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앞서 지난 9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아래 공진원)은 가상현실 기반의 운영체계 제페토(ZEPETO)에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을 새롭게 열었다. 문체부와 공진원은 지난해부터 ‘2023 전통생활문화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및 확산’ 사업의 하나로, 사용자 참여유도형 가상현실 공간 ‘K-Kings’를 선보이고 있다. ‘K-Kings’는 조선의 임금과 임금이 되고 싶은 젊은 세대가 만나는 공간으로, 전통문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다채로운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제페토에서는 창덕궁의 ‘정조의 산책길’과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이 순차적으로 운영 중이며, 덕수궁을 중심으로 한 공간도 선보일 예정이다.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 과학과 밀접한 임금의 삶 엿볼 수 있어 훈민정음을 창제한 조선 제4대 임금 ‘세종대왕’은 조선의 과학 발전을 이끈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경복궁 공간의 주제가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인 까닭이다. ‘경복궁, 세종대왕의 신비한 연구실’은 세종대왕이 생활하던 경복궁의 근정전과 집현전을 철저한 고증을 거쳐 구현했다.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 「곡성 함허정 일원」을 국가지정유산 명승으로 지정 예고하였다.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은 신라시대 고찰로 알려진 관룡사와 그 뒤쪽에 병풍처럼 둘러싸인 기암괴석의 산봉우리 등 산세가 어우러져 수려한 경관을 이루고 있다. 또한 반야의 세계로 향하는 용이 이끄는 배라는 뜻의 ‘반야용선(般若龍船)’을 재현한 듯한 불상인 용선대(龍船臺)와 관룡사의 많은 불교 문화유산이 자연과 서로 조화를 이루는 독특한 경관적 값어치를 지녔다. * 반야: 불교의 근본교리 가운데 하나로 인간이 진실한 생명을 깨달았을 때 나타나는 근원적인 지혜 명승으로 같이 예고된 「곡성 함허정 일원」의 함허정은 조선 중기 문사(文士) 제호정(齊湖亭) 심광형(沈光亨, 1510-1550)이 섬진강(순자강) 일대 구릉지에 건립한 정자다. 함허정 일대는 풍수상 거북이가 용궁을 향해 입수하는 형국으로, 거북이의 등 위에 함허정(涵虛亭)이 자리하고 절벽 아래의 깊은 웅덩이인 용소(龍沼)와 구암조대(龜巖釣臺)라 불리는 하중암도가 있으며, 거꾸로 ‘용(龍)’자를 새긴 용암(龍巖) 관련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 조대(釣臺) : 낚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소장 김성배)는 오는 11월 13일(월)부터 18일(토)까지 6일 동안 국립아시아문화전당(광주광역시)에서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중문화유산 학술회의(APCONF) 사무국과 공동으로 「제5회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중문화유산 학술회의(컨퍼런스)(Asia-Pacific Regional Conference on Underwater Cultural Heritage, APCONF)」를 열기로 하고, 14일 아침 10시 20분에 개막식을 한다. 이번 행사는 3년 주기로 아시아-태평양지역 수중문화유산 연구자들이 모여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현안을 논의하는 대표적인 국제 학술회의로,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열린다. 지난 40여 년 동안 우리나라 수중문화유산 조사ㆍ연구를 전담해 온 전문기관이자 아시아 대표 수중고고학 기관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그간 축적한 조사ㆍ연구 역량과 성과를 알리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문가들 사이 교류마당을 마련하는 자리다. 35개 나라에서 250여 명의 수중문화유산 연구자들이 참석하는 이번 학술 회의(컨퍼런스)에서는 유엔에서 제시한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양 과학의 10개년 계획’을 의제로 6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소장 조상순)는 한성백제박물관(관장 김지연)과 함께 오는 10일(금) 아침 9시 30분 한성백제박물관(서울 송파구) 강당에서 「강(鐵)철백제, 철 생산의 중심지 충주」를 주제로 학술대회를 함께 연다. 