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1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302. 가락지와 반지

가락지와 반지는 둘 다 손가락에 기우는 장신구이지만 이 중 반지는 하나로 된 것으로 미혼, 기혼을 가리지 않고 끼었습니다. 또 가락지는 쌍으로 된 것인데 기혼자만 끼는 것으로 원래 장식물이기보다는 신분확인을 위한 신표였으며, 나중에 남녀의 사랑에 대한 믿음과 절개를 약속하는 정표로 썼습니다. 조선시대에 가락지는 ‘이성지합(二性之合:�서로 다른 두 성이 합하였다는 뜻으로, 남녀의 혼인을 이르는 말)’과 부부일신(夫婦一身:�부부는 한 몸이라는 뜻)을 상징하는 표지였습니다.

가락지의 재료로 상류층에서는 비취, 칠보, 옥, 마노, 호박, 산호 따위를 썼으며, 서민들은 은이나 백동을 많이 썼습니다. 또 조선시대 가락지는 민무늬로 만들거나 무늬를 넣어 세공 하기도 하였습니다. ‘월패(月佩)’라고 불렸던 옷고름에 단 가락지는 아녀자가 남편에게 자신의 생리를 알리는 수단으로 쓰였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