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올여름은 유난히 더웠다. 2025년 7월에 서울의 열대야(주: 밤 최저 기온이 25도 이상인 현상)는 모두 23일로서 117년의 기상관측 사상 가장 많은 기록을 세웠다. 유럽에서도 미국에서도 폭염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당하였다. 환경학자들은 이처럼 뜨거운 여름이 해마다 계속되는 것은 지구가 더워져서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기후위기’라는 말이 먼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다. ‘ 2025년 5월 22일 자 ‘네이쳐(Nature)’ 잡지의 기후위기에 관한 기사는 “세계의 가장 부유한 이들이 극한적 더위와 가뭄과 같은 기후 충격에 과도한 책임이 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부유한 사람들이 더 많은 물건을 사며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데, 결과적으로 더 많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킨다는 주장이다. 지구 전체로 계산해 보면, 상위 10%의 부유층이 전 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약 50%를 배출한다. 쉽게 말해서 부유한 사람들이 기후 위기에 더 큰 책임이 있다는 뜻이다. 나라별로 따지면 기후 위기의 책임은 어느 나라에 있을까? 2020년을 기준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나라는 중국이다. 중국은 인구가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올여름은 유난히도 더웠다. 열대야는 저녁 6시 1분부터 이튿날 아침 9시까지 기온이 25도 이상을 유지하는 현상을 말한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 8월 25일 아침 6시 12분에 서울의 기온이 24.9도까지 내려가 8월 24일 밤은 열대야가 아니었다고 한다. 이로써 34일간 계속된 서울의 최장 열대야는 끝났지만, 올해 여름에 서울에서 열대야가 발생한 날 수는 모두 37일로 이 역시 기상 관측 이래 제1위에 해당한다고 한다. ‘님이 그리워’ 잠 못 이루는 밤이 아니고 ‘날씨가 더워서’ 잠 못 이루는 밤은 해마다 반복되며 해마다 길어질 것으로 염려된다. 이처럼 열대야가 길어지는 것은 지구가 더워지는 지구온난화 현상 때문이다. 환경학자들은 산업 혁명 이후 지구의 평균온도가 빠른 속도로 높아지는 것이 관측되자 지구온난화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었다. 인류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일어난 산업혁명 이후 대량생산과 대량소비가 가능해졌다. 모든 나라에서 경제가 발전하면서 화석연료의 소비가 늘어나고 연쇄적으로 이산화탄소의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산화탄소는 이른바 온실가스로서 태양열을 붙잡아두기 때문에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면 지구의 온도가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한반도에도 공룡이 살았습니다. 1억 년 전에 100여 종의 공룡이 살았다고 하지요. 약 6,600만 년 전 지구 대멸종 시기에 모두 사라졌는데 그 사체가 오랜 세월 열과 압력을 받으면서 만들어진 것이 원유라는 설이 있습니다. 불행하게도 우리나라는 산유국이 아닙니다. 한반도에 공룡은 살았으나 그들이 원유를 만들지 못했기 때문이지요. 한반도 거주 공룡에 대해 심한 유감이 드는 까닭입니다. 기술 과학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지금도 원유의 생성 이유에 대해 잘 알지 못합니다. 다만 40년 전에도 30년 뒤에 원유가 고갈될 것이라고 이야기했는데 지금도 4~50년 정도 뒤에 원유의 고갈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간이 접근하기 어려웠던 대륙이나 바다에서 계속 유전이 발견되기 때문이고 경제성이 없는 유전도 기술 발달로 채굴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원유의 생성 원인에는 유기성인설과 무기성인설이 있습니다. 설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확실히 단정할 수 없는 추측성 이론에 불과한 것이지요. 유기성인설은 유기물의 주검이 오랜 세월에 걸쳐 열과 압력의 영향을 받으면서 만들어졌다는 것입니다. 원유의 생성에는 일반적으로 수백만 년이 걸리는데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