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나도 기자다

전체기사 보기


LG U+, 소상공인 전용 'AI전화팩' 출시

단순ㆍ반복 문의 전화를 AI콜봇이 24시간 365일 응대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LG유플러스(www.lguplus.com)는 지난해 출시한 소상공인 전용 '인공지능(AI) 전화' 서비스를 5G 모바일 프리미엄 요금제 가입 혜택으로 제공한다고 1일 밝혔다. 이로서 LG유플러스는 소상공인 가게의 디지털 전환과 통신 요금 절감을 지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AI전화'는 소상공인 매장의 기존 인터넷전화에 인공지능 기능을 탑재한 서비스로 가게로 걸려오는 단순ㆍ반복 문의 전화를 AI콜봇이 24시간 365일 응대한다. AI전화를 이용하면 가게 위치, 영업시간, 주차 가능여부 등 주요 문의에 정확한 응대를 할 수 있으며, 그 시간 동안 사장은 가게 고객 응대에 더 집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LG유플러스의 'AI전화'는 매장으로 동시에 걸려오는 전화를 모두 응대 가능하며, 인공지능이 고객의 문의사항을 듣고 사장이 미리 설정해둔 매장 정보에 기반해서 답변하는 것이 특징이다. 매장 정보는 소상공인 매장 통신상품 통합관리 앱 '우리가게패키지'에서 직접 관리 가능하다. 또한, 앱에서 AI전화 응대 내용을 분석해주는 리포트 기능을 통해 매장 이용 고객이 자주 문의하는 내용을 분석해 매장 운영 개선에 활용할 수 있다.

최휘영 장관 취임, 경주 에이펙(APEC) 현장으로

전통과 기술, 예술과 혁신이 어우러진 에이펙 위해 총력을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 최휘영 장관은 7월 31일(목) 취임 직후부터 8월 1일(금)까지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이하 에이펙) 정상회의’ 개최지인 경주를 찾아 현장 점검에 나섰다. 이는 최근 김민석 국무총리가 취임(7. 3.) 2주 만에 2차례(7. 11., 7. 16.) 경주를 방문하는 등 정부 차원의 에이펙 총력 대응이 이어지는 가운데 이루어진 최 장관의 첫 공식 일정이다. 최휘영 장관은 주낙영 경주시장, 김상철 경상북도 에이펙 준비지원단장 등과 함께 정상회의장과 미디어센터, 정상 만찬장과 전시장, 문화산업 고위급대화 회의장 등 현장을 직접 둘러보며 기반시설 조성 현황을 확인하고, 문화 콘텐츠 준비 상황과 국내외 홍보계획을 점검했다. 현장 점검 중 최휘영 장관은 우양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백남준 특별전도 둘러보며 “천년고도 경주의 유산이 백남준의 비디오아트를 통해 오늘의 문화로 재해석되는 모습이 인상 깊다.”라며, “이번 에이펙 정상회의가 전통과 기술, 예술과 혁신이 공명하는 ‘문화 정상회의’로서 성공적으로 개최될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향후에도 에이펙 정상회의 준비기획단

용광로 앞, 쇳물은 부어야 하고

임인규, <더위 그 까짓것> [겨레문화와 시마을 226]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더위 그 까짓것 - 임인규 지독한 땡볕 측정온도는 38도씨 온몸에 땀이 줄줄 더위 그까짓 것 공사 현장 철근 위를 걸어봤니? 운동화 바닥을 통해 느껴지는 온도 살이 익을 정도다. 그래도 공사는 해야 하고 그래야 돈을 번다. 섭씨 2000도 3000도를 오르내리는 용광로 앞에서 방열복 입고 쇳물을 퍼 날라 보았는가? 더위 그까짓 것 그래도 쇳물은 부어야 하고 그래야 수도꼭지는 생산이 된다. 우리 겨레는 더위가 극성인 때 혀끝에서는 당기는 찬 것이 아니라 오히려 뜨거운 음식으로 몸을 보양했다. 바로 그것이 이열치열(以熱治熱)의 슬기로움인데 여름철의 더운 음식은 몸 안의 장기를 보호해 준다고 한다. 이 이열치열의 먹거리로는 전설의 동물인 용과 봉황(실제로는 잉어와 오골계)으로 끓인 “용봉탕”, 검정깨로 만든 깻국 탕인 “임자수탕” 그리고 보신탕, 삼계탕, 추어탕 따위가 있다 여름철이면 사람 몸은 외부의 높은 기온 때문에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막기 위해 피부 근처에 다른 계절보다 20∼30% 많은 양의 피가 모이게 된다. 이에 따라 체내의 위장을 비롯하여 여러 장기는 피가 부족하게 되고 몸 안의 온도가 떨어지는데, 이렇게

