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파랗던 하늘 한쪽이 무겁게 가라앉는가 싶더니, 어느새 볕뉘(햇볕의 기운) 하나 없이 어둑어둑해질 때가 있습니다. 곧 굵은 빗방울이나 함박눈을 쏟아낼 듯 시커멓게 뭉친 구름. 우리는 이 구름을 '먹구름'이라고 부릅니다. 오늘은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지만, 그 뜻과 쓰임새를 찬찬히 들여다볼 자리는 적었던 '먹구름'을 새롭게 만나보려 합니다.
'먹구름'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먹'처럼 검은 구름을 가리킵니다.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릴 때 쓰던 시커먼 '먹'의 빛깔을 떠올리면 그 모습이 바로 그려지지요.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첫째로 "몹시 검은 구름"이라 풀이하고, 둘째로 "어떤 일의 좋지 않은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도 알려줍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역시 첫째로 "비나 눈이 내리기 전에 끼는 몹시 검은 구름"이라 하고, 둘째로 "어떤 불길한 일이 일어날 것 같은 조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고 풀이합니다.
두 말집(사전)의 풀이를 모아보면, '먹구름'은 그저 검은 구름이 아니라 곧 비나 눈을 몰고 올 것처럼 몹시 검고 무거운 구름이며, 나아가 우리네 삶에서 만나는 좋지 않은 일이나 불길한 낌새를 빗대어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먹구름'을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말이 '먹장구름'입니다. '먹장'은 '먹의 조각'을 이르는 말데, '먹덩이'에서 온 말이라고 합니다. '먹장구름'은 ' '먹구름'보다 그 빛이 한결 더 검고 두터운 느낌을 줍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먹장구름'을 '먹빛같이 시꺼먼 구름'이라고 풀이하고 '먹구름'의 '비슷한 말'로 보고 있습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서는 '먹구름'의 '본디말(원어)'이 '먹장구름'이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먹장구름'이 본디 말이고 '먹구름'은 여기서 비롯되었으나, 둘 다 먹처럼 검은 구름을 가리키는 비슷한 말로 나란히 쓰였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먹구름'을 쓴 다음과 같은 보기가 있습니다.
1. 하늘의 낌새를 말할 때 (몹시 검은 구름)
먹구름에 가려진 하늘《표준국어대사전》
먹구름이 몰려오다《고려대한국어대사전》
2. 마음이나 앞날을 빗댈 때 (비유적인 뜻)
남북 관계의 먹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정국을 뒤덮고 있는 불안의 먹구름은 가시지 않고 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말꽃 지음몬(문학작품) 에서도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
그 대신 그 심각한 문제가 우리의 장래에 먹구름이 되지 않도록 바라겠어요. (이병주, 행복어 사전)
우리 나날살이(일상생활)에서는 이렇게 써볼 수 있겠습니다.
갑자기 먹구름이 끼더니 비가 쏟아지기 시작했다.
시커먼 먹구름 사이로 비치는 햇살이 참 곱네요.
요즘 통 웃지를 않네. 얼굴에 먹구름이 잔뜩 끼었어. 무슨 일 있어?
이번 일만 잘 넘기면 우리 앞날의 먹구름도 걷히겠지요.
우리가 하늘의 '먹구름'을 보며 우산을 챙기듯, 마음의 '먹구름'을 만났을 때는 잠시 숨을 고르며 서로에게 따뜻한 말 한마디를 건네는 우산을 펴주면 어떨까요.
오늘, 여러분 곁에 있는 사람의 얼굴에 '먹구름'이 드리워 있다면, "하늘의 먹구름은 걷히라고 있는 거래" 하고 따뜻하게 어깨를 다독여주세요. 말 한마디가 서로의 하늘을 맑게 개게 할지도 모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