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문화유산

생활유물ㆍ토광묘ㆍ집터 등 다양한 유구 발굴

아산 배방월천지구, 구석기부터 조선까지 여러 시대 분포 특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호남문화재연구원, ()중부고고학연구소,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등 3개의 조사기관이 지난 1월부터 합동으로 발굴조사 중인 충남 아산 배방월천지구 도시개발사업부지에서 생활유물토광묘집터 등 다양한 유구 발굴됐다.

 

특히 구석기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는 여러 시대에 걸친 선대인들의 삶과 죽음에 관한 자료가 다양하게 나왔고, 특히 곡교천 유역을 중심으로 한 충적대지에서는 주로 삼국 시대의 생활유구가, 구릉지대에서는 매장유구가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두 지역이 지형에 따라 공간적으로 분리 운영되었다는 것도 확인하였다. 앞으로 추가조사를 통해 아산만 일대에 분포하는 유적들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당시 고대사회를 복원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아산 배방월천지구 도시개발 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는 동남쪽에서 북쪽으로 흘러 북서쪽으로 흐르는 곡교천과 지류인 회룡천 서쪽에 형성된 충적대지(-구역, 호남문화재연구원)와 배후 사면부와 습지(지점,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남쪽의 낮고 완만한 구릉지대(-구역, 중부고고학연구소) 등 세 구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사기관의 발굴조사 결과 구석기 시대 유물과 청동기 시대 집터, 원삼국~삼국 시대의 마을과 공동묘역을 비롯하여 조선 시대 경작지와 공동묘역 등이 조사되었다.

 

충적대지에서는 외부구가 둘러진 방형건물터 70여 기, 지상건물터 100여 기, 거주공간을 구획하는 배수로 등으로 구성된 대규모 유적과 함께 시루조각, 대옹조각, 회색연질토조각편, 적갈색연질토기조각 등 생활용기로 쓴 유물과 철 슬래그(Slag, 철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가 출토되었다. 그리고 배후습지 인근에서도 철 슬래그와 함께 슬래그가 눌어붙어 있는 송풍관 등이 확인되어 철 생산시설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구릉지대는 구석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까지의 유구가 존재하는 유적으로 특히, 삼국 시대 토광묘 188, 조선 시대 토광묘 207기가 조사되어 여러 시대의 매장행위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양상을 보인다. 이 중 삼국 시대 토광묘에서는 고리자루칼마형대구(허리에 차는 말 모양의 띠고리)금귀걸이 등 금속유물과 함께 많은 토기가 출토되었다.

 

조사기관은 13() 늦은 3시에 학술자문회의와 현장공개 설명회를 열어 연구자들을 위한 연구자료 제공과 개발지역 시민들에게 우리 문화재의 중요한 가치를 알리고 발굴성과를 공유할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 발굴 현장: 충남 아산시 배방읍 북수리 37번지 일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