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안승열의 명리학 다가가기

명리학의 사상적 기초는 ‘오행론(五行論)’이다

1편 입문 1장 총론 2절 우주관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동방의 조상들은 세상의 뭇 존재들이 하늘과 땅의 기운으로 나고 죽음을 깨닫고 이로부터 태극 천간 지지 음양오행의 관념(어떤 문제나 주제(主題)에 대하여 합리나 논리에 입각해서 체계적으로 정리한 견해)을 갖게 되었다. 이들이 어우러진 명리학의 우주관은 다음과 같다.

 

태초의 세상은 시간도 공간도 없었다. 찰라의 순간에 없음(無)의 균형이 깨지고 그 틈으로 우주의 기운을 품은 만물의 씨앗이 태어난다. 곧 이어 씨앗이 터지며 이 세상은 음기(陰氣)와 양기(陽氣)를 품은 다섯 무리의 존재들로 가득 채워졌다. 이들을 나무를 닮은 무리, 불을 닮은 무리, 흙을 닮은 무리, 쇠붙이를 닮은 무리 그리고 물을 닮은 무리로 구분하였다. 이들의 에너지를 목기, 화기, 토기, 금기, 수기라고 이름 하였다. 이들 에너지의 원운동 순환이 뭇 존재를 생기게, 머물게, 변하게, 사라지게(生住異滅)하는 동력임을 깨달았다. 이들의 순환을 중히 여겨 행(行)이라 불렀다. 이로써 오행론(五行論)은 명리학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

 

오행의 개념은 전국시대 말 형성되기 시작하여 후일 역경에 언급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오행의 뭇 존재들을 하늘의 존재인 10종의 천간(天干)과 천간이 땅으로 내려와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는 12종의 지지(地支)로 세별하여 오행론을 심화하였다. 천간과 지지는 명리학을 기술하는 문자로 한꺼번에 간지(干支)라고 부른다. 천간 지지는 중국 고대 왕조의 점술 문에서 비롯하였다.

 

세상의 시원(始原)을 논하는 종래의 이론으로 태극(太極)과 무극(無極)의 개념이 서로 부딪쳐 왔는데, 12세기 후반에 활동한 남송의 대 유학자인 주희는 “무극은 다함이 없음이요 태극은 가장 큰 다함이라, 표현은 다르지만 그들의 실체적 개념은 같다”고 주장하여 긴 논쟁을 끝낸 바 있다. 그는 음양오행에도 조예가 깊어 하도낙서와 같은 불후의 이론을 남겼다.

 

<낱말풀이>

 

*역경- 주역을 보완하여 유교의 경전으로 삼으며 높여 붙인 이름이다. 주역은 문자 그대로 중국의 고대왕조 중 하나인 주나라의 역서(점서)를 말하며 동양 점서(占書)의 원전이라 할 수 있다. 역(易)은 “도마뱀(蜴)이 허물 벗듯이 세상의 이치도 계속 변한다”는 뜻이며, 변한다는 사실은 결코 변치 않음도 의미한다. 역학(易學)은 세상의 이치를 탐구하는 학문의 총칭으로 인간세를 널리 이롭게 할 것(弘益)을 궁극의 목표로 한다. 운명의 이치를 탐구하는 명리학의 목표도 그와 같은 바, 역학의 한 분야이고, 점술을 역학이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 다음 연재는 ‘3절 운명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