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우리문화편지

1848. 격구, 고려말 조선초 임금들이 즐겼다

1848. 격구, 고려말 조선초 임금들이 즐겼다

“내가 무관 집에서 자랐기 때문에 산을 타고 물가에서 자며 말을 달리는 것이 습관이 되었으므로, 오래 들어앉아서 나가지 않으면 반드시 병이 생길 것이다. 그래서 격구 놀이를 하여 기운과 몸을 기르는 것이다.”

위는 정종실록 1399년 3월 13일 자 기록으로 조선의 제2대 임금 정종이 격구를 즐기는 까닭을 설명한 것입니다. 격구는 말을 타고 달리면서 막대기로 공을 쳐서 상대방 문에 넣는 경기지요. 그런데 말을 타고 하는 기마격구만 있는 것이 아니고, 세종 때에는 넓은 마당 여기저기에 구멍을 파놓고 걸어다니면서 구멍에 공을 쳐서 집어넣는 경기인 보행격구도 있었습니다. 이 보행격구는 요즘의 골프와 비슷한 경기입니다.

이 격구는 정종 이후 태종, 세종, 세조 임금이 모두 좋아했지만, 신하들이 놀이로서의 격구를 비판하는 소리가 높아가자 무과의 시험과목으로 채택하고, 임금이 직접 격구를 하는 대신 군사들이 격구를 하는 것을 지켜보아야 했습니다. 그래서 정조가 ≪무예도보통지≫를 지을 무렵에는 격구에 대해 아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고 하지요.