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1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614. 갓을 쓰지 않지만, 선비정신만은 잊지 말아야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사극에 어김없이 나오는 갓은 남자가 머리에 쓰던 옷차림의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흑립(黑笠)을 갓이라고 하며, 벼슬아치들이 관청에 드나들 때 썼으나 후대에는 양반 신분을 드러내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갓은 말갈기나 꼬리털인 말총으로 만듭니다. 대원군은 통영까지 사람을 보내 갓을 맞추어 쓴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특히 고종황제 국상에는 모든 백성이 흰 갓을 통영에서 맞추어 썼다고 합니다. 이때 통영갓은 하루에 300개 이상 불티나게 팔렸다고 하지요. 그래서 통영갓은 갓의 대명사처럼 되었습니다.

선비들의 의생활에서 필수품의 하나였던 갓을 만드는 “갓일”은 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4호로 보전되어 전승되고 있을 뿐입니다. 서양옷이 우리의 평상복이 되어버린 지금 갓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선비도 없고 갓도 쓰지 않는 시대지만 스스로 엄격하고, 올곧게 살아갔던 선비정신만은 잊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