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구름조금동두천 9.3℃
  • 맑음강릉 14.4℃
  • 구름조금서울 11.9℃
  • 구름조금대전 11.3℃
  • 맑음대구 12.1℃
  • 맑음울산 12.5℃
  • 구름많음광주 12.9℃
  • 맑음부산 16.7℃
  • 구름조금고창 11.3℃
  • 구름많음제주 15.5℃
  • 구름조금강화 10.3℃
  • 구름조금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10.1℃
  • 구름조금강진군 14.3℃
  • 맑음경주시 13.0℃
  • 맑음거제 13.2℃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창수의 토박이말 이야기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삿갓구름

뮛부리가 쓴 삿갓, 삿갓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우뚝 솟은 높은 묏부리(산봉우리)를 멀리서 바라볼 때, 다른 곳은 다 맑은데 유독 그 꼭대기에만 모자를 씌운 듯 구름 한 조각이 둥실 걸려 있는 모습을 보신 적 있으신가요? 마치 뫼(산)가 부끄러워 얼굴을 가린 것 같기도 하고, 뭔가 나타날 듯 야릇한 낌새를 풍기기도 합니다. 바람이 불어도 쉬이 날아가지 않고, 꼭 그 자리에 붙박인 듯 묏부리를 감싸고 있는 이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멋진 바람빛(풍경)을 담은 '삿갓구름'입니다.

 

'삿갓구름'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구름의 모양이 '삿갓'을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삿갓'은 예로부터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이 비를 막거나 볕을 가리려고 쓰던, 대나 갈대 같은 것으로 엮어 만든 뾰족한 모자를 말합니다.

 

 

 

 

 

이 삿갓의 모양을 떠올리며 말집(사전)의 풀이를 살펴보면 그 모습이 더욱 또렷이 그려집니다.

외딴 산봉우리의 꼭대기 부근에 둘러져 있는 갓 모양의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외딴 산봉우리의 꼭대기 부근에 걸리는 삿갓 모양의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외딴 산봉우리' 꼭대기에 '삿갓(갓)' 모양으로 '둘러져 있거나' '걸려 있는' 구름이라고 알려줍니다. 뭉게구름처럼 둥실둥실 떠다니는 것이 아니라, 마치 묏봉우리가 구름 삿갓을 쓴 것처럼 그 꼭대기에 착 달라붙어 있거나 얹혀 있는 모습이지요.

 

그렇다면 이 놀라운 구름 삿갓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걸까요? 《표준국어대사전》의 풀이를 조금 더 살펴보면 그 까닭을 어림할 수 있습니다. "산기슭을 따라 상승하던 따뜻한 기류가 단열 팽창 과정을 거쳐 냉각되어 생긴다."

 

조금 어려운 말들이지요? 쉽게 풀어서 말하자면 이렇습니다.

따뜻하고 물기를 머금은 바람이 묏부리를 만났을 때, 그것을 뚫고 지나가지 못하고 묏비탈을 타고 위로 쑤욱 올라가게 됩니다. 하늘 높이 올라간 바람은 차갑게 식게 되고, 바람 속에 숨어 있던 물씨(수증기)가 작은 물방울로 뭉치면서 구름이 만들어집니다. 이때 구름이 바람을 타고 멀리 날아가지 못하고 바로 그 묏봉우리 꼭대기에 머무르면서, 마치 뫼가 '삿갓'을 쓴 듯한 모습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삿갓구름'은 아무 뫼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바람빛(풍경)은 아닙니다. 그래서인지 이 구름을 보면 야릇한 느낌을 받곤 합니다. 나날살이에서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을 것입니다. 

 

삿갓구름은 파란 하늘을 서서히 잿빛으로 물들였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저기 멀리 보이는 저 봉우리 좀 봐! 꼭대기에 삿갓구름이 걸렸어!

저기 봉우리가 꼭 뾰족한 삿갓을 쓴 것 같지? 저걸 '삿갓구름'이라고 부른단다.

 

그저 '구름이 걸렸다'고 말하지 않고, '삿갓구름이 걸렸다'고 말하니 묏봉우리가  한결 더 가깝게 느껴지지 않나요?

 

하늘과 바람, 그리고 뫼가 함께 빚어내는 이 아름다운 바람빛(풍경)에 꼭 어울리는 이름을 붙여준 우리 할아버지, 할머니들의 눈썰미와 마음결이 참 곱습니다. 언젠가 우뚝 솟은 묏부리를 만났을 때, 그 꼭대기를 잘 보세요. 거기에 '삿갓구름'이 걸려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