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은 ‘제5회 국악사전 월례 토론회’를 오는 9월 23일(화) 낮 2시, 국립국악원 국악누리동 대회의실에서 연다. 춤ㆍ연희와 음장요소, 국악사전 표제어를 정밀하게 검토하는 자리 이번 토론회에서는 ‘춤·연희 분야 및 음장요소 관련 표제어 검토’를 주제로, 국악사전 내 춤ㆍ연희와, 음장요소 관련 표제어의 분류와 방향, 기술 체계를 심도 있게 논의한다. 발제자로는 김영희 김영희춤연구소장이 춤ㆍ연희 분야 표제어 선정과 서술체계의 방향성을 살피고, 최헌 부산대학교 명예교수가 국악사전 내 음장요소 관련 내용의 현황과 과제를 다룬다. 토론에는 춤ㆍ연희 분야에서 장희선 중앙대학교 초빙교수와 조경아 한국예술종합학교 학술연구교수, 음장요소(장단) 분야에서 김인숙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가 참여한다. 좌장은 송혜진 숙명여자대학교 교수가 맡아 전체 논의를 이끈다. 총 여덟 차례의 월례 토론회, 공개 논의로 국악사전 완성도 높여 국립국악원은 올해 총 여덟 차례의 월례 토론회를 마련해, 국악사전이 그동안 충분히 해결하지 못했던 쟁점들을 학계와 함께 공개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지난 5월부터 네 차례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국악사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판소리에 쓰이는 여러 형태의 장단 가운데서 가장 느리게 짜인 <진양 장단>과 진양보다 조금 빠른 <중몰이 장단>에 관해 이야기하였다. 이번 주에는 중몰이 장단보다 더 빠른 중중몰이 장단형과 이보다 더더욱 빠르고 경쾌한 잦은몰이 장단, 그리고 더 빠르게 휘몰아치는 장단형에 관해 소개해 보도록 한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장단(長短)이란 “길고 짧은 시간의 조합”이라는 뜻이다. 판소리나 남도민요, 또는 민속 기악인 산조(散調) 음악의 경우, 가장 느린 형태는 진양 장단이다. 특히 산조음악의 경우, 느린 형태의 진양으로 시작해서 점차 빠른, 장단으로 몰아가는데, 그 빨라지는 느낌을 쉽게 느낄 수 있도록 각 장단의 명칭도 <중몰이>, <중중몰이>, <잦은몰이>, <휘몰이>, <닫몰이> 등, 00몰이, 00몰이로 그 변화를 짐작하게 만든다. 느린 형태의 <진양> 장단형과 중간 빠르기의 <중몰이> 장단형은 앞에서 악보로 살펴보았거니와 그 이후의 중중몰이 장단형, 잦은몰이 장단형, 그리고 휘몰이 장단형을 악보와 함께 소개해 보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