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도좌창 <초로(草露)인생> 이야기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2025년도 <유춘랑 서도소리 발표회>무대에서 스스로 장단을 치며 선창으로 부른 서도좌창, <초한가(楚漢歌>에 관한 이야기로 초(楚)의 항우와 한(漢)의 유방(劉邦)의 싸움에서 유방이 승리하였다는 이야기, 그 승리의 직접적 요인은 이좌거(李左車)나 장자방(張子房)의 공로가 크지만, 근본적인 승리의 요인은 바로 절인지용(絶人之勇), 즉 절대적 용기 보다는 순민심(順民心)이 원인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순민심이란 바로 백성들의 마음에 순응하여 백성들의 마음을 얻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이다. 이 곡은 사설의 내용, 악곡의 구성, 빠른 변박(變拍) 장단의 진행, 등등이 재미있어 친숙한 서도의 소리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다음과 같이 수심가조로 부르는 종지구 부분이 일품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한왕(漢王)이 관후(寬厚)하사, 불살항군(不殺降軍) 하오리다. 가련하다. 초패왕은 어디로 갈거나」 알려진 바와 같이, 서도소리에는 연창(演唱) 방식에 따라 앉아서 긴 호흡으로 부르는‘긴잡가’라는 노래가 몇 곡 있다. 이들 노래의 공통점은 대부분 사설이 길고, 같은 선율을 노랫말만 바꾸어 부르는 분절(分節)형
- 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 2025-09-16 10: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