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본부장 이재필)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창덕궁의 정문이자 국가유산 보물로 지정된 「돈화문(敦化門)」의 보수정비 공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 「창덕궁 돈화문」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중층 건물로, 1412년(태종 12년)에 처음 세워진 뒤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1608년(광해군 1년)에 재건하여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조선 후기 실질적 법궁 역할을 하였던 창덕궁의 정문이자, 현존하는 궁궐 정문 가운데 가장 오래된 문으로 그 값어치를 인정받아 1963년에 보물로 지정되었다. 국가유산청은 2014년 특별점검을 통해 돈화문의 구조적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이후 구조안전진단(2015년)을 거쳐 중점관리대상으로 꼽아 주기적인 점검(모니터링)을 해왔다. 점검 결과, 지붕의 주요 부재에 부분 변형이 추가로 확인되고 기와 등이 이완됨에 따라 문화유산위원회와 수리기술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이번에 공사를 착수하게 되었다. 보수정비 공사는 2027년까지 모두 105억 원의 예산이 투입되며, 돈화문의 상층부와 하층부를 부분 해체한 뒤 균열과 변형이 생긴 부재를 보강 또는 교체하는 것을 중심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이번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서울돈화문국악당이 가정의 달을 맞아 기획한 <돈화문 음악극축제>는 5월 20일부터 5월 28일까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두 편의 음악극 작품을 골라 선보인다. 2022년 첫선을 보인 <돈화문 음악극축제>는 지난해에 이어 무대와 객석이 가까운 서울돈화문국악당의 특성을 바탕으로 공연 중 다양한 참여 활동을 제공하여 어린이 관객들이 국악에 쉽고 친근하게 다가가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축제의 시작은 국악, 연희, 덜미(인형극)를 접목하여 현대적 풍자와 해학이 녹아있는 독창적인 오브제극(물체에게 생명을 부여하고 존중함으로써 숨 쉬고, 움직이고, 말하게 하는 극)을 선보이는 단체인 ‘연희공방 음마갱깽’이 이효담 작가의 그림책 <오냐나무>를 바탕으로 만든 인형극 <오냐나무와 아냐벌레>로 알린다. 무서운 생각마저 ‘무엇이든’ 이루어주는 오냐나무로 인해 위험에 빠지게 된 주인공 준이, 수리, 그리고 동물들이 걱정을 먹어 없애주는 아냐벌레와 함께 두려움을 버리고 문제를 해결해가는 내용으로, ‘두려움은 마음에서 나오는 것, 소원은 비는 것이 아니라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언하는 것’이라는 철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