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불교의 힘을 빌려 몽고의 침입이 끝나기를 기원하며 제작된 「고려 오백나한도」를 비롯해 「세종 비암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 「유항선생시집」, 「휴대용 앙부일구」를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각각 지정 예고하였다. 「고려 오백나한도(高麗 五百羅漢圖)」는 13세기 몽고의 고려 침입 시기에 국난 극복을 위해 일괄로 제작된 오백나한도 500폭 가운데 한 폭으로, 2016년 보물로 지정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 오백나한도와 함께 제작된 것이다. 지정 예고 대상은 제329원상주존자(圓上周尊者)를 표현한 것이다. * 원상주존자: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계승하여 깨달음을 얻은 수많은 수행자를 의미하는 오백나한 가운데 한 분임. 한 폭에 한 존자(尊者)만을 담은 형식으로, 존자가 너른 바위에 걸터앉아 화면 상단 왼쪽에 있는 용을 올려다보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였다. 존자의 얼굴과 자세에서 느껴지는 강인함과 역동감, 필선의 능숙한 구사, 자유롭고 다양한 농담 표현 등 뛰어난 화격을 갖추고 있다. 또한 화면 상단 좌우의 화제(畫題)를 통해 존명을 명확히 알 수 있으며, 하단 중앙의 화기(畫記)에는 제작 배경, 제작 연대(1235년),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지난 10월 10일부터 내년 2월 23일까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다산로747번길 16. ‘실학박물관’에서는 움직이는 전시 <똑딱똑딱! 해, 달, 별>을 열고 있다. 시계가 없던 시절 사람들은 시간을 어떻게 알았을까? 바로 하늘을 보고 알았는데 해, 달, 별이 움직이며 만들어 낸 무늬가 시간을 알려주었기 때문이다. <똑딱똑딱! 해, 달, 별>은 옛사람들이 하늘을 관찰하고 시간을 계산할 때 사용한 다양한관측 기기를 소개하는 전시다. 해, 달, 별의 위치를 확인하는 ‘혼천의’, 별자리를 나타낸 ‘천구’의와 ‘천문도’, 시간과 계절을 알려주는 오목해시계(앙부일구)까지. 사람들에게 시간과 계절의 변화를 알려주고, 시간을 더 잘 쓸 수 있게 도와준 기구들을 만나보자. 특히 <똑딱똑딱! 해, 달, 별>은 움직이는 전시다. 실학박물관에서는 <해, 달, 별> 통합전시를 운영하며, 화봉초등학교, 정약용도서관, 경의중앙선 운길산역 등 남양주시의 3개 기관에 움직이는 전시마당을 설치, 운영한다. 관람시간은 아침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며, 매주 월요일과 설 당일은 쉰다. 입장료는 없으며, 전시에 관한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