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판소리 학자 배연형(한국음반아카이브연구소 소장)이 춘향가 장재백 소리책의 해석과 주석 책의 펴냄을 기려 '배연형의 판소리 이야기: 소리책과 소리판'을 오는 8월 23일 토요일 낮 3시 선릉아트홀에서 연다. 이번 행사는 배연형 소장이 수십 년 동안 판소리와 유성기 음반 문헌을 연구하며 쌓아온 학문적 성과를 대중과 나누고, 판소리사와 전통 예술의 현대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자리다. 배연형 소장은 1980년대부터 판소리 음반과 문헌을 수집, 연구하며 판소리 유파 개념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실증적인 판소리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특히 이번에 펴낸 춘향가 주석은 한국 고전 문학과 판소리 예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며, 대중들이 판소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로 나아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이번 행사는 서울문화재단의 '2025년 원로예술지원'의 하나로 서울시와 서울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며, 무료입장으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행사는 잊힌 단가인 '소상팔경'의 복원 연주로 시작되며, 선영악회 회원들이 소리하고 박명언이 소리북을 맡는다. 선영악회는 배연형 소장이 이끄는 학습단체로 2025년 창립 10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1920~30년대 대중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얻은 당대 유행가를 다시 만날 수 있는 전통 성악 공연 무대가 이틀 동안 선보인다.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 민속악단(예술감독 유지숙)은 오는 9월 6일(수)과 7일(목)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100여 년 전 유성기 음반에 담긴 유행가를 한데 모은 기획공연 '경셩유행가'를 선보인다. 이번 공연은 당시 유성기 음반이라는 새로운 매체의 등장으로 주목받은 스타 명창들의 주옥같은 민요, 판소리, 신민요 등 15곡을 민속악단 성악 단원들의 목소리로 꾸며 무대에 되살렸다. 유성기 음반을 타고 대중음악으로 등판한 우리 소리 1920년대를 기점으로 국내에 등장한 유성기 음반은 본래 소리판이나 풍류방에서 즐겼던 우리 소리의 무대를 안방과 사랑방으로 옮겨놓았다. 누구나 언제든지 어디서든 소리를 즐길 수 있게 한 유성기의 등장으로, 당대 소리꾼들은 일약 스타로 떠오르고 그들의 노래는 대중들이 따라부르는 유행가로 불렸다. 당시 한 면에 3분 30초가량 수록할 수 있는 음반의 제한적인 시간에 따라 유성기 음반의 등장은 자연히 음악의 속도를 빠르게 하고, 대중들에게 짧은 시간에 음악을 소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한국 전통 음악을 지켜온 국립국악원(원장 김영운)과 우리 문화의 값어치와 미감을 전하는 아름지기(이사장 신연균)가 만나 유성기음반을 주제로 한 전시 <유성기집, 우리 소리를 보다 House of Records, See the Sound>를 오는 5월 26일(금)부터 6월 30일(금)까지 아름지기 통의동 사옥에서 연다. 이번 전시는 그간 국립국악원 수장고(아카이브)가 수집과 기증 등을 통해 보유한 유성기음반의 음원을 복각해 유성기음반을 소비했던 당시의 공간을 꾸며 관련 자료의 전시와 함께 일반에 공개하기 위해 마련했다. 유성기(Gramophone)는 소리가 녹음된 원반(SP, Standard Play)을 재생하는 장치로, 19세기 전후 조선에 처음으로 소개되었는데, 당시 유성기가 있는 집에 삼삼오오 모여 소리를 듣던 곳을 ‘유성기 처소’라고 불렀던 기록이 남아있다. 국립국악원은 이번 전시를 위해 전시공간의 이름을 ‘유성기집’이라 정하고, 실제 ‘유성기 처소’가 많았던 종로구 통의동 인근의 전통문화 전시공간인 아름지기에서 이번 전시를 진행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국립국악원이 소장하고 있는 유성기 음반 가운데 대중들이 쉽게 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