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겨우내 땅 속에서 잠자고 있던 서울식물원의 12만 송이의 튤립과 수선화가 꽃망울을 터뜨렸다. 서울식물원은 지난 가을에 식재한 수선화, 튤립, 무스카리, 알리움 등 총 12만 구 이상의 구근 식물이 서울식물원 곳곳에서 꽃을 피웠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화한 튤립과 수선화를 집중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곳은 서울식물원의 야외 공간인 호수원과 주제원이다. 서울식물원은 주제원, 호수원, 습지원, 열린숲 등 총 4곳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주제원은 유료 공간이나 나머지 3개 공간은 무료로 이용 가능해 산책로를 따라 길게 식재된 봄꽃을 감상할 수 있다. 노란색과 흰색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수선화 정원은 보는 것만으로도 봄의 생동감이 느껴지며, 호수원 산책로를 따라 약 800m 길이로 자리 잡은 튤립길도 시민들의 사진 촬영 명소로 인기가 많다. 특히, 약 2만 구의 원종 튤립을 정원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원종 튤립은 일반 튤립보다 키가 작고 야생화의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어 일반 튤립과의 차이를 비교하며 감상하는 것도 색다른 즐거움이 될 것이다. 여기에 향기로운 히야신스와 푸른빛이 감도는 무스카리, 신비로운 보랏빛을 뽐내는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예전에 어머니는 말했다 내년 봄에도 진달래꽃과 개나리를 볼 수 있을는지 라고. 어머니 가신지 여러 해 해마다 진달래 개나리 피는 계절이면 꽃처럼 환하게 웃던 그 어머니가 그리워진다.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임영석)은 지난주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해안면에 있는 국립DMZ자생식물원 안에 자생하는 모데미풀 등 봄을 알리는 꽃들이 피었다고 밝혔다. 학계에서는 1속 1종이며 특산식물인 모데미풀을 한반도를 대표하는 식물로 손꼽는다. 고산의 습한 조건에서 자라는 모데미풀은 전국적으로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으나, 현지외 보전에 필요한 증식 기술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 국립DMZ자생식물원에는 현재 모데미풀 말고도 꿩의바람꽃, 너도바람꽃, 들바람꽃, 노루귀가 모두 핀 상태다. 이들은 봄살이식물(춘계단명식물, Spring ephemeral plant)에 속하는 식물군으로서, 이른 봄 눈이 녹는 때부터 나무들이 개엽(눈에서 포개진 잎이나 꽃잎이 펼쳐지는 모양)을 시작하는 때까지의 짧은 기간 동안 생육 과정을 마친다. 봄살이식물들은 기후위기 시대에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 식물들은 토양 질소의 대량 용탈*이 발생하는 이른 봄철에 토양으로부터 질소를 흡수하여 보존하고, 또한 흡수하여 동화된 질소를 다시 토양으로 내보낸다. 이러한 작용은 이후 생장을 시작하는 다른 식물들이 사용할 질소의 공급원으로 기능하여 산림의 생산성에 뚜렷한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따스한 봄날 국립전주박물관을 꽃향기로 가득 채울 특별한 문화 체험이 관람객을 찾아온다.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은 4월 문화가 있는 날 플러스 문화행사로 봄 계절 체험행사 ‘꽃다발 꽃차 만들기’를 오는 4월 5일(토) 낮 1시와 저녁 4시 국립전주박물관 세미나실에서 두 차례 진행한다. 이번 행사는 무료체험으로 성인을 대상으로 운영하며, 회차 당 20명 씩 모두 40명을 선착순으로 모집한다. 국립전주박물관 누리집(jeonju.museum.go.kr)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오는 3월 28일(금) 아침 10시부터 4월 2일(수) 저녁 5시까지 사전 예약을 받는다. (선착순 조기 마감 가능, 자세한 사항은 누리집 참조) ‘꽃다발 꽃차 만들기’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다양한 꽃차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봄꽃을 사용하여 꽃차를 직접 만들어보고 시음하는 과정을 체험할 수 있는 특별한 체험행사다. 팬지와 산수유, 메리골드, 캐모마일, 허브 등 봄 계절에 피는 식용꽃을 재료로 사용하여 덖음(볶아서 익히는 작업)의 과정을 거친 뒤 각자의 취향에 맞춰 5~7가지의 꽃을 골라 조합하고 꽃다발 형태로 묶어 차를 완성하면 마무리된다. 완성된 꽃차
[우리문화신문=오종실 사진작가] 경기도 광주시 경안천과 귀여리에 나들이를 했다. 온통 꽃세상이 되어 황홀할 지경이다. Sony A7R3 90mm, 조리개 9, 셧터 1/250sec, 감도(ISO) ISO100
[우리문화신문=오종실 사진작가] Sony 7R3, 90mm매크로 렌즈, iso 100, f7~10, 1/125초 풀 꽃 - 나태주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오래 보아야 사랑스럽다 너도 그렇다. 구슬붕어, 금붓꽃, 봄맞이꽃, 개별꽃, 양지꽃... 이름도 귀여운 봄꽃들이 기지개를 활짝 폈다. 칙칙한 일상을 털고 자연으로 나가 우리도 오늘은 사랑스런 풀꽃을 바라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