충주지역은 현재까지 지표ㆍ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제철 관련 유적이 96곳에 이를 정도로, 다른 지역에 견줘 집중하여 분포되어 있다. 특히, 충주 칠금동유적은 삼국시대 백제 제철 유적지로서, 서울로 통하는 내륙과 수운의 요충지에 있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충주 칠금동유적에서 새롭게 밝혀진 제련로의 구조에 대한 연구 성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 충주 칠금동 유적: 2016년부터 최근까지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에 의해 학술발굴조사가 진행됨. 2,200㎡의 좁은 면적에 30기가 넘는 제련로와 제철생산 부속시설 등이 확인되어 높은 유구 밀집도를 보이는 백제 제철 유적지임. * 제련로(製鍊爐): 철광석에서 철과 불순물을 1차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인 제련이 이루어지는 제철로 학술대회는 6개의 주제 발표와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주제 발표는 칠금동 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원장 박희웅)은 11월 14일부터 11월 24일까지(주말 제외) 한국전통문화대학교(충남 부여군) 온지관에서 ‘국가유산수리기능인 양성과정’을 이수한 수료생들의 작품들을 모아 「제4회 국가유산수리기능인 미래전」을 연다. 올해로 4회를 맞이한 「국가유산수리기능인 미래전」의 이번 주제는 ‘전통문화를 전하는 숭고한 손길, 국가유산 수리’며, 전시에는 단청, 모사, 옻칠, 소목, 배첩, 철물, 도금과 보존처리 등 다양한 종목의 제작품과 수리작품 69점이 출품되어 전통공예의 멋스러움과 우리 전통수리기술의 우수성을 직접 확인할 수 있다. * 모사: 서화류 국가유산의 소실이나 훼손 등에 대비해 그림이나 글씨 등을 보고 동일하게 옮겨 그리는 기술 * 배첩: 그림이나 글씨 등 서화류에 종이나 비단을 덧붙여 액자, 병풍, 전적 등 다양한 형태로 꾸며 기록물의 보존성을 높이고 심미성을 극대화하는 기술 한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에서 운영하는 ‘국가유산수리기능인 양성과정’은 「문화재수리 등에 관한 법률」을 근거로 수리현장에서 국가유산을 직접 수리할 수 있는 전문 기능인을 체계적으로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직무대리 노명구)은 조선왕조실록(이하 ‘실록’)과 조선왕조의궤(이하 ‘의궤’)의 오대산사고본 원본을 원 소장처였던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오대산으로 돌려보내기로 하고, 실록과 의궤를 보관ㆍ전시하는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이하 ‘실록박물관’,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176)을 설립해 11월 11일(토) 낮 2시 개관식을 시작으로 11월 12일(일) 정식 개관한다.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조선시대 제1대 임금 태조로부터 제25대 임금 철종에 이르기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연월일 순서에 따라 편년체로 기록한 역사서. 1973년, 2007년, 2019년에 국보 지정. * 《조선왕조의궤(朝鮮王朝儀軌)》: 조선 왕실 행사의 준비와 시행, 사후 처리과정에 대한 기록. 2016년에 보물 지정. ■ 오대산사고(조선왕실)에서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문화재청)으로 조선시대 지방 외사고 가운데 하나인 오대산사고에 보관 중이던 실록과 의궤는 당대 기록유산의 정수를 보여주는 문화유산으로, 일제강점기인 1913년 실록 전량과 의궤 일부가 일본으로 반출되었다가 민간과 불교계,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을 통해 2006년과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안형순 원장)은 11월 18일(토) 저녁 4시와 7시 30분에 국립무형유산원(전북 전주시) 대공연장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종합공연인 <평롱[平弄]: 그 평안한 떨림(이하 ‘평롱’)>을 (사)정가악회와 공동으로 연다. 