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조각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티 없이 맑고 파란 하늘도 좋지만, 가끔은 너무 넓어서 텅 비어 보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하얀 솜을 조금 떼어 흩뿌려 놓은 듯, 또는 누군가 하늘에 띄워 보낸 작은 종이 조각 같은 구름이 둥실 떠가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커다랗게 뭉친 구름이 주는 우람함과는 달리, 작고 아기자기한 멋을 주는 구름.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하늘의 빈 곳을 아름답게 채워주는 '조각구름'입니다. '조각구름'은 그 이름만 들어도 머릿속에 그림이 그려지는 참 쉬운 우리말입니다. '한 조각', '두 조각' 할 때의 그 '조각'들이 하늘에 떠 있는 모습이지요. 말집(사전)에서는 이 구름을 다음과 같이 풀이하고 있습니다. 여러 개의 조각으로 흩어져 있는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여러 개의 조각으로 끊어진 듯이 떠 있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를 모아보면, '조각구름'은 하늘을 다 덮거나 크게 뭉쳐 있는 것이 아니라, 작게 뚝뚝 떨어져서 흩어져 있는 구름을 말합니다. 한자말로는 끊어진 구름이라는 뜻의 '단운(斷雲)'이나, 조각 구름이라는 뜻의 '편운(片雲)'이라고도 부릅니다. 하지만 '조각구름'이라고 하면, 마치 종이 조각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