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623. 치마에는 스란치마, 무지기, 쓰개치마도 있었다

1623. 치마에는 스란치마, 무지기, 쓰개치마도 있었다

한복 치마의 삼국시대 기록을 보면 상(裳) 또는 군(裙)으로, 조선시대 세종 2년에는 쳐마[赤]라고 나옵니다. 중종 때 《훈몽자회(訓蒙字會)》에는 “츄마 상(裳)은 남자옷이며, 츄마 군(裙)은 여자옷이다.”라고 했지요. 치마의 종류는 참 다양한데 일상복인 겉치마 외에 조선시대 예복용인 스란치마·대란치마·전행웃치마가 있으며, 속치마인 대슘치마·무지기 등이 있습니다. 또 겉치마 위에 덧입는 행주치마, 바깥나들이를 할 때 얼굴을 가리던 쓰개치마도 있었지요.

한복 치마는 서양옷처럼 몸에 딱 맞게 하는 것이 아니라 허리의 굵기와 키에 따라 융통성 있게 입는 형태이지요. 다시 말하면 날씬한 사람이나 뚱뚱한 사람이나 모두 껴안는 그런 옷입니다. 또 한방에서는 여자가 바지가 아닌 치마를 입음으로써 펄럭이는 치맛자락으로 음습한 기운이 뭉치는 것을 소통하게 한다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