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서울연극협회와 한국연극평론가협회가 주최하는 제2회 정기 정책세미나가 오는 2월 5일(월) 저녁 4시에 서울연극센터 1층 라운지에서 열린다. 서울연극협회와 한국연극평론가협회는 이론과 현장의 적극적인 소통으로 우리 연극 발전에 일조하기 위해 격월마다 정기 정책 세미나를 열고 있다. 이번 제2회 정책세미나는 국립극단을 주제로 한 세미나로 진행된다. 지난 제1회 세미나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연극인들이 가장 관심 가지는 국립극단 이슈가 예술감독 시스템, 배우 선발 시스템, 레퍼토리 선정 시스템 등이라는 사실을 확인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이번 정책세미나는 ‘국립극단 운영시스템’을 주제로 기획했다고 밝혔다. 먼저 독일과 프랑스 국립극단의 운영시스템 전반을 살펴보고자 하며 우리 국립극단은 어떻게 운영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누리집에 올린 정관, 공개 자료를 세세하게 조사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우리 국립극단의 현재가 어떠한지, 앞으로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지를 함께 모색해 보려는 취지로 진행된다. 제2회 정책세미나는 우리 연극 발전을 위해 진행되며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정책세미나에 관한 문의는 서울연극협회(02-765-7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2023년 한 해 동안 지역학 연구 사업의 하나로 수행한 학술조사ㆍ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출판물 2종을 펴냈다. 지난 2021년 1월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박동춘 소장은 정통 다도(茶道)를 중흥시켰던 조선의 승려 초의선사(草衣禪師, 1786-1866) 관련 중요 문헌 자료를 포함한 모두 169건 364점의 문화유산을 박물관에 기증하였다. 박물관은 박동춘 소장이 기증한 문화유산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첫 결과물로, 《박동춘 기증 초의선사 유묵 번역집1-가련유사(迦蓮幽詞)》를 펴냈다. 《가련유사》는 초의선사를 비롯한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제자들이 1818년, 1819년 2차례에 걸쳐 연 시회(詩會)의 내용을 엮은 아회록(雅會錄)이다. 참석자는 모두 호남의 유학자이거나 대흥사 승려들로, 조선 후기 호남 지역 인물들이 종교와 사상을 넘어 모두 300수의 시와 차를 나누며 격의없이 교유하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다. 이번 번역집은 조선 후기 문화사는 물론 우리 차 문화의 원형 확보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국립광주박물관은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보고서도 펴냈는데 박물관의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익산박물관(관장 김울림)은 설을 맞아 오는 8일부터 12일(설 당일 제외)까지 문화행사를 연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체험꾸러미 나눠주기 행사, 소원 엽서 적기 체험, 전통 민속놀이, 특별전 연계 교육 및 관람 인증사진 잔치 등 모두 6개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비대면 체험용으로 제공되는 ‘고군산군도 블록 만들기 꾸러미’는 현재 진행중인 특별전 <바다 위의 성 군산군도>를 주제로 한 것으로, 가정에서 블록을 조립하여 선유도에 있는 ‘망주봉’을 형상화할 수 있다. 체험꾸러미는 오는 2일부터 누리집에서 사전예약 할 수 있으며, 신청인원은 170명이다. 현장에서 참여 가능한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소원 엽서 적기 체험, 특별전 연계 교육 <군산군도가 들려주는 이야기>, 특별전과 어린이박물관 관람 인증사진 잔치는 현장에서 진행된다. 또한, 앞마당에서는 투호놀이, 오재미 던지기 등 전통 민속놀이를 자유롭게 즐길 수 있다. 