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박칼린 감독이 연출한 썬앤문은 2017년 11월 10일 경향아트힐 썬앤문 전용관에서 개막을 했으며, 국악가락에 파워풀한 퍼포먼스, 홀로그램 영상과 조명이 어우러지며, 록, 팝, 일렉트로닉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이 국악과 어우러지면서 전통과 현대의 만남을 뛰어넘는 국악쇼로 한국의 전통미에 기발한 아이디어를 가미하여 나이와 국적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하게 관람할 수 있다. 또한, 관객이 일상의 물건으로 소리를 만들고 영상에 소리를 입혀보는 효과음(Foley) 관객 참여형 퍼포먼스로 관객들과 함께 소통하며, 더 풍성한 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폴리체험은 인기 있는 자율 감각 쾌락 반응(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과 비슷한 체험으로 뇌를 자극해 심리적인 안정을 유도하는 영상으로 바람이 부는 소리, 빗소리, 바스락거리는 소리 등을 제공해 준다. 썬앤문은 3월 맞이하여 새학기와 3ᐧ1절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첫 번째는 삼일절을 맞이하여, 태극기 아이템을 가지고 공연장을 방문하는 관객을 대상으로 에누리 혜택을 주며, 이와 함께 입학생 관객에게는 에우리와 함께 썬앤문 학용품 모음을 준다. 입학생 기준은 초ㆍ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이 중국 하남박물원과 지난 6년 동안의 교류 성과를 담은 논문집 《한중음악문물》을 최근 펴냈다. 《한중음악문물》은 2013년부터 2019년까지 국립국악원과 중국 하남박물원의 학술 교류 성과를 담은 국악계 첫 한ㆍ중 논문집이다. 한국과 중국의 ‘음악문화교류’, ‘고악 복원’, ‘고악기 복원’과 관련된 논문 18편을 수록했다. 《한중음악문물》의 집필에는 ‘동아시아 실크로드 가무교섭사 서설’을 집필한 권오성 한양대 명예교수를 비롯한 한국 학자 9명, ‘음악고고학 연구에서의 음악학적 분석’을 집필한 왕자초(王子初) 정주대학교 음악고고학 연구원장 등 중국 학자 15명이 참여했다. 국립국악원과 중국 하남박물원은 2013년 9월, 중국 하남박물원에서 열린 “동아음악교류연토회(東亞音樂交流研討會)”를 시작으로 지난 6년 동안 학술발표, 연주회를 꾸준히 이어왔다. 2015년 3월에는 두 기관이 학술 교류 협약을 맺은 바 있다. 하남박물원은 중국 하남성 정주시(허난성 정저우)에 있는 국가급 박물관으로 중국의 중원을 대표하는 박물관으로 꼽힌다. 국립국악원 김희선 국악연구실장은 “이번 논문집 발간에 이어 중국 하남박물원과는 그간의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극장장 김철호)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유수정)이 국립극장 창설 70돌 기념공연인 창극 ‘춘향’의 주인공을 선발하는 공개 실기시험(오디션)을 연다. 이번 공개 오디션을 통해 ‘춘향’ 역 이중 배역(더블 캐스트) 중 한 명을 선발하며, 판소리ㆍ연기ㆍ춤 등에 능한 만 18살 이상 여성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다른 한 명의 춘향은 국립창극단 단원 가운데 배역 된다. 다양한 시도로 창극의 외연을 넓혀온 국립창극단은 이번 오디션을 통해 창극의 미래를 이끌어갈 새 얼굴을 발굴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특히 춘향은 김소희ㆍ안숙선ㆍ유수정ㆍ박애리ㆍ이자람 등 각 세대를 대표하는 여성 소리꾼들이 거쳐 간 배역으로, 이번 무대를 통해 새로운 창극 스타가 탄생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번 오디션에서 최종 선발된 배우는 오는 5월 14일부터 24일까지 국립극장 달오름에서 초연하는 창극 ‘춘향’ 무대에 국립창극단 단원과 나란히 주인공으로 오른다. 국립창극단 신작 ‘춘향’의 극본ㆍ연출은 배우이자 연출가인 김명곤이 맡았다.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유수정이 직접 작창을 맡고, 작곡가 김성국이 작곡과 음악감독을 담당한다. 창극 ‘춘향’은 무대ㆍ의상ㆍ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이 북한 공연 예술의 이해를 높이는 《Korean Musicology Series 10: Performing Arts of North Korea(북한의 공연예술)》을 펴냈다. 이번 책은 북한 예술에 대한 한국 학계의 현재까지의 연구를 해외에 소개하는 의미를 지닌다. 