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안승열의 명리학 다가가기

만성 병증은 기의 분리로 실체를 안다

1편 입문 2장 음양 6절 ‘병증의 음양’

[우리문화신문=안승열 명리학도]  병증에도 음양이 있다. 음과 양이 같은 힘으로 맞물리지 못하고 어느 한편으로 치우칠 때 병이 난다. 음액(陰液 한의학에서 인체를 순환하는 정 혈 진액 등의 체액을 음기로 보고 한꺼번에 음액이라고 부른다. 양의학이 말하는 혈액, 림프액, 정액 등에 해당한다. 영양제나 한의가 쓰는 보약은 음액을 보강하는 약이다.)이 고갈되면 음액으로 활동하는 양이 허해지고 양의 허한 상태가 지속되면 음액을 생성하지 못하니 결국 음과 양이 모두 허해진다. 따라서 음병이 지나치면 양병이 되고, 양병이 더 세지면 음병이 된다. 그 시작이 음양 어느 것인지를 가려서 부족한 것부터 채우는 것이 음양병 치료의 대원칙이다.

 

 

 

일반 증세

 

겉으로 보이는 몸의 위쪽 (윗입술~등~ 항문전)에 나타나는 것은 양증이고 아래쪽 (아랫입술~ 배~항문)에 나타나는 것은 음증이다. 두통, 감기, 해소, 각혈 등은 양증이고, 각기, 설사, 탈핵 등은 음증이다. 열이 위로 올라와 가슴이 답답하고 눈이 붉어지고 귀가 울리는 것은 양증이고 열이 부족하여 복통 설사 요통 등 아래쪽에 증세가 나타나는 것은 음증이다.

 

급성 만성

 

급성병은 대부분 양병이라 밖으로 증세가 드러난다. 오한 발열 두통 관절통과 같은 맹렬한 통증이 동반된다. 양증은 땀으로 흘려 몸 밖으로 발산시킨다. 만성병은 음병이 많다. 그 증세가 대체로 속에 숨어있고 병세가 급격하지는 않으나 지속적이어서 치료가 쉽지 않다.

 

계절의 병증

 

몸 안에 양의 기운이 많은 사람은 양이 지나친 여름이면 양병이 생기고,

몸 안에 음의 기운이 많은 사람은 음이 과도한 겨울에 음병이 생긴다.

봄에는 왕성해지는 생리 활동을 감당치 못해 피로하고 신경쇠약 같은 양병이 많다.

여름은 몸에 열이 지나치게 많아서 생기는 양병이 많다.

가을은 음기가 성해서 생리적 활동의 위축으로 생기는 음병이 많다. 토사곽란과 같은

소화기 병이 특히 많다.

겨울은 몸에 열이 부족하거나 한기에 상해서 생기는 감기, 노인 해소. 천식, 신장병, 신진대사 기능 쇠퇴 등의 음병이 많다.

삶은 양의 기운이고 죽음은 음의 기운이다. 그래서 만성병이나 자연사로 죽는 경우, 음이 왕성한 추운 계절, 시간은 밤인 경우가 많다.

 

※ 다음 연재는 ‘7절 열증과 한증의 허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