‘2025 국악관현악축제’, 국립국악원 예악당서 열린다

7기 ‘한음아카데미오케스트라’, 젊은 국악 연주자들의 패기와 실력 볼 수 있어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2025 국악관현악축제’가 오는 8월 22일(금)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다. ‘국악관현악축제’는 2004년부터 국악인들의 교류와 화합을 통해 우리 음악의 아름다움을 대중에게 전해온 음악 축제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규모가 큰 국악관현악 축제다. 특히, 2019년부터는 젊은 연주자들로 구성된 ‘한음아카데미오케스트라’를 창단하여 신진 국악인들이 무대 경험을 통해 예술가로서의 길을 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여 국악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올해로 7기를 맞이한 ‘한음아카데미오케스트라’는 전국 9개 대학 재학생 50여 명으로 구성되어 젊은 국악 연주자들의 패기와 실력을 무대 위에서 선보인다. 총예술감독 박범훈(동국대학교 석좌교수)과 지휘자 원영석(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등 국악계 거장들의 깊이 있는 예술 교육이 더해지며, 생황 연주자 홍지혜(국립국악관현악단 단원), 장구 연주자 김준수(KBS국악관현악단 단원)의 협연이 함께하여 국악관현악의 진수를 오롯이 느낄 수 있는 무대를 선사할 예정이다. 이번 2025 국악관현악축제는 ‘국악 : THE NEXT’라는 새로운 부제 아래, 국악관현악의 새로운 가능성과 미래를 탐색하는

풋귤ㆍ청귤’, 겉모양ㆍ성분 차이 커

농촌진흥청, 풋귤ㆍ청귤의 정확한 이름 사용하자 풋귤은 덜 익은 노지 온주감귤, 항산화 효과 ‘나리루틴’ 풍부 청귤은 3~4월 수확하는 재래 감귤, 주요 성분은 ‘헤스페리딘’

[우리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은 풋귤 출하 시기를 맞아 시중에서 혼용해 불리고 있는 풋귤과 청귤의 차이점을 소개했다. 풋귤을 덜 익은 초록색 껍질로 인해 청귤로 부르는 이가 많지만, 풋귤과 청귤(Citrus nippokoreana)*은 엄연히 다른 품종이다. 풋귤(Citrus unshiu)은 8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출하*되는 노지 온주감귤**을 말한다. 유기산과 플라보노이드 등 기능성 성분이 풍부해 가공용으로 이용 값어치가 크다. * 풋귤은 ‘제주도 감귤 생산 및 유통에 관한 조례’에 따라 8월 1일∼9월 15일에 출하. 올해는 214개 농가에서 출하 예정 ** 만다린 계통의 감귤로 우리가 흔히 먹는 귤 청이나 식초 등으로 만들어 먹는 풋귤과 달리, 재래 귤인 청귤은 3~4월 수확해 주로 한약재 등으로 사용한다. * 옛 고서인 《제주풍토록》(1521년), 《귤 유보》(1578년), 《탐라지》(1653년), 《탐라문견록》(탐라귤보, 1732년)에 기록된 재래귤. 소량 생산되며 주로 한약재 등으로 쓰임 또한, 풋귤은 무게 80g, 가로지름 5.8cm 정도이고 껍질이 매끈하며 안에 씨가 없다. 반면, 청귤은 무게 25g, 가로지름 4cm 정도로 풋

쌀 소동 발상지, 우오즈(魚津)의 쌀 창고

구로베3댐의 조선인강제노동현장을 찾아서 <4>

[우리문화신문=류리수 기자] 도야마현(富山県)의 후간(富岩)운하에서 이와세(岩瀬) 항구로 이동해 전망대에 올랐다. 항구에 정박한 대형 선박 안에는 중고 소형자동차가 가득 실려 있었는데, 아마도 러시아행을 준비 중인 듯했다. 도야마항 선박의 67%가 러시아행이고 도야마항이 일본의 중고자동차의 33%를 수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항구 반대편으로는 넓은 바다가 펼쳐졌고, 오른쪽으로는 병풍처럼 다테야마 연봉이 길게 이어져 있었다. 전망대를 내려와 동쪽 해안을 따라 약 40km를 달려 도착한 곳은 우오즈(魚津)의 쌀 창고 앞. 이곳은 1918년 ‘쌀 소동’의 발상지 중 하나로, 현재는 바닷가를 배경으로 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가까이에 검고 커다란 목조 창고가 남아있다. 쌀 소동의 배경은 제1차 세계대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14년 전쟁 발발 이후 일본은 호경기를 맞았지만,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서민의 생활이 곤궁해졌다. 특히 쌀 상인들의 사재기로 인해 쌀값은 무려 네 배까지 치솟았고, 결국 1917년 봄부터 1920년 봄까지 전국적으로 쌀 소동이 이어졌다. 주요 산업 지역인 탄광과 조선업, 대도시 등을 중심으로 임금인상 요구와 폭동이 벌어졌는데, 여기에 쌀값 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