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은결들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은결들다 [뜻] 1)안쪽을 다쳐서 헐다(생채기가 나다). [보기월] 사람 몸도 겉으로 보이는 곳보다은결들면더 오래간다고 합니다. 동무들을 만나 잘 먹고 잘 놀고 와서 기운이 펄펄 나서 일을 잘할 수 있을 것만 같았습니다.그런데 어제 아침에 자고 일어나니 마음처럼 몸이 가볍지 않았습니다.해야 할 일도 하지 않고 자는 바람에 일어나지 않으면 안 되었기에 일어났습니다. 한 가지 일을 끝내 놓고 밥을 먹고 나니 기운이 좀 돌아오는 것이 느껴졌습니다.기운을 차려서 일을 한 가지 더 끝내고 바깥일을 보러 나갔습니다.먼 길을 다녀온 끝에 수레가 마뜩잖아서 손을 보러 가야겠다 마음을 먹고 길을 나섰습니다. 그런데 얼마 안 갔는데 어제와 똑같이 수레가 덜컹거리고 얼른 빨라지지 않았습니다.큰길에 올려 달려보니 수레가 안 좋은 곳을 더 똑똑하게 알 수 있었지요.아무리 밟아도 수레가 빨라지지 않아서 걱정이 되었지만 먼저 일을 보고 돌아오는 길에 수레집(카센터)에 갔습니다. 제가 어림했던 곳이 탈이 났다고 했고 고치는 데 돈이 좀 많이 든다고 하였습니다.사람 몸도 겉으로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으밀아밀/(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으밀아밀 [뜻] 남이 모르게 비밀스럽게 이야기하는 모양 [보기월]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으밀아밀귓속말을 주고받는 아이도 있었습니다. 지난 닷날(금요일)은 김해도서관 책읽기배움터(독서교실) ‘토박이말 속으로 풍덩’마지막날이었습니다.제철 토박이말로 눈과 아랑곳한 토박이말들을 알려주는 움직그림(동영상)을 보여준 다음 토박이말 찾기 놀이로 토박이말 놀배움을 열었습니다. 다음으로 토박이말 딱지놀이를 했습니다.귀를 잡고 있다가 술래가 불러주는 토박이말을 찾아 가져 가는 놀이를 하면서 깔깔거리며 즐거워하는 아이들을 보니 저도 기분이 좋았습니다.때새(시간)이 짧아서 다른 놀이를 하지 못하고 어떻게 하는지만 알려주는 것으로 끝내서 아쉬웠지요. 마치고 토박이말 놀배움이 어땠는지 물었더니 너도나도 손을 들고 아주 재미가 있었다는 이야기를 해 주더군요.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으밀아밀 귓속말을 주고받는 아이도 있었습니다.놀이를 끝내고 받은 선물을 들고 환하게 웃는 아이들을 보니 잘 왔다 싶었습니다.그리고 뒤낮(오후)에 토박이말바라기 푸름이 모임에 들어와 좋은 글을 남겨준 아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되새김] 한밝달(1월) 두 이레 모르는 게 있으면 제 힘으로 찾아보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찾았다면 그게 맞는지 다시 알아봐야 하구요. 그런데 그것을 안 했다가 또 일을 그르쳤습니다. 세무서에 볼 일이 있었는데 글틀(양식)을 잘 몰라 다른 글틀에 써 가는 바람에 으뜸빛 님께서 헛걸음을 하게 만들었지요. 누리그물(인터넷)에서 찾아보고 갖춰야 할 것까지 잘 챙겼는데 글틀이 잘못되었을 거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 했습니다. 말틀(전화)만 걸어 봤어도 될 일이었는데 말입니다. 뒤늦게 물어본 다음 글틀을 찾아 다시 만들었지만 끝내 일을 마무리할 수는 없었습니다. 다음 이레까지 늦춰져 버렸습니다. 그렇게 아쉬운 일만 있었던 것은 아닙니다. 아주 뜻깊은 일도 있었지요. 토박이말바라기 모람(회원)들이 함께 ‘말모이’라는 빛그림(영화)를 보았습니다. 앞서 올린 알림글에 같이 보기로 한 사람들이 모이니 모두 열일곱 사람이었습니다. 3.1혁명 100돌을 맞는 해이자 임시정부를 세운지 100돌이 되는 해인 2019년 첫 달 아흐렛날(1월 9일)을 여는 날로 잡은 것도 허투루 한 게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옛날에 있었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으르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으르다 [뜻] 다른 사람에게 무서운 말이나 짓을 하다.(위협하다) [보기월] 그런데 막 빵빵 거리고 불을 번쩍이며으르는듯이 수레를 모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어제 아침 일찍 길을 나서야 했기 때문에 그제 밤에는 여느 날보다 좀 일찍 잠자리에 들었습니다.