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2월 22일부터 2월 25일까지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는 오페라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이 열린다. 또한 24일(토)에 마이오페라 라이브와 네이버TV로 볼 수 있다. 로시니가 21살이던 나이에 단 27일 만에 완성하였으며 가장 로시니다운 작품으로 손꼽히는 <알제리의 이탈리아 여인>. 로시니의 젊음이 유쾌하고 명랑한 음악에 담겨 관객들을 사로잡는 작품이다. 위트와 재치가 넘치는 희극적 오페라를 위해 한국의 예술가들이 뭉친다. 다양한 오페라 작품에서 한국적 감성을 찾아내 대한민국 대표 오페라 연출가로 꼽히는 연출가 최지형과 함께 제57회 브장송 지휘콩쿠르에서 한국인 처음으로 결승에 오르며 특별언급상을 받고 지난 9월 플로브디프 오페라 지휘 콩쿠르에서 1위에 오른 30대 젊은 지휘자 이든이 국내 오페라 포디움에 선보인다. 출연진은 22일과 24일 이사벨라 역에 메조소프라노 키아라 아마루, 린도로 역에 테너 발레리 마카로프, 무스타파역에 베이스 권영명, 엘비라 역에 소프라노 이혜진, 타데오 역에 바리톤 김원, 줄마 역에 메조소프라노 신성희, 알리 역에 베이스 최공석이 무대에 오르며, 23일과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지난 1월 5일부터 오는 2월 18까지 서울 강북구 월계로 ‘꿈의숲아트센터’ 퍼포먼스홀에서는 뮤지컬 <겨울 이불>을 무대에 올리고 있다. 동화속 세상을 그대로 무대로 올려 당신을 초대한다. 할아버지ㆍ할머니의 구들장은 뜨끈뜨끈하게 데워져 있다. 아이는 두꺼운 겨울옷을 훌훌 벗고 가뿐한 내복 차림이 되어 방바닥에 펼쳐진 이불 속으로 들어간다. 절절 끓는 아랫목과 솜이불 사이에는 비밀스러운 공간이 펼쳐진다. 작가의 동화적인 상상력과 제작사의 공연예술적 화법이 만나 솜이불 아래 깜짝 놀랄 만한 공간 찜질방에서 벌어지는 판타지다. 뜨끈뜨끈한 찜질방에서, 여름날 뛰놀던 골목길로, 썰매를 타던 강가로... 작은방 이불 속 평범한 공간에서 시작된 아이의 상상으로 펼쳐지는 판타지 뮤지컬. 찜질방처럼 따뜻하고, 식혜처럼 달콤한 가족 사이 사랑이야기다. 할머니집 구들장과 이불이라는 소재로 뮤지컬을 통한 이불속의 판타지로 표현하여 가족 사이 소중함을 느끼고 조부모와 부모를 거쳐 삼대 간에 흐르는 가족 간의 사랑이야기를 담았다. 공연 시각은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는 낮 11시, 토요일은 낮 11시와 2시 그리고 4시, 일요일은 낮 11시와 2시
[우리문화신문 = 금나래 기자] 인천아트플랫폼은 레지던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입주 예술가의 창작활동을 지원하는 "창·제작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IAP 14기시각예술부문 마지막 열네 번째 프로젝트로 입주 예술가 현승의의 개인전《어쩌면 이게 마지막일지도 몰라(Maybe this will be the last》를 개최한다. 현승의는 자신을 둘러싼 외부의 세상으로부터 여러 가지 불안을 감지하고, 그것을 내면화하여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을 진행해 왔다. 작가는 다양한 현상이 발생되는 거대한 사회 시스템을 들여다보며 우리가 어디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오늘날 사회현상의 면면을 수집하고 거기에 냉소적인 시각을 담아 작품으로 재구성하며, 사라져가는 것이나 파괴되는 것, 중요함에도 쉽게 망각되는 것들에 관한 이야기를 그 속에 담아낸다. 작가는 올해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에 머물며 바다에 대한 담론을 탐구하여 작품으로 표현했다. 특히,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된 최근 이슈에 주목하여 이와 관련한 미묘한 사회적 분위기를 포착하고자 했다. 이번 전시는 불안과 안온의 경계에 걸쳐 있는 오늘날의 시대적 정신을 반영한다. 작가는 개인으로서는 어찌할 수 없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빛바랜 낡은 사진 속의 옛 대전은 어떤 모습이었을까? 여기 대전의 옛 모습을 담은 사진들이 있다. 지난해 12월 27일부터 오는 5월 31일까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대로 ‘대전근현대사전시관’에서는 <사진으로 보는 옛 대전(大田)> 특별전이 열리고 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피폐해진 도시. 