 곧 한집(우주)에 떠 있는 물체인데 그 모양이 꼭 '구름' 같다는 뜻입니다. 다만 우리 하늘에 뜬 '물구름'처럼 물방울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숨씨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어느 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았을 때, 얇게 퍼진 구름 사이로 동그란 구멍이 숭숭 뚫려있는 듯한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누군가 하늘에 촘촘한 그물을 쳐 놓은 것 같기도 하고, 꿀벌들이 힘들여 지어 매달아 놓은 '벌집'을 보는 것 같기도 하지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야릇하면서도 아름다운 구름, '벌집구름'입니다. '벌집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벌집처럼 생긴 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하늘에 얇고 넓게 퍼진 구름에 동그란 구멍들이 숭숭 뚫리면서, 그 무늬가 꼭 벌집이나 그물처럼 보이는 것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벌집처럼 생긴 구름. 권적운, 고적운과 같은 비교적 얇은 구름에 둥근 구멍이 많이 뚫려서 생긴다.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나오는 '권적운(卷積雲)'이나 '고적운(高積雲)' 같은 한자말이 조금 낯설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이는 하늘 높은 곳에 비늘처럼 얇게 퍼진 구름을 가리키는 말로, '권적운'은 '털쌘구름' 또는 '비늘구름', '고적운'은 '높쌘구름' 또는 '양떼구름'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그러니 '벌집구름'은 하늘 높은 곳에 뜬 '비늘구름'이나 '양떼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높은 뫼(산)에 오르지 않아도, 왠지 오늘따라 하늘이 아주 낮게 내려앉은 듯한 날이 있습니다. 잿빛 구름이 하늘을 이불처럼 덮어 금방이라도 손에 잡힐 듯하거나, 높은 집 꼭대기를 스치고 지나가는 듯한 구름을 본 적 있으신가요? 오늘 우리가 만나볼 토박이말은 바로 이렇게 우리 곁에 가장 가까이 떠 있는 구름, "산할아버지 구름 모자 썼네"라는 노랫말이 절로 떠오르는 구름, '밑턱구름'입니다. '밑턱구름'은 그 이름이 참 재미있습니다. '밑'은 '아래'를 뜻하고, '턱'은 우리가 '문턱'이라고 할 때처럼 어떤 '살피(경계)'나 '낮은 켜(층)'을 뜻하기도 합니다. 그러니 '밑턱구름'은 하늘의 가장 '아래쪽 턱(경계)'에 걸려 있는 구름이라는 뜻을 담은, 참 멋들어진 이름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지상 2km 이내의 공중에 있는 구름. 층적운, 층운 따위가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지상으로부터 2킬로미터 이내의 대기에 분포하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다 '땅에서 가장 가까운 곳(2km 이내)'에 떠 있는 구름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하늘을 세 켜(3층)으로 나눈다면, 바로 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