잠자리에서 읽은 책 알맹이가 자꾸 생각이 나서 얼른 잠이 오지 않았습니다.나만 잘 살기가 아닌 함께 잘 살기를 바라는 제 생각과 놀랍도록 같은 분이 계셨다는 것이 가슴을 뛰게 했지요. 생각이 꼬리를 물고 나오는 걸 막지 못 하고 뒤척이다 잠이 들었는데 때알이(시계)소리가 아닌 밥이 다 되는 소리를 듣고 잠이 깼습니다.함께 가자고 했던 한 사람은 깨워도 일어나지 않아서 혼자 서둘러 아침을 챙겨 먹고 집을 나섰습니다. 가 본 적이 있는 곳이라 길은 아는데 다들 일터로 나갈 때와 겹쳐서 길이 막혔습니다.능을 두고 나서긴 했지만 그렇게 길이 막히는 바람에 마음이 좀 바빠졌습니다.그런데 막 빵빵 거리고 불을 번쩍이며 으르는 듯이 수레를 모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생각했던 것보다 많이 막혀 마음을 졸이고 있는데 아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우리한글박물관 김상석 관장 도움/ (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은 4282해(1949년) 만든 ‘셈본 5-1’의 29, 45쪽에서 캐낸 토박이말을 보여드립니다. 29쪽 첫째 줄에 ‘작은 수’가 있습니다. ‘작은 수’라는 말은 여기서 배울 것이 무엇인지를 한 눈에 알 수 있게 해 주는 풀이말입니다. 일곱째 줄에 “작은 수는 다음과 같이 쓴다.”라고 풀이를 해 주는 것을 보면 똑똑히 알 수 있습니다. 저는 이렇게 배우는 아이들을 헤아려 주는 듯한 낱말과 월(문장)이 참 반갑고 좋습니다. 셋째 줄에 ‘하나치’가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처음 보시는 말일 것이고 보신 적이 있는 분들도 참 오랜만에 보실 테니 낯설고 어렵게 느껴지실 것입니다. 하지만 보시는 것처럼 옛배움책에서는 ‘하나치(단위)’로 가르치고 배울 수 있었습니다. 아홉째 줄에 ‘견주어 보아라.’도 제 눈에는 쏙 들어 옵니다. 이렇게 잘 썼던 말을 누가 무슨 까닭으로 바꾸었는지 참 알고 싶습니다. 45쪽 첫째 줄에는 반갑고 고마운 말이 이어서 나옵니다. 요즘 배움책에 나오는 말이 묶음표 안에 나오기 때문에 여러분도 무슨 뜻인지는 잘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요즘 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위없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위없다 [뜻] 그 위를 넘는 것이 없을 만큼 가장 높고 좋다. [보기월] 토박이말 살리기에 힘과 슬기를 보태 주시는 분이 느는 일이야말로 제게는위없는기쁨이기 때문입니다. 밝날(일요일)마음 놓고 낮잠을 자서 그런지 잠자리에 누웠는데 얼른 잠이 오지 않았습니다.무엇을 어떻게 도와야 하는지 알 수는 없지만 뭔가 도와야 될 것 같은 딸아이 생각을 했습니다.도움은커녕 그냥 봐 주는 것도 참 어렵다 싶었습니다.그리고 만나기로 한 분들과 무슨 이야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도 했습니다. 아무리 생각을 해도 끝이 나지 않았습니다. “걱정을 해서 걱정이 사라지면 걱정이 없겠네.”라는 말이 떠올랐습니다.그렇게 이쪽저쪽으로 뒤척이다 잠이 들었다가 놀라서 잠이 깼는데 조금 있으니 제가 맞춰 놓은 때알이(시계)가 울더군요. 그렇게 비롯한 하루도 바쁘게 흘러갔습니다.늘 나오시는 분과 맡은 일 때문에 나오신 분들까지 여느 날보다 많은 분들로 좀 북적이는 느낌도 들었습니다.토박이말 맛보기 글을 올리고 곽상윤 교장 선생님과 정순호 평거동장님을 뵈러 갔습니다. 때 맞춰 오신 김희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우리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우리다 [뜻] 1)더운 볕이 들다 [보기월] 자리에 앉으니 자리에우린햇볕 때문에 엉덩이가 뜨끈했습니다. 지난 닷날(금요일)도 배곳에 나가 일을 했습니다.새로 배곳에 들어와야 할 새내기 아이들이 다른 곳에 다니기 때문에 못 오게 되어 아랑곳한 바람종이(신청서)를 쓰러 오신 분들을 만났습니다. 아이들을 남달리 잘 가르쳐 보고 싶은 어버이 마음을 누가 뭐라고 할 수 없을 것입니다.다른 나라에 보내기도 하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다니는 배곳에 넣기도 하니 말이지요.다른 고장은 어떤지 잘 모르는데 제가 사는 곳에 그런 곳이 생겼다는 것이 참으로 놀랍고 그곳에 다니는 아이들이 적지 않다는 것에 더 놀랐습니다. 