냇가에서 빨래하고, 먼지가 뽀얗게 날리는 비포장도로와 낡은 판자집. 미니스커트와 장발단속, 야간통행금지까지 지금은 볼 수 없는 이색적인 풍경들. 지금은 슬기말틀(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사진과 영상을 쉽게 남길 수 있지만, 과거 부모님이 살았던 시절에는 큰 행사나 기념일이 아니면 쉽게 접할 수 없는 게 사진이었다. 따라서 집안 장롱에 보관된 사진첩 속의 낡은 흑백 사진은 지금과는 견줄 수 없는 큰 의미가 있다. 옛 사진에는 개인의 추억만 남겨져 있는 것은 아니다. 개인의 사진 하나하나가 모여서 기록이 되고, 역사의 한 면을 구성하는 귀중한 자료가 된다. 지금과는 사뭇 다른 옛 사진을 통해 잠시나마 그 시절로 돌아가 추억을 회상하고 그 시절을 겪지 못한 세대는 부모님의 정서를 공유할 수 있는 뜻깊은 시간이 될 것이다. 관람시간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겨울은 역시 얼음잔치가 최고다. 각 지역의 얼음잔치는 벌써 십수회째지만 경북 영양에서는 이번이 첫번째다. 제1회 영양 꽁꽁겨울축제는 영양군 영양읍 현리 670번지 일원에서 열리며 20년 전통의 영양 무료 빙상장을 확대 개편하여 개최되는 최초의 영양군 겨울축제다. 영양군 반변천에서 1월 5일부터 1월 21일간 17일간의 일정으로 개최되는 영양 겨울축제는 빙상장(스케이트장. 얼음썰매장, 얼음 열차), 놀이 시설(눈썰매장, 회전 눈썰매장) 그리고 체험 프로그램인 빙어 체험장, 빙어 낚시터 부대행사로서 마술쇼와 페이스페인팅과 목공예 체험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으며 이밖에도 에어돔과 이글루 체험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어 온 가족이 참가하여 즐길 수 있는 따뜻한 겨울 축제가 마련되어 있다. 온 가족이 함께 꽁꽁 영양 겨울 축제에 참가하여 겨울의 정취를 만끽하고 따뜻하고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 2024. 1. 5. ~ 1. 21./ 10:00~17:00 영양군체육회 관리자 054-680-6450~6453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한국공예ㆍ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아래 공진원)은 2024년 첫 번째 KCDF 윈도우갤러리 기획전 《사물이 건네는 말(Objects speak to you)》을 1월 10일부터 3월 10일까지 인사동 KCDF 윈도우갤러리(1층 외부)에서 연다. 공진원은 시장 경쟁력을 갖춘 공예디자인 창작자와 공예품을 발굴하고 지속 가능한 생산 역량과 유통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지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사물이 건네는 말> 전시에서는 2023년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지원사업에 참여한 금속ㆍ나전ㆍ도자ㆍ목ㆍ유리 분야 공예가 14인이 1년 동안 진행한 아름다운 결실을 소개한다. 새롭게 뽑힌 공예가 10인과 후속 지원으로 뽑힌 공예가 4인이 재해석한 한국의 공예 기법과 결과물을 통해 우리의 공예를 이야기한다. 공진원 최재일 공예본부장은 “공예디자인 상품개발 지원사업에서 치열한 경합을 통해 뽑힌 공예품을 KCDF 윈도우갤러리 기획전을 통해 소개하고자 한다”라고 밝히며, “이번 전시는 공예가의 사물은 존재만으로도 깊은 울림과 이야기를 전할 수 있다는 기획의도를 담아 시장경쟁력뿐 아니라 창의성, 한국적 미감을 갖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국립부여박물관(관장 은화수)은 겨울방학을 맞아 집에서 즐길 수 있는 비대면 공연을 연다. 1월 12일(금)에는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부여박물관 유튜브에서 퓨전밴드 ‘두 번째 달’ 비대면 공연을 공개한다. 2023년 11월 국립부여박물관 사비마루 공연장에서 열린 2023문화향연 <박물관 속 바이올린 공연> 하이라이트 영상이다. 공연에서는 두 번째 달이 연주한 드라마 궁, 구르미 그린 달빛 OST뿐만 아니라 부여에 관한 생생한 대담도 만나볼 수 있다. 영상을 감상하고, 수수께끼를 맞히면 추첨하여 백제금동대향로 소품(미니어쳐 20cm)와 백제금동대향로 향스프레이+향갈피를 선물로 주는 잔치도 1월 28일(일)까지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국립부여박물관은 2024년에도 문화소외지역인 부여에서 더 많은 관람객이 문화를 누릴 수 있도록 4월 뮤지컬 ‘이벤져스 라이브’, 6월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의 시네마 콘서트’ 등의 다양한 공연을 열 예정이다. 