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충민사(忠愍祠)와 석천사(石泉寺)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한국의 나풀리라고 알려진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심에 있는 여수는 충무공 이순신장군이 처음 수군 전라좌수영 겸, 삼도수군통제영에 있을 때의 최초 본영이었으며, 임진왜란 당시 거북선이 처음 만들어진 조선소다. 이순신장군은 남해안늬 부산, 거제, 통영, 남해, 여수, 완도, 진도에 이르기까지 곳곳에서 전투를 하였다. 그런데 정읍현감으로 봉직하다가 장군으로 승진하며 부임한 곳이 바로 여수에 있는 전라 좌수영이었고, 정유재란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을 할 때에도 여수는 이순신장군이 수군통제영으로 본영을 두고 연합군(조선군+명군)으로 왜군과 마지막 전투 중 여수와 남해 사이에 있는 관음포 바다 한가운데에서 전사하였다. 이렇게 숭고한 삶을 살아온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숨결이 온전히 남아있는 여수에는 임진왜란이 끝난 뒤, 그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영의정 이항복의 요청으로 선조35년(1601)에 당시 통제사 이시언이 사당을 세웠으며, 우부승지 김상용이 간청하여 선조가 직접 쓴 충민사(忠愍祠) 사액편액을 달았다. 그렇게 세워진 충민사는 오랜세월 후손들이 추모하며 잘 유지되어왔으나, 조선말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철거되고 말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