엿날(토요일)은 좀 느지막하게 일어나 늦은 아침을 먹고 전주에 다녀왔습니다.다른 사람 앞에서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할 때 좀 더 보기 좋게 눈에 띄게 하고 싶은 마음은 같을 것입니다.그걸 잘하는 사람이 있는가하면 저처럼 못 하는 사람도 있지요.제 이야기를 좀 돋보이게 할 수(방법)를 배우고 왔습니다. 박용태 기술사님께서 귀에 쏙쏙 들어오게 잘 가르쳐 주셔서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되새김] 한밝달(1월)한 이레 아이들이 없는 배곳(학교)지만 여전히 일거리가 많습니다.아침에 나가 토박이말 맛보기 글을 올리는 게 끝나지 않았는데 함께 일을 하러 오신 분들이 기다리고 계셔서 그만 두어야 했지요. 사람을 뽑는 일이라 마음도 쓰였고 그만큼 때새(시간)도 많이 걸렸습니다.사람을 보는 눈은 비슷하다는 걸 새삼 느낄 수 있었습니다.언제 어디서나 참마음을 잘 드러내는 사람을 누구나 알아본다는 것도 함께 말이지요. 앞낮(오전)일을 마치고 낮밥을 먹으러 밖에 나갔는데 날씨가 많이 풀려 봄 날씨 같았습니다.이러다 꽃도 피겠다 싶었습니다.놀던 아이들도 더운지 겉옷을 벗어 놓고 놀고 있었지요.숨씨(공기)가 맑지 않다고 한 기별을 들었는지 말았는지 모르지만 그런 것은 아랑곳하지 않는 듯이 말입니다. 낮에 햇볕을 쬐는 게 좋다고 했는데 겨우 밥집까지 갔다가 와서는 바로 들어가 일을 했습니다.낮이 길어지고 있지만 아직은 그래도 일을 마치고 나가면 곧 어두워지더라구요.그래서 앞으로는 낮밥을 먹은 뒤 짧게라도 해바라기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뒤낮(오후)에는 다른 분들이 쓴 짜임새 있는 글을 몇 읽었는데 앞서 사시고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유착하다/(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유착하다 [뜻] 몹시 투박하고 크다 [보기월] 그런데 제가 가져온 종이그릇이 책을 담기에는유착하다싶었습니다. 하루를 쉬고 배곳(학교)에 나갔는데 아주 오랜만에 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가만히 생각해 보니 해가 바뀌어서 그런가 싶기도 했습니다. 추위도 많이 누그러져 바람이 불지 않으니 아주 포근하게 느껴졌습니다.하지만 아이들이 하나도 없는 마당은 휑하니 더욱 넓어 보였습니다.저 마당이 좁아 보일 만큼 다 채우던 아이들은 다들 어디서 무엇을 하며 지내고 있을까 궁금했습니다. 먼저 나와 계신 분들과 새해 인사를 나누고 셈틀(컴퓨터)을 켰습니다.켜자마자 제가 챙겨야 할 일들이 있음을 알리는 그림과 챙겨 봐야 할 그위종이(공문)가 몇 가지나 되는지를 알리는 셈(수)이 저를 불러들였습니다. 그것들을 먼저 하지 않을 수가 없었습니다.그 다음 티비엔 경남교통방송‘토박이말바라기’꼭지 이야기를 하고 오늘 토박이말 맛보기 글을 올리고 나서야 옆에 있는 분들과 앞으로 할 일을 두고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이야기를 하다 보니 챙길 게 한두 가지가 아니었습니다. 맛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토박이말 맛보기]웁쌀/(사)토박이말바라기 이창수 [오늘 토박이말] 웁쌀 [뜻] 솥 아래 쪽에 잡곡을 깔고 그 위에 조금 얹어 안치는 쌀 [보기월] 이렇게 입맛이 다를 때는웁쌀을 얹어 밥을 지을까 하는 생각도 했습니다. 어느덧 해가 바뀌었습니다.지난 한 해를 돌아보면 참 많은 분들의 도움을 받았고 또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하려고 마음먹었던 일들을 다 이루지는 못 했지만 크고 작은 열매들을 여럿 거둔 보람이 많은 해였습니다. 늘 가까이에 있는 분들이 가장 고맙고 또(사)토박이말바라기에 힘과 슬기를 보태주시는 모든 분들이 늘 고맙기만 합니다.아직 벌여 놓은 일과 견주어 볼 때 일손이 모자라서 아쉬울 때가 있지만 새해에는 그런 아쉬움도 없어질 거라 믿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온 나라 곳곳으로 해맞이 떠나 길이 많이 막힌다는 기별도 들었습니다.어느 해에는 멀리 바다에서 해맞이를 한 적도 있지만 올해는 마을 뒷메에서 식구들과 해맞이를 하였습니다.지난해에는 많이 추웠었는데 올해는 날씨가 많이 풀려서 춥다는 느낌은 없었습니다.그래서 그런지 사람들도 더 많이 모인 것 같았습니다. 많은 동네 사람들 틈 사이에 서서 솟아오르는 발간 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