특별전 <바다 위의 성, 군산군도> 관람객을 대상으로 한 특별한 잔치도 있다. 갑진년 청룡의 해를 맞아 전시실에 숨겨진 ‘용무늬 거울’을 찾으면 일러스트 유리컵을 줄 예정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은 ‘푸른 용의 해’ 갑진년 새해를 맞이하며 「2024 설맞이 제28회 작은문화축전」을 오는 2월 9일(금)부터 2월 12일(월)까지 진행한다. (2월 10일 설날 당일은 쉼) 이번 행사는 우리 겨레 가장 큰 명절인 설을 맞아 우리 세시풍속에 대한 이해와 전통놀이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박물관 바깥 뜨락에는 상설체험마당이 설치되어 활쏘기, 윷놀이 등 전통 민속놀이와 사물놀이를 체험할 수 있으며, 맷돌과 절구, 도량형 기구를 직접 만져보고 계량해 볼 수 있는 옛 생활도구 체험마당과 올 한해의 안녕과 건강을 기원하는 새해 소원 부적 찍기도 운영된다. 또한 ‘전래놀이 스탬프 투어’는 놀이마당 오감에서 진행하는 다양한 전래놀이에 참여한 뒤 스탬프를 모으는 행사로, 모두 모은 참여자에게는 문구꾸러미가 제공된다. 국립전주박물관 관계자는 “설 연휴 온 가족이 함께 꼭 박물관에 오셔서 다양한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청룡의 힘과 용기로 꿈과 목표를 향해 도전하고 놀라운 성과를 내는 특별한 한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신진서 9단이 LG배 통산 세 번째 우승에 성공했다. 31일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 대회장에서 열린 제28회 LG배 조선일보 기왕전 결승3번기 2국에서 신진서 9단이 변상일 9단에게 229수 만에 흑 불계승을 거뒀다. 앞서 29일 열린 1국에서 승리한 신진서 9단은 2국에서도 승리하면서 종합전적 2-0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바둑은 1국과 같이 중반까지 접전이 이어졌고, 중앙 전투에서 신진서 9단이 득점하며 조금씩 앞서가기 시작했다. 조금씩 격차를 벌리며 안정적이었지만, 운영을 선보인 신진서 9단은 끈질기게 따라붙는 변상일 9단을 돌려세우며 결승점에 골인했다. LG배 결승 직전까지 상대전적 35승 7패로 변상일 9단에게 앞서있던 신진서 9단은 2승을 추가하며 37승 7패로 격차를 더욱 벌렸다. 신진서 9단은 우승 인터뷰에서 “지난해 세계대회에서 부진했던 한을 풀어서 기쁘다. LG배가 없었다면 나 역시 이 자리에 없었을 것이다. 깊은 인연이 있는 LG배에서 앞으로도 더 잘하고 싶다”라는 소감을 밝혔다. 이어 “초반에 연구하지 못한 변화가 나와 안 좋게 출발했고, 나중에 조금씩 잘 풀린 것 같다. 이번 결승을 정말 치열하게 뒀다. 대국이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소장 김효진)는 봄의 시작을 알리는 꽃인 얼음새꽃(복수초)이 꽃 피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설날을 알리는 꽃, 눈을 뚫고 올라오는 꽃으로 알려진 얼음새꽃은 눈을 뚫고 나와 꽃이 피면 그 주위가 동그랗게 녹아 구멍이 나기에 재미난 이름이 붙었다. 또한 복(福)과 장수(壽)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어서 복수초(福壽草)라고도 부른다. 무등산국립공원에서 복수초는 화순 만연산 오감연결길과 평두메 습지 주변 등에서 가장 먼저 볼 수 있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 생물종수가 ‘국가생물자원 종합목록(인벤토리) 구축사업’ 추진 16년 만에 6만 10종으로 늘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 개관 전까지 2만 9,916종으로 알려진 자생생물종을 △신규 생물종 발굴 대규모 연구사업, △미개척 분류군 중심의 집중 발굴, △나고야의정서 발효로 생물자원에 대한 중요성 확산, △해외 연구자의 적극 활용 등의 연구 효율화 등을 추진하여,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된 생물종수를 2배 이상 늘렸다. 