국립국악원은 2007년부터 한국 전통 공연 예술을 알리고, 국제교류와 세계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영문 국악 서적 《Korean Musicology Series》를 펴내고 있다. 2007년 Music of Korea를 시작으로 판소리, 산조, 기보법, 민요, 무용, 연희, 제례악과 더불어 2018년 가곡ㆍ가사ㆍ시조까지 모두 9권을 펴내 전 세계 대학과 연구기관 등에 나눠줬다. 《Korean Musicology Series 10: Performing Arts of North Korea》은 최초로 북한의 공연예술을 다루는 영문 개론서이다. 모두 6장으로 구성하여, 북한 공연예술 전반의 특징과 분류(전영선, 건국대학교 통일인문학연구단 HK 연구교수), 문예 이론(김성수, 성균관대학교 교수), 성악(고상미, 정가단 아리 대표), 기악(배인교, 경인교육대학교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 악기연구소는 2월 20일(목)과 21(금) 이틀 동안 국립국악원 예악당 지하 강의실에서 부모(보호자)와 자녀가 함께 악기원리를 배우고,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단소를 만들어 볼 수 있는 ‘2020 어린이 국악기(단소) 제작 아카데미’를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수학 더하고, 과학 곱하여, 국악으로 쏙~> 이라는 주제로, 국악기의 소리발생 원리 안에 숨어있는 수학과 과학의 원리를 찾고, 이를 활용한 나만의 단소를 직접 제작해 볼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했다. 강의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되며 1부에서는 국악기의 구조와 특징, 소리발생원리, 삼분손익법을 이용한 국악 12율 산정법 등을 새롭게 제작한 강의 자료와 교구재를 통해 재미있게 학습하고, 2부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단소 제작 체험을 진행한다. 단소의 제작 체험을 중점으로 진행했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부모님과 함께 쉽게 단소를 연주할 수 있도록(보호자는 플라스틱 단소 제공) 단소 소리내기 수업을 확대했다. 단소를 처음 접해 소리내기 어려워했던 친구들이 부모님과 함께 단소 연주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마련했다. 수업 후에는 새롭게 재단장한 국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배기동)은 설 연휴를 맞이하여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 즐길거리를 제공하고자 1월 설 연휴 기간인 26일, 27일(1.25. 설날 당일은 휴관) 이틀 동안 특별 공연을 무료로 연다. 설날 다음 날인 26일 15시에는 박물관 열린마당에서 한국의 전통장단과 외국 음악이 어우러져 신명나는 ‘설 놀이판 각자의 리듬 : 유희스카’가 열린다. 자칭 ‘양악풍물패’라고 하는 스카밴드 ‘킹스턴 루디스카’와 빨간 양복을 입고 무대를 누비는 연희계의 장미여관, ‘유희’가 만나 신명나는 놀이판을 벌인다. 연휴 마지막 날인 27일 15시에는 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을 위해 박물관 으뜸홀에서 해금, 피아노, 기타가 어우러져 우리의 전통음악을 외국의 보사노바, 재즈, 탱고, 스윙 등의 장르로 편곡하여 선보임과 동시에, 서도민요의 흥겨운 가락을 감상할 기회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물관 공연 관계자는 “우리 겨레 으뜸 명절인 설 연휴기간에 가족과 연인, 친구들과 함께 박물관을 방문하여 전시를 비롯한 문화공연을 관람함으로써 더욱 즐겁고 따뜻한 명절이 되기를 희망한다”라고 밝혔다.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문화체육관광부 박양우 장관은 1월 10일(현지 시각) ‘2020년 베를린 예술대상*’ 수상자로 뽑힌 재독 작곡가 박영희 전 브레멘 국립예술대 교수에게 문화예술 분야에서 한국인의 역량과 한국음악의 아름다움을 알린 데 대해 축하와 격려의 뜻을 전달했다. * 베를린 예술대상 시상식: ’20. 3. 18. 독일예술원에서 개최 예정 ‘베를린 예술대상’은 1948년부터 예술인에게 수여되는 영예로운 상으로서 1971년 이후 독일예술원이 음악, 순수미술, 건축, 문학, 공연예술, 영화 등 6개 부문에 대해 예술상을 수여하고 있다. 해마다 1개 부문씩, 6년 주기로 대상 수상자를 선정하는데, 올해는 음악 부문 대상 수상자를 뽑았다. 