더욱 많은 국민에게 우리 무형유산의 값어치를 전달하고자 진행되는 이번 협업공연 <평롱[平弄]>은 종묘제례악, 판소리, 아리랑, 가곡 등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에 오른 전통음악을 바탕으로 창작한 음악과 화려한 영상예술이 더해진 국악 공연이다. 2014년 서울남산국악당 상설공연을 시작으로 모두 242회의 공연을 통해 수많은 관객과 만났으며, 공연예술 유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가 운영하는 ‘2023 공연유통협력지원 사업’에 뽑혀 작품성을 인정받은 우수작품이기도 하다. 공연은 ▲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종묘제례악과 한국의 대표 궁중음악 보허자의 일부를 재구성한 ‘아침을 여는 노래’, ▲ 거문고와 판소리정가, 기타와 가야금이 한데 어우러지는 ‘나는 걷는다’, ▲ 궁중음악 수제천과 노동요인 인천 뱃노래의 흥을 담은 ‘나는 그립다’, ▲ 전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원장 김연수)은 지난해 안전방재연구실에서 수행한 ‘2022년 중점 관리대상 문화유산’에 대한 점검(모니터링) 결과를 보고서로 펴냈다. * 중점 관리대상 문화유산 :「국보ㆍ보물 건조물 문화재의 보존ㆍ관리 규정」(문화재청 훈령)에 따라 뽑은, 인위적ㆍ자연적 요인 등으로 훼손도, 노후도 등이 높아 특별관리가 필요한 국보ㆍ보물 건조물 문화유산 이번 보고서에는 서울 숭례문(국보), 경주 첨성대(국보)를 비롯하여 중점 관리대상 문화유산으로 뽑혔던 26건에 대해 지난해 국립문화재연구원이 수행한 구조변위ㆍ갈라짐ㆍ진동계측 등 구조안정성과 열화ㆍ풍화ㆍ생물피해 등으로 인한 손상부를 조사한 결과가 수록되어 있다. 조사결과는 각 지방자치단체 등 관리단체에 통보되었으며, 해당 결과를 토대로 각 관리단체에서 주의관찰, 정밀진단, 수리 등의 후속조치를 할 예정이다. 특히, 숭례문의 경우 2013년 복원된 이후 일부 목재의 건조수축 등으로 인한 재료적 변화 등이 발견되었으나, 구조적 변형 등은 없는 안정적인 상태로 파악되었으며, 지속적인 점검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첨성대의 경우, 몸체와 기초부에 관한 계측 결과에서 미미한 수치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浦項 金光洞層 新生代 化石産地, Cenozoic fossil site of the Geumgwangdong Formation, Pohang)」를 국가지정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 예고하였다.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신생대 식물 화석산지로서, 산출되는 식물화석의 종이 다양하고 화석 밀집도가 매우 뛰어나 한반도 신생대 전기의 퇴적 환경과 식생, 기후 변화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학술적, 상징적 값어치가 높은 자연유산이다. 포항시 동해면 금광리 일원의 금광동층은 1㎞에 걸쳐 두께 70m 안팎의 소규모로 분포하는 퇴적암으로 약 2천만 년 전, 동해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종의 식물화석이 층층이 무리 지어 있다. 이는 당시, 화산활동이 상대적으로 약해진 시기에 다소 습윤한 기후조건에서 나뭇잎 등과 같은 부유 퇴적물이 지속해서 공급되어 퇴적되었음을 알려준다. 이곳에서 확인되는 식물화석은 기록되지 않은 종을 포함하여 60여 종이 넘으며, 그 가운데서도 메타세쿼이아, 너도밤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단풍나무 등이 주를 이룬다. 특히, 울릉도 특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소장 최인화)는 11월 9일 아침 10시 국립무형유산원(전북 전주시)에서 ‘전북 마한문화, 지역 거점세력의 성장’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학술대회는 한반도 서남부 지역의 넓은 범위에 자리하였던 과거 마한 연맹체 가운데 전북지역 마한 거점세력의 성립과 발전에 대한 최신 고고학 연구 성과들을 종합하는 자리다. 최성락 목포대학교 명예교수의 ‘전북지역 마한문화의 흐름’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전북 마한 거점 세력의 등장(1부)과 성장(2부), 변동(3부)에 대해 모두 7개 주제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진행된다. 제1부에서는 마한세력 성립 기반과 특징에 대해 ▲ 마한 성립 기층문화의 특징(이종철, 전북대학교박물관)과 ▲ 마한 성립기 외래문물의 유입과 영향(김규정, 전북문화재연구원)을 주제발표로 살펴본다. 제2부에서는 마한 소국을 형성한 지역 거점세력들의 특징과 성장과정에 대하여 알아보는 시간으로, ▲ 전북 서부지역 마한 거점세력의 성장과 지역성(이지영,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 ▲ 1~6세기 섬진강 상류 지역 정치체의 성장과 변동(김은정, 대한문화재연구원), ▲ 전북지역 마한 거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