이는 국가생물종목록 구축을 총괄하는 국립생물자원관이 환경부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을 통해 새롭게 찾은 1만 2천여 종과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교육부 사업 결과에서 나온 학술 문헌을 조사 분석해 1만 8천여 종을 더한 것이다. * 2006년부터 수행 중인 전국 규모의 사업으로 누적 생물종 분류 연구자 6천여 명 참여 국가생물종 6만 10종을 분류군별로 살펴보면 △무척추동물(곤충 포함) 3만 1,603종, △조류(藻類) 6,653종, △균류 6,291종, △식물 5,759종, △원핵생물 5,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은화수)은 사비마루 공연장에서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가족뮤지컬을 선보인다. 가족뮤지컬 ‘엄마 까투리는 슈퍼맘’은 2월 3일 낮 2시와 저녁 5시에 사비마루 공연장에서 펼쳐진다. 뮤지컬 ‘엄마 까투리는 슈퍼맘’은 자연과 교감하며 성장하는 꺼병이(아기꿩) 사남매와 엄마 까투리의 일상을 담은 생태 애니메이션으로 TV애니메이션을 뮤지컬화 한 작품이다. 이번 공연에서 펼쳐지는 다채로운 무대와 배우들이 부르는 신나는 노래는 온 가족이 즐겁게 감상할 수 있는 볼거리가 될 것이다. 특히, 뮤지컬 ‘엄마 까투리는 슈퍼맘’은 어린이 뮤지컬 예매 1위와 KOPIS 박스오피스 1위에 빛나는 뮤지컬인만큼 공연을 관람하는 가족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안겨주었다. 이번 겨울, 아이와 함께 사비마루 공연장에서 뮤지컬 ‘엄마 까투리는 슈퍼맘’을 관람하며 가족들과 따뜻한 시간을 보낼 수 있기를 희망한다. 한편, 이번 2월 공연을 시작으로 국립부여박물관은 4월에는 뮤지컬 ‘이벤져스 라이브’, 6월에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시네마 콘서트’ 등의 다양한 공연을 열 예정이다. 앞으로 국립부여박물관에서 열릴 공연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는 사비마루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골든캣츠(Golden CATs)는 제6회 정기 발표회 ‘춤, 마음으로 짓다’를 1월 27일(토) 낮 3시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CTS 아트홀(공연장)에서 성공적으로 열었다고 밝혔다. ‘춤, 마음으로 짓다’는 한국 전통예술의 올바른 보존과 계승에 앞장서며, 대중화와 산업화를 통해 문화 발전에 대한 이바지를 목적으로 일반 시민들과 함께하는 연례행사다. ‘몸짓과 예술이 만나 삶을 즐겁게, 도심 속 고급 취미 문화의 공간’을 정립한 골든캣츠 정승혜 대표가 이번 무용 발표회를 주관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달 그리다 △한량무 △흑조 △대취타 △호랑수월가 △아라리 △김백봉 무당춤(광란의 제단) △비상.. 날아오르다 △한 잎 △켜켜이 감추어둔 △잠기어든 꽃 △고요의 울림 △태평무 △부채산조 △홍연 △황진이 검무 △쑥대머리 △진도북춤 △설장구춤 △야래향 △상사화 △춤춘향 장구춤 △정말에 핀 꽃 △소로 등 모두 29개 일반 무용인 팀이 골든캣츠에서 배운 한국무용을 마음껏 선보였다. ‘내 생애 최고의 시간, 경험으로 시대를 춤추다’라는 의미를 담고, ‘들어갈 땐 몸치, 나올 땐 황진이. 몸치가 꽃피고, 황진이가 태어나다’라는 골든캣츠의 구호처럼 행사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2월 16일부터 2월 18일까지 서울 광진구 천호대로 ‘유니버설아트센터’에서는 <코리아 이모션 정> 발레 공연이 펼쳐진다. 유니버설발레단 창단 40돌을 여는 첫 번째 정기공연 <코리아 이모션 정(情)> 국악 넘나들기(크로스오버)와 네오 클래식 발레의 만남이며, 아름다운 발레로 그려내는 한국인의 ‘정(情)’이다. 이 작품은 유니버설발레단 수석 무용수 강미선에게 ‘브누아 드 라당스 최우수 여성 무용수상’을 안겨주었다. 세계가 인정한 최고의 감동, 2024년 2월, 가장 한국적인 발레가 시작된다! 서울신문은 "음악과 함께 녹아든 전체 그림은 아름답고 따뜻하게 울림을 전했다"라고 평했으며, 한 관객은 "도포 자락 치맛자락 휘날리는 발레 무용수가 화선지 같은 무대 위 붓이 되어 그리는 한 편의 수묵화 시리즈"라고 말했다. 공연 시각은 금요일 저녁 7시 30분, 토요일 낮 2시와 저녁 6시, 일요일 낮 2시다. 입장료는 VIP석 100,000원, R석 80,000원, S석 60,000원, A석 30,000원이며, 인터파크티켓(https://tickets.interpark.com/goods/23017575)에서 예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