공연 정보는 국립부여박물관 사비마루 공연장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buyeo.museum.go.kr).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오는 3월 24일 저녁 5시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세종M씨어터’에서는 <2024 봄에 내리는 젠틀레인> 공연이 열린다. 아름다운 선율과 밝고 매끄러운 사운드, 한국적 로맨틱 재즈의 대명사 젠틀레인의 2024년 봄 공연이다. 2011년 처음 시작되어 올해로 열두 번째를 맞이하는 “봄에 내리는 젠틀레인”은 해마다 봄, 봄비처럼 찾아오는 재즈 트리오 젠틀레인의 로맨틱 재즈 공연으로, 팝ㆍ가요ㆍ영화음악ㆍ스탠다드ㆍ젠틀레인 오리지널곡 등 해마다 주제를 달리하며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올해는 <We Get Requests 당신의 신청곡을 연주합니다>를 부제로 하여 공연 전에 신청곡과 사연을 받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공연 중에 신청곡과 사연을 소개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피아노, 드럼, 콘트라베이스의 부드러운 터치와 스윙감 봄비처럼 촉촉하고 어쿠스틱한 연주 팝, 가요, 영화음악, 스탠다드 등 다양한 스타일의 신청곡을 젠틀레인 특유의 아름다운 선율과 밝고 매끄러운 사운드, 그리고 트리오 특유의 부드러운 터치와 스윙감으로 표현해 줄 것이다. 젠틀레인 특유의 풍부한 서정적 감성과 표현력을 피아노, 드럼, 베이스가 하나로
[우리문화신문=이나미 기자] 피아니스트 최현아가 ‘빛과 어둠 그 어딘가’를 주제로 오는 1월 28일 금호아트홀 연세에서 독주회를 올린다. 나라 안팎에서의 활발한 연주 활동을 비롯하여 그녀의 기획력이 돋보이는 독주를 감상할 수 있었던 데에 이어, 이번 독주회에서는 ‘빛과 어둠’이라는 상반된 개념을 음악에 접목하여 인간의 본능에 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 인간은 빛나는 선한 모습과 반대로 어둠의 악한 모습을 누구나 가지고 있기 마련이다. 사회적, 환경적으로 학습된 규칙을 수행하며 살아가는 이면에는 어둡고 우울한 감정이 숨겨져 있다. 피아니스트 최현아는 이것이 나쁘거나 부끄러운 것이 아닌, 선과 악의 경계에서 자신의 다양한 모습을 솔직하게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을 본 연주의 목표로 둔다. 본 공연은 ‘빛과 어둠 그 어딘가’라는 부제에 맞게 공식적인 순서 없이 진행된다. 완전한 빛도 어둠도 아닌 그 경계에서 대립하는 개념을 분명하게 느끼길 바라며 언제나 이 둘은 공존한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프로그램은 슈베르트와 프로코피에프의 소나타다. 피아니스트 최현아는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D.960으로 절제와 온화한 음악을 선보인다. 슈베르트의 음악은 방랑과 죽음에 가까이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윤성용)은 새롭게 단장한 기증관을 1월 12일(금)부터 전면 공개한다. 이번에 문을 여는 기증관은 2022년부터 2년에 걸쳐 이루어진 기증관 개편 사업의 결과물이다. 이번 전시 개편은 모든 세대의 관람객이 문화유산 나눔의 소중한 값어치를 발견하면서 기증된 문화유산을 편안하게 감상할 수 있는 공간 조성을 목표로 했다. 주요 전시품으로는 이홍근 기증 <분청사기 상감 연꽃 넝쿨무늬 병>(보물)과 이근형 기증 <이항복필 천자문>(보물), 국립중앙박물관회 기증 <나전경함>(보물), 송성문 기증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제15>(국보) 등 국가지정문화유산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와 함께, 재개관을 기념하여 손창근 기증 <세한도>(국보)와 윤동한 기증 <수월관음도>를 5월 5일까지 특별 공개한다. 개편된 기증관은 기증의 의미와 값어치를 헤아려 볼 수 있는 ‘기증 오리엔테이션 공간’과 박물관의 소장품이 된 기증품을 다양한 주제로 펼쳐 보이는 ‘기증 주제 전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12월에 먼저 문을 연 ‘기증 오리엔테이션 공간’(기증Ⅰ실)은 ‘나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