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별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맑은 날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총총히 빛나는 별들 사이로, 소젖(우유)을 쏟은 듯 흐르는 '미리내'가 보입니다. 그런데 그 깊고 어두운 하늘 어딘가에, 마치 엷은 구름이 퍼져 있거나 희미한 안개가 낀 것처럼 뽀얗게 뭉쳐 있는 빛의 얼룩을 본 적 있으신가요? 그것은 우리 하늘에 뜬 구름이 아니라, 까마득히 먼 한집(우주)에 떠 있는 엄청나게 큰 구름입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야릇한 하늘에 있는 '별구름'입니다. '별구름'은 그 이름만 들어도 가슴이 뛸 만큼 참 아름다운 말입니다. '별'과 '구름'이 만나, 하늘의 구름과는 사뭇 다른, 아득한 한집(우주)의 바람빛(풍경)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별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구름 모양으로 퍼져 있는 천체. 기체와 작은 고체 입자로 구성되어 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풀이가 참 똑똑하고 시원합니다. '천체(天體)'란 하늘에 있는 몬(물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니, '별구름'은 하늘, 곧 한집(우주)에 떠 있는 물체인데 그 모양이 꼭 '구름' 같다는 뜻입니다. 다만 우리 하늘에 뜬 '물구름'처럼 물방울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숨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