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드넓은 바닷가 갯벌에 물이 빠져나간 뒤 남은 얕은 물결 자국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잔잔한 큰못(호수) 위로 바람이 스칠 때 겹겹이 이는 잔물결은요?
어느 날 문득 하늘을 올려다보았을 때, 마치 그 물결 모양을 그대로 본떠 하늘에 펼쳐 놓은 듯한 구름을 만날 때가 있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아름다운 하늘의 무늬, '물결구름'입니다.
'물결구름'은 그 이름 그대로 물결의 모양을 닮은 구름을 가리킵니다. 얇은 구름 조각들이 위아래로 겹쳐지거나 나란히 이어지면서 하늘 가득 잔잔한 물결이나 비늘 같은 무늬를 만들어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물결구름'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고적운이나 층적운의 하나. 물결 모양으로 위아래로 겹쳐 이어져 있다. 《표준국어대사전》
물결 모양으로 위아래로 겹쳐서 이어진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물결 모양'으로 '겹쳐 이어져 있다'는 점을 짚어주고 있습니다.
그런데 '고적운(高積雲)'이나 '층적운(層積雲)' 같은 한자말이 조금 어렵게 느껴지시지요? 이는 하늘의 높이나 구름의 생김새에 따라 구름을 나누어 부르는 이름입니다. '고적운'은 '높쌘구름'이나 '높은 뭉게구름'쯤으로, '층적운'은 '층층뭉게구름'이나 '두루뭉게구름'쯤으로 풀어쓸 수 있겠습니다.
곧, '물결구름'은 하늘의 조금 높거나 낮은 곳에 뜬 뭉게구름들이 바람을 타고 퍼지면서, 마치 물결이 일렁이는 듯한 모양이나 고기 비늘 같은 모양으로 겹겹이 늘어선 모습을 가리키는 고운 우리말인 셈입니다.
'물결구름'이라는 말도 말꽃 지음몬(문학 작품)에서 만나기는 어렵지만 나날살이에서는 얼마든지 쓸 수 있습니다. '물결구름'이 하늘에 쫙 깔린 날은 유난히 하늘이 더 넓고 높아 보입니다. 맑은 가을날에 이런 하늘을 자주 만날 수 있지요.
오늘 하늘 좀 보세요. 꼭 잔잔한 바다처럼 물결구름이 쫙 깔렸네요.
저 구름은 뭉게구름도 아니고 새털구름도 아니네. 꼭 물결구름 같아.
하늘에 물결구름이 촘촘한 걸 보니, 곧 날씨가 흐려지려나 봐요.
어떠신가요? '물결'이라는 말이 '구름'과 만나 이토록 아름다운 바람빛(풍경)을 담아내다니, 참 멋지지 않나요? 그저 '구름이 많다'거나 '구름이 이상하다'고 말하기보다, '물결구름이 꼈네' 하고 말해보세요. 우리가 발을 딛고 선 이 땅의 '물결'을 머나먼 하늘 위 '구름'에서도 찾아낸 우리네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따스한 눈길이 느껴지는 듯합니다.
어느날 문득 하늘을 올려다 봤을 때 바람이 그려놓은 '물결구름'을 보게 된다면, 곁에 있는 이에게 "하늘에 물결구름이 깔렸어요!" 하고 이 고운 이름을 꼭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