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를 이끈 이산화탄소와 공유지의 비극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올여름은 유난히 더웠다. 2025년 7월에 서울의 열대야(주: 밤 최저 기온이 25도 이상인 현상)는 모두 23일로서 117년의 기상관측 사상 가장 많은 기록을 세웠다. 유럽에서도 미국에서도 폭염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였다. 환경학자들은 이처럼 뜨거운 여름이 해마다 계속되는 것은 지구가 더워져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기후위기’라는 말이 먼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 2025년 5월 22일 자 ‘네이쳐(Nature)’ 잡지의 기후위기에 관한 기사는 “세계의 가장 부유한 이들이 극한적 더위와 가뭄과 같은 기후 충격에 과도한 책임이 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부유한 사람들이 더 많은 물건을 사며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데, 결과적으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는 주장이다. 지구 전체로 계산해 보면, 상위 10%의 부유층이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50%를 배출한다. 쉽게 말해서 부유한 사람들이 기후 위기에 더 큰 책임이 있다는 뜻이다. 나라별로 따지면 기후 위기의 책임은 어느 나라에 있을까? 2020년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은 인구가
- 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 2025-08-16 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