박양우 장관은 “박영희 작곡가님은 베를린 예술대상 전 부문을 통틀어 역사상 첫 여성이자 동양인 첫 수상자로 뽑혀 그 의미가 매우 크고 각별하다.”라며, “앞으로도 박영희 작곡가님이 한국 전통음악과 예술에 대한 열정으로 유럽 지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한국 문화와 예술을 알려주시고 음악창작과 음악교육 진흥에도 계속 이바지해 주시길 바란다.”라고 격려의 뜻을 전달했다. 한편 주독일한국문화원은 유럽 내 가장 활발히 활동하고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이 2020년 설날을 맞이해 기획공연 ‘쥐락펴락’을 무료로 연다.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은 설 명절 당일인 1월 25일(수) 낮 3시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설 공연 ‘쥐락펴락’을 열고 민속놀이 체험 등을 무료로 진행한다. 우리 음악과 춤으로 가족과 함께 즐거움 나누고 힘찬 기운 펼치는 ‘쥐락펴락’ 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의 대표 공연 프로그램 다채롭게 선보여 국립국악원은 쥐의 해를 맞이해 우리 음악과 춤으로 가족과 함께 즐거움을 나누고, 새해의 힘찬 기운을 무대에 펼치는 이번 ‘쥐락(樂)펴락(樂)’ 공연을 통해 국립국악원 4개 소속 예술단이 한 무대에 올라 다채로운 공연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은 새해 덕담으로 구성한 ‘비나리’로 첫 문을 열고 경기ㆍ서도ㆍ남도 지역의 풍요를 기원한 민요를 엮어 ‘풍요연곡’을 들려준다. 남도지역 풍류음악의 굿거리 부분에 민요 성주풀이를 덧붙여 만든 ‘남도굿거리‧성주풀이’를 통해서는 구성지고 흥겨운 전통 가락을 전할 예정이다. 정악단은 웅장한 왕실 행차 음악인 ‘대취타’로 새해 힘찬 발걸음을 우렁찬 장단과 선율로 공연의 시작을 알린다. 무용단과 함께 국가무형문화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이 2020년 경자년 새해를 맞이해 우리 음악과 춤으로 교류하는 ‘새해국악연’을 연다. 국립국악원(원장 임재원)은 오는 1월 22일(수) 저녁 8시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새해국악연-울울창창’을 열고 문화 예술인과 주한 외교사절 및 상주외신기자, 소외계층, 그리고 일반 국민과 함께 국악을 중심으로 서로 교류한다. 국악으로 서로의 정 나누고 베푸는 ‘새해국악연’으로 한국적 새해 인사 문화 조성 기품 있는 ‘대취타’와 덕담 담은 ‘비나리’, 기쁨 노래하는 ‘풍요연곡’ 등 선보여 국립국악원은 품격 있는 우리 음악과 춤이 함께 하는 한국 고유의 새해 인사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이번 공연을 마련했다. 단순한 음악회 차원의 공연을 넘어 국악으로 서로의 정을 베풀고 나누는 ‘연(宴)’의 의미를 부여해 한해의 편안함과 안정을 기원하는 뜻을 담았다. 공연의 부제인 ‘울울창창(鬱鬱蒼蒼)’은 큰 나무들이 빽빽하고 푸르게 우거진 모습을 뜻하며, 이 땅에 깊은 뿌리를 내리고 곧게 뻗어가는 국악을 상징한다. 제목에 걸맞게 국립국악원의 4개 예술단(정악단, 민속악단, 무용단, 창작악단)이 모두 출연해 선보이는 웅장한 무대로 꾸며 선보일 예정이다.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민요와 연희가 더해져 더욱 신명나는 ‘판’으로 돌아온 <완창판소리프로젝트2_강산제 수궁가>가 오는 2020년 1월 17일부터 이틀 동안 대학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열린다. 판소리 창작단체 ‘입과손스튜디오’는 2018년 1월 <완창판소리프로젝트1_동초제 심청가>를 시작으로, 새로운 형식의 ‘극장형 완창’을 만들고 있다. 위 사업의 하나로 올해 두 번째 발표하는 입과손 스타일 ‘강산제 수궁가’ 완창에는 입과손스튜디오 말고도 연희컴퍼니 유희, 경기민요소리꾼 성슬기, 조원석이 출연해 기존의 전통판소리 완창보다 음악적, 시각적인 면에서 더욱 풍성한 형태로 선보여질 예정이다. 이번 작품의 원안이 되는 ‘수궁가’는 전통판소리 다섯 바탕 가운데 하나로 수궁과 지상을 오가며 펼쳐지는 토끼와 별주부의 이야기이다. 용왕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토끼의 간을 구하러 가는 별주부와 그에 꾀임에 빠져 수궁으로 가게 된 토끼가 간신히 꾀를 내어 살아 돌아온다는 단순한 이야기 구조 속에는 사실 동물로 표현되는 다양한 인간군상과 부조리한 권력에 대한 풍자가 가득하다. 수궁가는 본래 전통적으로 모두 세 시간에 걸쳐 진행되지만, 입과손스튜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